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결된 질문
작성
·
92
0
안녕하세요.
천천히 설명해주셔서 이해는 했는데, 조금 헷갈리는 부분이 있어서요.
func에서 node = node->next->next를 보면
설명해주신대로면 그냥 &n2가 되고 반복문이 끝나는 거로 보이는데요.
제가 이해하기로는 지금 node는 &n1인 상태니까
&n1 = &n1->&n3(next)->&n2(next)니까요.
설명해주셨던대로 a=b라는 건 b의 값을 a로 넣는거기때문에.
&n1의 값에 &n2가 덮어씌워진다고 생각을 했는데. 이게 포인터기 때문에 값이 덮어씌워지는게 아니라 node의 값만 변경되는건지.. 잘 이해가 안가서 설명좀 부탁드립니다.
답변 2
0
안녕하세요,
설명해주셨던대로 a=b라는 건 b의 값을 a로 넣는거기 때문에 <- 이 부분 제가 몇 분 몇 초에 그렇게 얘기했을까요? 확실하게 답변을 드리고 싶은데 질문을 잘 모르겠습니다.
node = node->next->next;
의 의미는 포인터가 다음-다음 노드를 가리키게 된다는 뜻입니다. 연결 구조는 그대로 이고요.
대댓글로 다시 질문좀 부탁드립니다.
"&n1의 값에 &n2가 덮어씌워진다고 생각을 했는데. 이게 포인터기 때문에 값이 덮어씌워지는게 아니라 node의 값만 변경되는건지"
이게 최종 질문 맞으실까요?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정철님.
질문해주신 내용은 링크드 리스트와 포인터 개념에 관한 부분으로, 여러 학생분들이 헷갈릴 수 있는 부분입니다. node = node->next->next
같은 경우는 포인터가 가리키는 위치를 이동시키는 과정입니다.
링크드 리스트의 개념:
node
라는 포인터 변수는 현재 특정 노드를 가리키고 있습니다. 이 노드의 next->next
는 링크드 리스트에서 두 칸 건너뛰기를 의미합니다. 즉, 현재 포인터가 어떤 노드를 가리키고 있다면, 그 다음 포인터를 두 칸 이동시킨다는 의미입니다.node
가 n1
을 가리키고 있었다면, node->next
는 n1
의 다음 노드를 가리키고, node->next->next
는 그 다음의 다음 노드를 가리킵니다.포인터 작업의 이해:
node = node->next->next
실행 후, node
는 &n2
로 이동하게 됩니다.이는 노드의 순서가 아니라 가리키는 방향이 바뀌었기 때문에 발생하며, node
자체가 변경된다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이와 관련된 유사한 질문과 답변을 참고하시면 개념 이해에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네 이게 어느 부분이라고 지금 찍기는 어려운데. 이 문제가 아니라 프로그래밍 전반에서 a = b라면 b값을 a에 넣는 것이다 라고 기출문제 정리해주시면서 한번 말씀주셨거든요.
네 다시 말씀주신 내용이 맞습니다.
node(&n1)=node(&n1)->next(&n3)->next(&n2)이기 때문에 &n2의 값이 &n1으로 덮어씌워지는 거라 생각했습니다. 위의 기재되어있는 swap하는 a=b 형식과 같이요. 근데 여기서는 변수 node만 &n1에서 &n2로 바뀌는 걸로 보여서. node->value or node= 가 아니라 node= 라면 node가 가리키는 주소의 값이 아닌 함수내에서의 변수 node값만 변경되는건가 해서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