작성
·
45
·
수정됨
답변 3
0
회사 내부에서 쓰이는 서비스를 띄우기 위해서 설정하다가 어떻게 된건지 IAM 권한 계정에 S3FullAccess로 설정이 되어버렸거든요...... 그런데 그게 제가 설정한 것인지.. 아니면 원래 그런것인지 궁금해서요 ㅠㅠ 해킹이라도 당했을까봐 너무 불안합니다...
설정이력을 조회 할 수 있을까요?
그리고 MFA 를 설정해두었으면 안전할까요?
0
안녕하세요 달리님! 질문 잘 해주셨습니다~!!
구체적으로 답변해드리기 위해 질문 하나면 드리겠습니다!
혹시 어떤 부분에서 걱정을 하고 계신 지 조금만 구체적으로 얘기해주실 수 있을까요~??
그리고 S3FullAccess를 어디에 설정하셨는 지도 얘기해주세요~~
IAM 권한 계정에 S3FullAccess 설정을 해두신 거라면
IAM의 권한을 사용할 수 있는
Access Key와 Secret Key가 노출이 안 되는 게 중요합니다!
(참고 : https://hyunki99.tistory.com/94)
만약 Access Key와 Secret Key를 만들어놓은 상태가 아니라면
MFA를 설정해놓은 것만으로도해킹의 가능성은 극히 작다고 예상됩니다..!!
참고로, 파일 업로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IAM 권한 계정에 S3FullAccess로 설정을 했을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여기서 추가로 궁금한 점 있다면 댓글 남겨주세요~~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달리님.
AWS의 S3FullAccess를 설정하는 것은 특정 상황에서 보안 문제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S3FullAccess 정책은 해당 계정으로 S3의 모든 리소스를 완전히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합니다. 이는 의도치 않은 데이터 노출이나 삭제 등의 위험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가능하면 최소한의 권한을 부여하는 것이 좋습니다.
최소 권한의 원칙(Least Privilege Principle): 사용자 또는 서비스가 작업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최소한의 권한만 부여하도록 설계하는 것입니다. 이는 보안을 강화하고, 우발적 또는 악의적 데이터 손상 및 노출을 예방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사용자 지정 정책(Custom Policy):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커스텀 정책을 만들어 특정 S3 버킷이나 객체에만 접근 권한을 부여할 수 있습니다. 이는 더 세밀하게 권한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권장됩니다.
Presigned URL은 S3의 객체에 대한 임시 접근 권한을 제공하여 불필요한 권한을 줄이고 보안을 강화할 수 있는 옵션입니다. 이 방식은 일정 시간 안에만 유효하며, 필요한 경우에만 객체에 접근하도록 제한합니다. Presigned URL 사용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아래 AWS 공식 문서를 참조하세요: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회사 내부에서 쓰이는 서비스를 띄우기 위해서 설정하다가 어떻게 된건지 IAM 권한 계정에 S3FullAccess로 설정이 되어버렸거든요...... 그런데 그게 제가 설정한 것인지.. 아니면 원래 그런것인지 궁금해서요 ㅠㅠ 해킹이라도 당했을까봐 너무 불안합니다...
설정이력을 조회 할 수 있을까요?
그리고 MFA 를 설정해두었으면 안전할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