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야기를 나눠요
160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스프링부트로 직접 만들면서 배우는 대규모 시스템 설계 - 게시판
안녕하세요! 실무와 관련되서 질문드립니다!
일단 너무나 잘 보고 있습니다! 아직 저한테는 너무 어려운 주제라 몇번은 곱씹어보며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 노력해보겠습니다..! 다름이 아니고 몇가지 궁금해서 이렇게 질문 드려봅니다! 제가 다니는 회사는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하는 SI 업체를 다니고 있습니다! 아무래도 회사나 클라이언트의 목표 자체가 성능보다는 안전함을 추구하기에 사실 이렇게 대규모 시스템 설계와는 좀 거리가 먼 경향이 있습니다ㅠㅠ 강의 내용이랑이런게 너무 좋긴한데 이럴때는 강사님은 어떤식으로 공부하실거같나요??1번과 연관된 질문인데 제가 지금 유지보수하는 사이트가 그렇게 많은 트래픽을 받고 있진 않습니다..! 그렇더라도 저렇게 바람직한 설계를 해두는 것이 좋은 것인가 궁금합니다!마지막으로 강의 내용을 보면 MSA 방식을 사용하셨는데 앞으로 대용량 트래픽을 다루는 많은 기업들이 MSA 방식을 채택하고 변경하실 것이라고 생각하나요?? MSA 방식에 대해 공부하고 학습해두면 취업 시장에서 경쟁력이 있을지 궁금합니다!이래저래 고민이 많다보니 이렇게 길게 질문드려서 죄송합니다!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강사님 답변 기다리겠습니다!
-
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3편, 람다, 스트림, 함수형 프로그래밍
함수형 인터페이스 활용
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영한님, 항상 좋은 강의 감사드립니다! 🙇♂최근에 람다와 함수형 인터페이스 강의를 들으며 그동안 아무 생각 없이 사용하던 optional 의 orElseThrow() 같은 메서드들이사실 supplier 같은 함수형 인터페이스를 활용한 구조라는 걸 더 명확히 이해할수 있었던것 같습니다.다만 한 가지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실무에서도 직접 함수형 인터페이스를 정의해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지 궁금합니다! 강의 덕분에 이제 개념은 어느 정도 이해했는데, 막상 제가 진행 중인 프로젝트에 “이걸 어떻게 녹여내야 유지보수성이 올라갈까?” 하는 부분이 아직 감이 잘 오지 않는것 같습니다. 혹시 영한님이 실무에서 함수형 인터페이스나 람다를 적용할 때 ‘이럴 때 쓰면 좋다’ 싶은 포인트가 있다면 조언 부탁드립니다! 항상 좋은 인사이트와 강의 주셔서 감사합니다 🙏
-
Spring WebFlux + LLM 실전 구현
WebFlux를 실무에 적용하기 전에 고민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선생님. 우선 좋은 강의 감사드립니다.저는 회사에서 백오피스 서비스의 백엔드 개발을 담당하고 있으며, 현재 유지보수 중인 서비스를 개선하기 위해 WebFlux 공부를 시작하게 되었습니다.저희 백오피스의 주요 패턴은 다음과 같습니다.사내 사용자가 특정 데이터를 일괄 선택하여 API 호출백엔드에서 해당 데이터를 조회조회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외부 API를 순차 호출성공/실패 결과를 집계하여 응답 반환즉, “여러 건 조회 후 순차적으로 외부 API를 호출하는” 동기적 패턴이 많습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MQ 도입 (SQS, Kafka),Spring @Async,기존 코드를 WebFlux 라이브러리로 마이그레이션위 3가지 사항을 후보로 고민해보았습니다.여기서 제가 가장 궁금한 점은 다음 두 가지입니다.WebFlux를 이런 백오피스 일괄 작업 처리에 적용하는 것이 적절한 선택일까요?만약 적용한다면, 최대한의 성능을 낼 수 있는 활용 방식은 어떤 방향일까요?예를 들어, 외부 API를 병렬로 호출한 뒤 완료되는 대로 text/stream 형태로 프론트엔드에 전달하는 구조를 시도해보고 싶습니다.이런 접근이 합리적인지, 혹은 더 나은 패턴이 있을지 선생님의 의견을 듣고 싶습니다.
-
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2편
코딩테스트 준비
자바 기반 코딩테스트 준비를 위해코딩테스트 플랫폼 사이트에서 기초단계를 풀어가며 자료구조/알고리즘 개념을 익히기위해중급2편을 병행해서 들으려하는데, 추후 코딩테스트 유형별(탐색, 정렬, 탐욕, DFS/BFS 등)로 문제풀어보며 실전을 익히기전에 중급2편으로 자료구조 알고리즘 전체적인 개념정리가 커버되는지 아니면 별도 자료구조/알고리즘 강의를 들어야되는 기초적인 자료구조범위만 배우는건지 궁금하여 문의드립니다.
-
김영한의 실전 자바 - 기본편
공부하다 진도를 못 나가고 있어요 ㅜㅜ
공부를 하다가 즐거운 문제와 풀이 시간에 문제를 보고 -> 생각하고 혼자 풀고 -> 답안 강의 보고 이런식으로 강의를 들었는데 생성자 부터 혼자서 문제를 풀 수 없고 강의 보고 따라하는 상황 입니다. 그 동안 앞에 강의만 듣고 이해해서 혼자 문제를 풀었는데 생성자 부터는 강의를 보고 제출해 주시는 문제를 혼자 풀 수 없는 상황이 되니 자신감이 많이 떨어진 상태로 멈춰 있는 상황입니다. ㅜㅜ뒤에 강의도 미리 결제해 놓고 있는데 ㅜㅜ 이해가 안되도 그냥 따라하면서 강의를 쭉 들어야 하는 것인지?아니면 두 번 세 번이라도 강의를 다시 본 다음 이해를 하고 넘어가야 하는지ㅜㅜ저 어떻게 해요..........ㅜㅜ
-
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1편
프로젝트를 하기 위한 커리큘럼
안녕하세요. 제가 9월 초부터 스프링 부트를 사용해서 웹을 만들어야 해요. 현재는 영한님 자바 입문편부터 중급1편까지 보고 있는데 중급2편까지는 다 볼 거예요. 근데 그 이후에 스프링 부트로 바로 넘어가야 프로젝트를 할 수 있을 거 같아요. 그래서 자바 중급2편 후 스프링부트를 실제 프로젝트에 적용할 수 있게만 하는 정도의 커리큘럼은 어떻게 될까요? ex) 중급 2편 - DB1편 ~~이런식으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김영한의 자바 입문 - 코드로 시작하는 자바 첫걸음
코드 리뷰 부탁드립니다!
package array; import java.util.Scanner; public class Ex7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canner scanner = new Scanner(System.in); int student_count = 4; String[] subject = {"국어", "영어", "수학"}; int subject_count = subject.length; int total_index = subject.length; int[][] point = new int[student_count][subject_count+1]; for (int i = 0; i < point.length; i++) { System.out.println((i+1) + "번 학생의 성적을 입력하세요:"); for (int z = 0; z < subject_count; z++){ System.out.print(subject[z] + " 점수: "); point[i][z] = scanner.nextInt(); point[i][subject_count] += point[i][z]; } } for (int i = 0; i < point.length; i++){ System.out.println((i+1) + "번 학생의 총점:" + point[i][total_index ] +", 평균: " + ((double) point[i][total_index ]/subject_count)); } } }안녕하세요. 배열 문제 풀이 2, 2차원 배열1 문제에서선생님과 다른 풀이 방법으로 접근해보았습니다.기존 4x3 대신 칼럼을 하나 더 추가해 마지막 칼럼을 총점수를 저장하는 방법을 사용하였습니다.의도는 이러합니다.- 필요에 따라 학생수와 과목수를 추가함에 따라 for문을 변경하지 않아도 되도록 하고싶었습니다.- 칼럼을 하나 더 추가해 마지막 칼럼에 총점을 저장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싶었습니다.- 확장성과 유지 보수 측면에서 좀 더 간편했으면 싶었습니다.여기서 발생한 문제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개인적으로 느끼기엔 가독성이 선생님의 코드보다 떨어져보인다.-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 선언한 변수가 비효율적이다. (int total_index = subject.length;)total_score[] 배열을 하나 더 만들어서 저장하는게 더 나을까요?제 아이디어와 코드가 어떤지 리뷰를 들어보고 싶습니다!
-
김영한의 실전 자바 - 기본편
코딩테스트 + 프로젝트를 위한 진도 정도
안녕하세요 자바강의를 듣는 도중 코딩테스트 + 프로젝트를 병행하고 있습니다.코딩 테스트 해답을 보면 this, super같은 강의 뒷부분에 있는 내용들이 자주 나오는걸 보았습니다.이러한 개념들을 모르니 문제를 공부하려해도 개념부터 다시 공부해야 하는 상황이 종종 발생합니다.기업 코딩테스트 수준의 코딩문제를 풀기위한 기본개념을 갖추려면 김영한님 자바강의의 어느부분까지 수강해야 모르는 개념 없이 알고리즘 공부를 할 수 있는지 문의드립니다. 좋은 강의 만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김영한의 실전 자바 - 기본편
자바 기본 함수(?)들 배우는 강의도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기초 무료 강의를 듣고 지금 기본편 강의를 수강중인 학생입니다. 기본편 들으면서 매일 백준 문제 1-2개라도 풀고 있는데 (브론즈 단계지만..)모르는 문제들은 gpt 물어보기도 하고 검색도 해보니자바에서 기본 제공해주는 함수들(ex. charAt() 와 같은 함수들..)도 배울 수 있는 강의가 있을까요?아니면 제가 백준 문제 풀면서 스스로 배워가야 하는지..아직 기본편 중반까지만 와서 잘 모르겠는데, 혹시 뒤에 이런 함수들을 다루시는지 궁금합니다!기본편 아니더라도 다루는 강의가 있다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
(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2025 실기 2회 예상문제 건의
2025 실기 2회가 1주일 남았습니다매 회차마다 나오는 문제를 가장 잘 아시기도 하고강의 중간중간 나올것같다 라고 말하셔서 건의드립니다.강사님의 선구안으로 이번엔 이게 나올 것 같은데 .. 이런 유형으로 나올 때가 된 것 같은데? 라고 생각하시는예상문제 몇 개만 던져주시면 맛있게 먹겠습니다감사합니다.
-
(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마무리 특강 건의드립니다.
정보처리기사 실기 시험 범위가 너무 넓어서 고생하고 있는 수강생 입니다 ㅠㅡㅠ 유투브에 올려주신 영상보고 도움 많이 받아서 결제했었어요!마무리로 시험장 들어가기전에 복기할 수 있는 이론 키워드, 프로그래밍에서 꼭! 알아야할 부분, 전체 범위 압축 설명 등 특강 영상이 있으면 정리하기 좋을 것 같아 건의드립니다.
-
(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정보처리기사 실기 공부 방법
정보처리기사 2025년 2회차 실기를 보려고 정보처리기사 공부를 하려고 하는데 공부방법은 어떻게 하면 될까요?
-
(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코드문제 pdf 모음 문의
안녕하세요. 강의 잘 보고있습니다.풀이해주신 코드 문제들 pdf로 모아둔건 따로 없을까요?각각 강의마다 찾으려니 헷갈리네요 ㅜㅜpdf로 출력해서 모의고사처럼 여러번 반복해보려고 합니다.
-
(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pdf 모은 교재는 없나요
안녕하세요. 강의를 시청하려고 합니다.혹시 교재는 없나요? 교재가 있으면 구입하려고 합니다.교재가 없다면 강의노트와 같은 파일은 어디서 볼 수 있을까요?(강의별로 pdf가 따로 게시되있는거 같아서요. pdf모은 교재 모음집이 없나 궁금합니다)
-
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스프링 백엔드 개발 로드맵
현재, 스프링 입문을 완강하고 앞으로 로드맵을 따라 공부를 시작하려고 합니다.취준을 앞두고 있는 지금, "스프링 완전 정복 로드맵" 과 "스프링 부트와 JPA 실무 완전 정복 로드맵" 를 순서대로 들어야 하는지 질문드립니다. 취준과 팀프로젝트를 동시에 진행해야 하는 상황이라 효율적인 백엔드 공부를 하고싶습니다! 물론 꼼꼼히 처음부터 끝까지 배우고 싶은 마음이 있지만, 내용이 너무 방대해서 막막하네요. "스프링 부트와 JPA 실무 완전 정복 로드맵" 을 먼저 들으면서 실무적인 부분을 이해하며 취준을 하고, 추가적인 스프링을 더 깊게 공부하고 싶을 때 완전 정복 로드맵을 시작해도 괜찮을까요?전공생이긴 하지만, 웹 개발은 처음이라 질문드립니다...!
-
(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정보처리기사 실기 붙을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정보처리가사 2025 2회차 실기 시험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다름이 아니고 제가 이제 막 정보처리기사 실기를 준비하려고 하는데요 한달도 안남았는데 붙을 수 있을까해서 질문 올립니다. 그리고 인프런 안에 있는 강의들만 듣고도 붙을 수 있을지 궁금합니다. 아 그리고 공부 방법은 하루에 4시간해서 3시간은 코딩공부하고 나머지 1시간은 이론공부하려는데 이러한 공부방법이 맞을지도 궁금합니다.
-
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Spring 공부 어떤 강의 순서로 듣는게 좋은가요?
안녕하세요!프론트엔드 1년차 개발자입니다.제가 사정상 다른 직장으로 이직을 해야하는데, 스프링을 사용할 수 있냐고 해서 공부해오겠다고 하였습니다.자바랑 스프링은 대학 전공 시절에 잠깐 하였고, 데이터베이스는 sqld 따는 정도로 지식 갖고있습니다.3개월정도 시간이 있는데 어떤 강의 순서로 커리큘럼을 듣는게 좋을까요?
-
(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정보처리기사 실기 방향성
안녕하세요 이번에 선생님과 함께 25년 1회차까지 총 2~3번 실기를 함께해온 수강생입니다. 공부를 꾸준히 하지않고 매번 시험기간때에만 2주정도씩 공부했던거 같습니다.(직장과 병행)근데 이번 시험을 보고선 솔직히 과연 붙을 수 있을까? 라는 의문이 생겼습니다. 이번 시험에는 기간을 길게 잡고 갈려고 합니다. 어떠한 방향으로 가야할까요?이번 시험 내역입니다. 1.세션 하이재킹(x)-> 세션 재킹으로 작성2.도메인, 개체, 참조(o)3.CRC 4.스캐어웨어(o)5.자바-예외처리6.ARP, RARP(o)7.SQL(o)8.ㄷ.degree, ㅁ.cardinality, ㅅ.foreign, ㄱ.domain(o)9.서브넷10.C언어 - C 추가 후 정렬11. C언어 - 3X3 배열, malloc12. 결합도 종류에 해당하는 기호를 쓰시오. (o)13. 자바(o)14. 래퍼(wrapper) 패턴, 서로 다른 인터페이스끼리 연결(o)15. 구문 커버리지 -> 이 문제는 아예 이해를 하지 못했습니다.16. 자바 - Math.max() -> 맞았는지 기억이 나지 않습니다.17. 파이썬 - 트리18. C언어 - 연결 리스트(head 5 4 3 2 1 순으로 연결 - 리커넥트를 하면 3을 앞으로 가져와서 연결 35421)19. 16진수 20. 자바 - 재귀(o) -> 이건 강의에서 본 기억이 있어 정확히 풀어서 맞췄습니다.
-
(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이론 공부 방법
PDF개념내용 보고 있는데 시간이 얼마 없네요..ㅠ 기출문제에서 나온 정답은 배제하고 그거와 연관된 내용을 공부해야 할까요?.. 당장 시험이 내일이라 효율적인 개념공부방법 추천드립니다..ㅠex) 1.기출문제에서 '반정규화'가 답으로 나왔으면 '반정규화'는 공부하지 말고 다른 DB 개념 공부ex) 2. 기출문제에서 '싱글톤패턴'이 답으로 나왔으면 '싱글톤패턴'는 공부하지 말고 다른 디자인패턴 개념 공부
-
(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코드 자료
java, C, python 별로 설명한 코드를 모아둔 pdf파일이 있나요?? 하나하나 다운받아서 보려고 하니까 조금 불편하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