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결된 질문
작성
·
45
답변 2
0
비주얼스튜디오를 사용하시나요? 빌드하려면 너무 많은 것을 설치해야합니다. 간단한 코드는 온라인 컴파일러 사용하셔도 됩니다.
arr은 이렇게 됩니다.
arr[0] = {1, 2, 3}
arr[1] = {4, 5, 6}
arr[2] = {7, 8, 9}
parr[0] = arr[1]의 첫번째 요소를 가리킴
parr[1] = arr[2]의 첫번째 요소를 가리킴
parr은 각각 이렇게 가리키죠.
그래서
parr[1][1] => arr[2][1] => 8
*(parr[1] + 2) => *(arr[2] + 2) => arr[2][2] => 9
**parr => *parr[0] => *arr[1] => arr[1][0] => 4
이렇게 이해하시면 됩니다.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mark Kim님.
질문하신 parr[1][1]
표현식과 관련하여 포인터와 배열의 관계를 설명드리겠습니다.
parr[1][1]
는 포인터 배열 parr
에서 두 번째 인덱스(1
)의 포인터가 가리키고 있는 배열의 두 번째 요소(1
)를 지칭하는 표현입니다. 즉, parr[1][1]
는 parr[1]
가 가리키고 있는 배열에서 두 번째 요소에 해당하는 값을 의미합니다.
*(parr[1] + 1)
는 기본적으로 parr[1][1]
과 같은 표현입니다. 이 표기법은 parr[1]
의 시작 주소에서 한 요소를 간다는 의미로, 결국 두 번째 요소의 값을 가져오는 것입니다.
이 두 식이 논리적으로 동일한 결과를 갖습니다. parr[1][1]
와 *(parr[1] + 1)
는 배열과 포인터의 사용 방식에서 파생된 것으로, 두 식 모두 결과적으로 값 8
을 반환합니다.
배열과 포인터의 상호작용에 대해 더욱 이해를 돕기 위해 관련된 질문 링크를 참고하시면 좋겠습니다:
- C언어 포인터와 배열의 관계 이해: 포인터와 배열의 작동 매커니즘을 설명하는 예제와 답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