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결된 질문
작성
·
40
0
안녕하세요!
강의 6-5 데이터 검증 결과 예시 문제를 보고 잠깐 멈춰서 풀고 선생님 강의 풀이를 참고했는데요, 검증 과정자체는 저도 특정한 id를 두고 맞는지 우선 확인한 다음 전체 쿼리를 짜는 식으로 했습니다. 제가 짠 쿼리가 이런식이었는데, 결과 자체는 동일하게 나온것 같습니다. 근데 선생님 풀이를 보니 처음엔 조금은 길어보인다고 생각했지만 확실히 실무에서는 선생님처럼 접근하는게 누가봐도 명시적으로 알기 쉽겠다 생각이 들더라구요. 저는 너무 문제 푸는데에만 집중했던 쿼리인것 같다라는 생각을 했구요...선생님처럼 접근하는게 실무적으론 더 맞는 방식이죠?
답변 2
1
안녕하세요. 쿼리 작성에 정답이 있는 것은 아니고 선호의 영역도 있다고 생각됩니다. 저는 더 자세하고 쪼개고, 다시 보수하기 편한 형태로 만들려고 작성했고 승현님 쿼리도 가능한 쿼리 중 하나라고 생각해요. 이 부분은 맞다 아니다보단 여러가지 방법으로 쿼리를 작성할 수 있다고 생각해주시면 좋을 것 같아요.
저는 COUNTIF를 사용할 때 DISTINCT가 안되어서 따로 계산해서 마지막에 나누는 것을 선호해서 저렇게 작성했다고 보시면 될 것 같아요.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서승현님께서 질문하신 내용 잘 읽었습니다. 강의에서 선생님의 풀이가 처음에 조금 길어 보일 수 있지만, 실무에서 명시적인 접근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더 좋은 경우가 많습니다. 명시적이고 이해하기 쉬운 쿼리는 팀원들이나 하던 프로젝트를 이어받을 누군가에게도 명확한 의도를 전달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실무에서는 코드의 가독성이 중요합니다. 문제가 없는 쿼리라도 다른 사람들도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방식으로 작성하는 것이 중요하죠. 따라서, 서승현님께서도 실무에선 좀 더 명확하고 가독성 높은 코드 작성을 위해 노력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기술적인 능력뿐만 아니라 협업에서도 매우 중요합니다.
계속해서 학습하시면서 여러 가지 스타일을 시도해 보신다면 더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 화이팅입니다!
이미지 출처: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