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멘토링

로드맵

Inflearn brand logo image

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김용국님의 프로필 이미지
김용국

작성한 질문수

이득우의 언리얼 프로그래밍 Part1 - 언리얼 C++의 이해

15강 언리얼 빌드 시스템

uproject 파일로 언리얼 엔진 실행시키는 과정

작성

·

329

·

수정됨

0

안녕하세요, 교수님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uproject 파일로 언리얼 엔진 실행시키는 과정에서

외장하드에 언리얼 엔진을 받았을때,

런처랑 연동이 안 되어있는데

어떻게 연동 할 수 있을까요?ㅜㅜ

 

결론 엔진을 못 찾아서 실행이 안됩니다...

답변 2

0

이득우님의 프로필 이미지
이득우
지식공유자

음.. 그 방법은 저도 잘 모르겠네요.
그냥 처음부터 다시 까심이..

김용국님의 프로필 이미지
김용국
질문자

아... 답변 감사합니다.

에픽게임즈도 외장하드로 옮겨서 깔았더니 해결되었습니다!!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김용국님.

외장 하드에 설치된 언리얼 엔진을 Epic Games Launcher와 연동하는 문제로 고민하고 계시는군요. 각기 다른 드라이브에 설치된 엔진이 런처에서 인식되지 않을 때에는 몇 가지 확인해야 할 사항이 있습니다.

  1. 언리얼 엔진 설치 경로 확인: 외장 하드에 설치된 언리얼 엔진의 경로가 올바른지 확인합니다. 경로 내에 “Engine” 폴더가 존재하고, 그 안에 “Binaries”, “Source”와 같은 필수 디렉토리가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해 주세요.

  2. Epic Games Launcher 설정: 언리얼 엔진이 설치된 폴더를 Epic Games Launcher가 인식할 수 있도록 설정 파일을 수정해야 할 수 있습니다. 보통 “UE_4.xx” 형태의 폴더 이름을 사용하여 “Unreal Engine” 하위 폴더로 옮기고, 런처에서 엔진 버전을 다시 스캔하게 할 수 있습니다.

  3. 수동 설치 등록: 런처 내에서는 언리얼 엔진의 수동 설치를 재인식하려면, 언리얼 엔진의 설치가 완료된 경로에 있는 .uproject 파일을 직접 열어보거나, 런처에서 제공하는 엔진 추가 기능을 통해 수동으로 경로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

아래는 유사한 상황에 대한 더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는 링크입니다:
- 언리얼 엔진을 외장 하드에 설치한 후 런처와 연결하는 방법
- Epic Games Launcher에서 언리얼 엔진 수동 설치 경로 설정

문제가 지속될 경우, Epic Games의 공식 지원에 문의하거나, 관련된 기술 포럼에서 도움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김용국님의 프로필 이미지
김용국

작성한 질문수

질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