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자 없음
작성자 정보가 삭제된 글입니다.
작성
·
106
0
클라이언트에서 공격 명령을 하여 ServerRPCAttack이 실행되는 코드입니다.
월래는 NetMulticast를 사용해 서버와 모든 클라이언트에서 애니메이션이 실행되도록 패킷을 전달했지만,
명령을 내린 클라이언트만 패킷전송을 제외시키기 위해서 다음과 같이 짠건 이해했습니다.
하지만 이해가 안 가는 부분이 있습니다.
명령을 내린 클라이언트에 대응하는 (서버상의)액터가 다음 코드를 실행할텐데,
결국 서버상에 있는 클라에 대응하는 액터들은 모두 역할이 [ Authority / AutonomousProxy ] 이거 아닌가요?
근데 if문에서 simulatedProxy만 걸러냈다고 말씀하시는 부분이 이해가 안갑니다.
답변 2
0
안녕하세요.
관련해서 내용은 아래를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https://www.inflearn.com/community/questions/1088455
확인을 위해 if문에서 simulatedProxy만 걸러냈다고 하는 내용은 10강의 어느 타이밍인지 알려주실 수 있으실까요?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Multicast RPC와 관련하여 ClientRPC를 통해 애니메이션을 실행하는 부분에 대해 궁금하신 것 같습니다. 강의에서 다루고 있는 내용 중에 동일한 질문을 할 수 있는 상황이 있는데요, 여기에는 네트워킹 설정과 관련된 부분들이 혼합되어 있어 혼란스러우실 수 있습니다.
당신이 설명한 코드에서 핵심은 명령을 내린 클라이언트를 제외하고 다른 클라이언트들에게만 애니메이션 명령을 보내도록 설계된 것입니다. 이러한 방식은 네트워크 트래픽을 줄이고 불필요한 데이터 전송을 방지하기 위한 것입니다. 각 클라이언트는 서버의 ‘Authority’ 상태거나 ‘AutonomousProxy’ 상태입니다. 여러 클라이언트 간의 역할 설정이 이해되었다면, 질문이 좀 더 명확해질 수 있습니다.
‘SimulatedProxy’는 보통 클라이언트가 아닌 다른 클라이언트에서 그려지는 캐릭터들을 나타냅니다. 이것은 다른 클라이언트들이 서버로부터 받아야 하는 정보 업데이트용입니다. 따라서, 본래 네트워크에서 ‘AutonomousProxy’가 아닌 ‘SimulatedProxy’를 설정하여 조건에 따라 걸러내는 방식이 됩니다.
관련된 네트워킹 설정과 클라이언트-서버 간의 통신 방식에 대한 상세한 이해를 원하신다면 다음 질문을 참고하시면 좋습니다:
이해 도움을 위해 강사님의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