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야기를 나눠요
156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스프링 백엔드 개발 로드맵
현재, 스프링 입문을 완강하고 앞으로 로드맵을 따라 공부를 시작하려고 합니다.취준을 앞두고 있는 지금, "스프링 완전 정복 로드맵" 과 "스프링 부트와 JPA 실무 완전 정복 로드맵" 를 순서대로 들어야 하는지 질문드립니다. 취준과 팀프로젝트를 동시에 진행해야 하는 상황이라 효율적인 백엔드 공부를 하고싶습니다! 물론 꼼꼼히 처음부터 끝까지 배우고 싶은 마음이 있지만, 내용이 너무 방대해서 막막하네요. "스프링 부트와 JPA 실무 완전 정복 로드맵" 을 먼저 들으면서 실무적인 부분을 이해하며 취준을 하고, 추가적인 스프링을 더 깊게 공부하고 싶을 때 완전 정복 로드맵을 시작해도 괜찮을까요?전공생이긴 하지만, 웹 개발은 처음이라 질문드립니다...!
-
김영한의 실전 자바 - 기본편
'스프링 완전 정복' 로드맵을 함께 위한 Java 지식의 정도
안녕하세요.최근 학습 목표를 잡아가던 중 고민이 있어 질문글을 남깁니다. 올리신 로드맵 중에서 '실전 자바'를 먼저 하고 있습니다만 백엔드 개발자가 되기 위하여 '스프링 완전 정복'도 같이 해보려고 합니다. '실전 자바' 로드맵을 어느정도까지 마치고 '스프링 완전 정복'을 시작하는게 좋을지, 같이하면 더 좋은 강의, 책이 있을지 궁금하여 질문 드립니다.
-
백엔드 독학 시 취업 준비(포트폴리오) 및 공부 방향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백엔드 독학 시 포트폴리오 준비 및 공부 방향을 어떻게 해야 할지 방향이 잡히지 않아 고수분들의 의견을 청하고자 글을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저는 백엔드 개발자를 지망하고 있고인프런에서 강의를 들으면서 공부하고 있습니다.현재는 자바 강의 및 김영한 님 스프링, JPA, QueryDSL 강의 및 데이터베이스 강의를 수강하였고개인적으로 나름 포트폴리오? 하나 만들어보고자 도서 대출 반납 및 게시판 CRUD를 할 수 있는 것을 만들었습니다.(백엔드 부분 자바 코드)화면도 만들기는 했지만 GPT 선생님의 도움을 빌려 일단 화면이 보일 수 있을 정도만 해놨습니다. 이후 협업을 경험해 보고 싶은데 현재 올라와 인프런에서 사이드 프로젝트 자리가 있으면 지원하고 있지만뛰어난 분들이 너무 많아 참여가 힘든 것 같습니다. 일단 현재는 docker를 공부 중이며redis, aws를 공부하려고 합니다. 현재 취업을 위해 팀 프로젝트를 하고 싶은데 어떻게 참여할 수 있을지, 많이 부족하다면 현재 어떤 방향으로 더 공부를 진행해야 할지 방향을 잡기가 힘들어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중소기업에 취직하기 위해서는 JSP을 요구하는 곳도 많아 보이는데html, css, js를 활용해서 화면도 만들 정도로 공부해야 하는 것 인지도 질문드리고 팀플 구하는 방법 및 공부 방향 및 어떤 것을 더 추가적으로 공부하면 좋을지 댓글 부탁드립니다!감사합니다.많은 분들께서 댓글 주시면 경청하도록 하겠습니다!
-
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백엔드 개발자의 방향성에 대해 조언을 얻고자 합니다
현재 국비 학원을 수료하며 프로젝트를 마친 뒤에 김영한님 강의를 듣고 있으며spring에 대해 이제서야 이해하려 하는 취준생입니다.문득 제가 어떤 개발을 하고 싶은지 방향성에 대해 생각해보게 되었습니다. ->어떤 개발을 하고 싶은지 방향성에 대해 되짚어 보고 있었다->SQL문을 짜면서 효율적인 방법은 무엇이 있을까 고민하는 과정이 스스로 가치 있는 고민을 하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데이터 처리 속도 개선에 관하여 고민하는 개발자가 되고 싶다.->대용량 트래픽을 다루는 서비스 회사에서 성장하고 싶다. 질문 ==> 위의 4문장을 설득력 있게 말하기 위해서 취준에 뛰어드는 예비 백엔드 개발자 수준에서 할 수 있는 "공부 방향"은 무엇이 있을지 조언 해주실 수 있을까요? (특정 개념이나 강의를 추천해주셔도 감사할 것 같습니다. )
-
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진짜 강의 구매하길 잘했다는 생각이 너무 듭니다 🥹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아직 강의를 완강한 것도 아니고 로드맵을 전부 구매하지는 않았지만 지금까지의 설명을 들었을 때 사람들이 그렇게 호평한 이유를 알 것 같습니다! 주워들었던 용어들에 불과했던 IoC, DI, SOLID 원칙 등등.. 특히 역할과 구현 분리 부분에서 자동차와 연극 비유는 레전드였습니다 👏👏사실 저는 그동안 node.js 기반으로만 개발 공부를 하고 있었어서 처음에 스프링 무료 버전을 들었을 때 까지만 하더라도 유료 강의들로 넘어간다고 해서 내가 이해할 수 있을까..? 라는 불안감이 있었는데, 지금처럼 계속 공부한다면 충분히 스프링도 익숙해질 것이라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영한 님이 이 글을 보실지는 모르겠지만.. 진짜 감사드립니다 👍👍👍 모르는 게 생기면 바로 바로 여쭤보겠습니다!
-
springboot로 API 다루는 강의 추천해주세요.
springboot에 react로 개인 프로젝트 하려고 하는데 들어가기 전에 API 보내는 강의 듣고 싶어서요 ㅜㅜ 블로그는 많긴한데 정확히 배우고 싶은데 혹시 추천해주실 수 있나요?
-
Slack 클론 코딩[백엔드 with NestJS + TypeORM]
그냥 spring boot쓰는게 나을 듯.
nestjs가 java spring을 javascript 진영에 가져올려고 노력한 흔적이 많이 보이긴 한데요, 아직 프레임워크 자체의 안정성도 어떤 부분에서는 아직 부족해 보이고, 이렇게 만들거면 그냥 java랑 spring 쓰지, 뭐하러 javascript이랑 nestjs 쓰나 싶네요. 솔직한 마음으로 꼭 javascript랑 nestjs를 백엔드에서 써야하는 상황이 아니라면 그냥 믿고 쓸 수 있는 java spring boot + jpa 혹은 좀 더 나가면 spring boot + r2dbc 조합으로 쓰는게 실무에서는 좀 더 현실적으로 보입니다.
-
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로그 파일과 관련하여 궁금한 것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질문이 있어요 🙋🏻♀️ 현재, 로그 기능을 적용하여 로그 기록을 파일로 내보내는 방법에 대해 살펴보고 있어요. 다름이 아니라, 로그 패턴을 지정할 수 있던데요, 혹시 나중에 로그 기록을 살펴 볼때 가장 처음에 %-5level 이 먼저 나오는 것이 보기 편할까요, 날짜가 먼저 나오는 것이 더 좋을까요? 그리고, 실무에서는 log4jdbc 와 같은 의존성을 추가하여 데이터베이스도 로깅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