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아스키코드 19분 13초 기출문제 질문
해결된 질문
작성
·
84
답변 2
0
*(p+3) : 괄호를 먼저 해석합니다. 3개의 데이터 단위만큼 간 이후의 해당 메모리의 값을 가져와라.
*p+4 : p가 가리키고 있는 데이터의 값을 가져온 다음, 거기에 4를 더해라.
아스키코드는 단순히 문자를 숫자로 출력했을 때 보여주는 숫자 값입니다. 위에 맞춰서 해석하시면 됩니다.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지현님.
C 언어에서 포인터와 연산자를 사용할 때 괄호의 유무는 연산의 순서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주어진 예제를 통해 설명드리겠습니다.
*(p+3): 이 표현은 포인터p가 가리키는 메모리 주소에서 3칸을 앞으로 이동한 메모리 위치의 값을 참조한다는 의미입니다. 괄호가 있으므로 계산 순서가(p+3)이 되며,p가 가리키는 위치에서 3칸 이동한 후 그 값에 접근합니다.*p+4: 여기에서는 괄호가 없으므로*p가 먼저 수행되어,p가 가리키는 메모리 주소의 값을 가져온 후에4를 더하는 연산으로 이어집니다. 만약*p의 값이97(ASCII 코드로 ‘a’)이라면,97 + 4 = 101이 되고, 이는 ‘e’에 해당합니다.
괄호의 유무는 연산의 순서에 영향을 주어 결과를 크게 바꿀 수 있으므로, 연산의 우선 순위에 따라 괄호를 적절히 사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문자열이나 메모리 배열과 관련된 포인터 연산을 할 때 이러한 차이를 명확히 이해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입니다.
관련 내용을 더 깊이 있게 공부하시려면 아래의 유사한 질문을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 ASCII코드 질문: 아스키 코드와 관련된 연산 및 형변환에 대해 다룬 질문입니다.
 - 포인터 관련 문의: 포인터 연산과 관련된 다양한 예제와 설명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