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결된 질문
작성
·
104
0
업케스팅 시에 호출되는 순서를 제가 이해하고 있는 순서가 맞는 지 모르겠습니다.
A s2 = new B('Y');가 실행 될때,
new B('Y')를 하기 위해 class B로 갔는데 부모가 있어 class A로 가서 기본생성자를 호출하면서 A출력
this() -> B() -> super()가 실행되지만, 이미 1에서 이미 부모의 기본생성자가 만들어져 있어서 생략
B()에서 B출력
this()가 완료되고 B(char x)로 돌아와서 Y출력
이게 맞나요?
super()를 주석처리하고 실행해도 값은 똑같더라구요. 어떻게 이해하면 좋을지 설명 좀 부탁드려요
답변 3
1
네 맞습니다. 모두 정확해서 딱히 수정해드릴 부분이 없네요..
그래도 좀 더 가르쳐드리자면, 기본 생성자는 명시적으로 다른 파라미터가 있는 생성자를 안 부르면 자동으로 불려지는 거라 사실상 super()가 생략되어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super(x, x,..)와 같이 명시적으로 호출하면 그것을 호출)
그래서 있으나 없으나.. 똑같이 기본 생성자가 호출되는 것이죠.
0
부모클래스 실행:
new B('Y')
를 호출하면 먼저 자동으로 기본적으로 A()
기본 생성자를 호출하여 'A'출력하고
다음 this()
가 호출되어 B()
생성자를 실행.
B()
내에서 super()
는 이미 생성되어 실행안하고
B()
가 실행되어 ‘B’가 출력됩니다. this()
호출이 끝나면 다시 B(char x)
로 돌아옵니다.
자식 클래스의 나머지 코드 실행:
B(char x)
의 나머지 코드가 실행되며, 매개변수로 받은 ‘Y’가 출력됩니다.
이게 맞는거 같은데
정확히는 잘 모르겠어요
알려주세요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이준우님.
업캐스팅과 생성자 호출 순서에 대해 궁금해하시는군요! 질문하신 내용을 바탕으로 순서를 설명드리겠습니다.
업캐스팅 시 생성자 호출 순서를 잘 이해하셔야 합니다. A s2 = new B('Y');
코드의 실행 순서는 아래와 같습니다:
부모 클래스 생성자 호출:
new B('Y')
를 호출하면 먼저 B(char x)
생성자를 통해 this()
가 호출되어 B()
생성자를 실행하게 됩니다.B()
내에서 super()
가 명시되지 않은 경우, Java는 자동으로 기본적으로 A()
기본 생성자를 호출합니다.A
의 기본 생성자가 먼저 호출되고 ‘A’가 출력됩니다.자식 클래스 기본 생성자가 끝난 후:
B()
가 실행되어 ‘B’가 출력됩니다. this()
호출이 끝나면 다시 B(char x)
로 돌아옵니다.자식 클래스의 나머지 코드 실행:
B(char x)
의 나머지 코드가 실행되며, 매개변수로 받은 ‘Y’가 출력됩니다.부모 클래스 A
의 기본 생성자가 이미 호출되었기 때문에 super()
가 없어도 동일하게 동작하며, 부모의 기본 생성자는 중복 호출되지 않습니다.
결론:
- 출력 결과는 ‘ABY’ 입니다.
- 이 이해를 바탕으로 이 코드의 생성자 호출 순서를 정리하신 것이 맞습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자동으로 기본적으로 A()가 아닙니다. B에서 super를 보셔야 합니다. 부모의 생성자 중에 무엇을 명시적으로 부르는 지를 봐야합니다. super에서 다른 파라미터가 들어가있으면 다른 생성자를 부르겠죠.
어쨌든 기본생성자는 맞습니다. 그 다음은 this()로 인해 B()가 실행되고 그 안에서 B가 출력됩니다. 그 뒤에 B(char x)나머지 x를 출력하면 되죠.
이렇게 생각하시면 됩니다.
실제 코드를 볼 때는 자식 클래스에서 부모의 생성자 중에 무엇을 명시적으로 불렀는 지를 봐야합니다. "그냥 무조건 기본 생성자!" 이러면 틀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