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결된 질문
작성
·
53
답변 2
0
안녕하세요,
저는 정보처리기사 실기를 시험치는 데에 알고리즘 / 자료구조에 대한 사전이해가 전혀 필요없다고 생각하는 사람입니다.
배열이든 구조체든 결국 순서와 교환, 값의 할당만 잘 따라가면 이 세상 어떤 문제가 와도 다 풀어낼 수 있습니다. 저기서 중요한 것은 배열의 인덱스를 헷갈리지 않는 것, 그리고 반복문에 있는 임시 변수들을 헷갈리지 않는 것입니다.
배열이 주어지면 저는 무조건 칸을 그려놓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칸을 그려놓는 것이 편한게 아니라 거의 무조건 시험에서는 하는 것이 좋습니다.
일단 칸을 그려놓고 대충 옅게 네모로 요소를 나눈다음에 각 위에다가 0부터 숫자를 적어두세요.
그 다음부터는 i, j에 숫자를 대입해가면서 어디에 어떤 값이 들어가는지 천천히 해보시면 됩니다.
그러면 정렬이든, 스택이든, 트리이든 간에 어떤 문제가 나와도 다 풀 수 있습니다.
정보처리기사 실기 정도는 코드에 어느 정도 익숙해지면 다 풀 수 있으니 겁먹지 마시고 천천히 한 단계씩 접근해보시기를 권합니다.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Hu Young Lee님.
질문 주신 내용은 선택 정렬(Selection Sort)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배열의 값을 정렬하는 문제로 이해됩니다. 선택 정렬은 정렬되지 않은 부분에서 가장 작은(또는 큰) 값을 선택하여 순차적으로 앞쪽에 위치시키는 방식입니다.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따를 수 있습니다:
이해하기: 선택 정렬은 배열의 앞부분부터 시작하여 각 요소에 대해 가장 작은 값을 찾아 현재 위치의 값을 교환하여 이루어집니다. 이를 반복하여 배열의 나머지 부분을 정렬합니다.
코드 분석: 문제에서 주어진 코드의 빈칸은 핵심 알고리즘 로직을 채워야 하는 부분입니다. 빈칸을 통해 이해하고자 하는 것은 반복문, 조건문 혹은 코드 흐름을 파악하는 것입니다.
구현하기: 일반적인 선택 정렬 알고리즘의 흐름을 생각해보면, i 반복문으로 배열을 순회하며, j 반복문을 사용하여 i 이후의 인덱스 중 최솟값 인덱스를 찾습니다. 그리고 최솟값을 현재 i 인덱스와 교환하는 과정을 거칩니다.
예제 코드:
for (int i = 0; i < n - 1; i++) {
int min_index = i;
for (int j = i + 1; j < n; j++) {
if (arr[j] < arr[min_index]) {
min_index = j;
}
}
// 최솟값을 찾아 현재 위치로 교환
if (min_index != i) {
int temp = arr[i];
arr[i] = arr[min_index];
arr[min_index] = temp;
}
}
이 과정은 다양한 단계에서 주어진 배열을 작은 값을 찾고 이를 교체한다는 점에서 가장 기본적인 정렬 알고리즘 중 하나입니다.
관련된 도움을 받을 수 있는 글로는 아래의 글이 있습니다. 이를 통해 좀 더 정확히 문제를 이해하고 풀 수 있는 전략을 얻으시기 바랍니다.
이 답변이 선택 정렬 알고리즘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추가적으로 궁금하신 점이 있다면 언제든지 질문해 주세요!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