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야기를 나눠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온라인 모각코 운영에 대한 조언을 얻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디스코드로 온라인 모각코 참여 및 운영을 하고 있습니다😊다름이 아니라, 약 3개월동안 모각코를 운영하며 어떻게 매니징하면 스터디원들이 더 집중하며 학습할 수 있을지 계속해서 고민하고 환경을 개선해나가고 있습니다.😢 온라인 모각코를 경험해본 적 있는 분들께 조언을 구하고자 설문 조사를 진행하게 되었습니다!https://naver.me/xhKSAFIb성실히 응해주신 5분들께는 소소하게나마 커피 쿠폰을 보답으로 드리려 합니다.☕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유니티 레벨 업!] 모듈식으로 개발하는 스킬 시스템
코드 분석방법에 대해 묻고싶은게 있습니다.
이번에 멀티 레이어드 상태 머신 강의를 수강 하면서 정말 이해가 안돼서 5번은 돌려봤습니다. 개념적으로 익숙하지 않고 스스로가 아닌 남이 만든 코드를 이해 하는게 낯설기도 하여 이런 상황을 맞닥뜨린 것 같습니다. 그래서 강사님에게 묻고 싶은 내용은 강사님은 다른 사람이 만든 코드를 볼 때 어떤 방식으로 접근하여 코드를 이해하고 분석하는지 입니다. 질문 내용 자체가 강의 내용과 직접적으로 연관도 없다 싶고 , 또 명확한 정답이 있다고 보기에도 어려운 질문이라 생각해서 가벼운 마음으로 답변 달아주셨으면 해서 고민있어요 카테고리에 질문 남겨봅니다.
-
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노트 정리해보았습니다! 혹시 필요하신 분 있으실까요?
[ 배움 ]- ApplicationContext는 BeanFactory의 자식이다=> ApplicationContext는 부가 기능 제공 - ApplicationContext 부가 기능=> 여러 인터페이스의 묶음==> 메시지 소스:===> 메시지의 국제화 등==> 환경 변수: ===> 환경 변수 사용 등==> 이벤트:===> 이벤트 발행 등==> 리소스:===> 리소스 파일 열기 등 - 스프링 컨테이너=> 실제 클래스가 아니라 개념이다 [ 생각과 느낌 ]- 인터페이스가 많이 분리된 경우를 많이 봤는데=> 그 이유가 역할의 분리에서 나온 것이었구나 - 환경 변수 어떤 기준으로 쓸까?=> 환경에 따라 값을 다르게 하기 위해 사용==> 즉, 이 값을 환경 변수로 둬야 할까의 기준은 어떤 환경에 쓰는가에 달라지냐 여부===> 예: 환경 별 달라지는 사용 데이터베이스 - 여러 환경을 두려면=> 테스트 등 을 위해 따로 DB 등 서버를 띄워야 하고==> 그만큼 많은 하드웨어 리소스도 많이 필요하겠구나
-
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노트 정리 해보았어요! 혹시 어떤 내용이 기억에 남으시나요?
[배움]- 부모 타입으로 조회=> 자식 타입들도 끌려 온다- 모든 자바 객체의 최고 부모=> Object [생각과 느낌]- 코드 내에서도 역활과 구현을 확실히 나타내 주도록 하자=> (부모 class) return (구체 class)
-
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정리해보았습니다! 이상할까요?
[생각과 느낌]- Bean에게는 Name이 있다- Bean에게는 Type이 있다- 같은 Type의 Bean은 Name으로 구분한다
-
토이플젝이나 사이드 플젝에 참여해보고싶은 디자이너 취준생 궁금한점
안녕하세요 토이플젝이나 사이드 플젝에 참여해보고 싶은 UIUX디자이너 취준생 인데요!비전공자라 발목 잡을거 같아서 선뜻 참여를 못하겠더라구요 ㅠ 어느정도 레벨로 개발자분들과 소통이 가능해야 참여할 수 있을까요?
-
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노트 정리 해보았습니다. 가장 중요한 핵심은 어디일까요?
[ 배움 ] - getClass() 하면 classpath가 출력됨- isInstanceOf 로 구체 객체 확인- 타입으로만 조회 가능- assertThrows 로 예외가 던져지는지 테스트=> 주로 실패에 대한 테스트 시 사용 [ 깨달음 ] - 테스트는 실패 하였을 때 에 대한 case도 필요하다=> 예: 인증 실패에 대한 response는 어떻게 오는지 확인 [ 생각과 느낌 ] - java는 다양한 Exception 에 대한 정의를 해두는 방식으로 현재 어떤 오류가 나는지 사용자에게 알려주고 있다.=> Exception 명을 정 할 때 해당 오류에 대한 소개가 나와야 한다.
-
배달앱 클론코딩 [with React Native]
필요할때 쏙쏙 골라봐도 괜찮을까요?
현재 빠르게 만들어야 하는 프로젝트가 있습니다! (두달 내)이 프로젝트에서는 카카오로그인 말고는 외부 API 호출이 없으며스프링부트와의 간단한 요청 응답이 있을것으로 보입니다! 일단 지금까지 들으면서 기본적인 폴더구조와 ui 팁들을 보고 학습하였는데요 이 이후의 강의내용은 후에 다른 프로젝트에서 네이버 맵 연동이나 티맵 연동과 같은 기능구현이 필요할 때 봐도 괜찮을까요?(섹션 5의 스플래시 스크린 만들기부터 이미지 그리드 만들기까지는 볼 예정입니다!) 현재 Expo로 프로젝트를 만들고 있기도하고 리액트 네이티브가 처음이다보니 쭉 완강을 일단 때리고 봐야하는지 살짝 고민이네요!!
-
Next + React Query로 SNS 서비스 만들기
무한 스크롤
무한 스크롤링에서 강의를 보면 5개 데이터 다음에 5개를 덧붙여주는 식(총 5n로 리스트가 늘어남)으로 진행해주셨는데랜더링을 더 빠르게 하기 위해서 n개 고정 -> 스크롤 했을 때 다음 데이터가 바꿔치기? 가 가능할까요?
-
견고한 결제 시스템 구축
강의 잘보고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강의 잘보고있습니다.결제 관련된 강의가 거의 없던데 참고하는데 도움이 많이됩니다.조금 빠른감이 있고 아직 제실력으로는 이해하기 어려운부분도 많지만 끝까지 완강해보려고합니다.궁금한점은 이 결제 웹서비스는 web 패키지를 따로 만들어서 분류하던데요 혹시 mobile 과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
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노트 정리해보았어요! 추가 할 내용 있을까요?
[Spring 적용]- @Bean=> method에 적어줌==> 컨테이너에 등록됨- ApplicatonContext 생성=> 컨테이너 생성==> new AnnotationConfig...(AppConfig.class);- 컨테이너 통해서 찾아옴=> bean을 가져옴==> name: method 이름==> type: 반환 type- 실행 시 등록 됨=> @Bean 해둔 것 singleton instance 생성- 스프링의 어마어마한 장점:=> 컨테이너가 관리해서 어마어마 해진다 [생각 및 느낌]- 좋은 개발자는 당연한 것에 의구심을 품는 개발자이다- 스프링의 개발 시초는 DIP 와 OCP를 지키기 위해서 생긴거구나
-
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노트 정리해보았어요! 추가 할 내용 있을까요?
[스프링 컨테이너 생성]- 컨테이너 생성 과정=> ApplicationContext는 인터페이스 이다==> AnnotationConfig (annotation 기반)- 요새 XML 잘 안씀=> Boot 에서 java config 편함- AppConfig=> 우리가 작성한 AppConfig가 컨테이너에 대한 명세 였다- 주의: 빈 이름은 항상 다른 이름을 부여 해야 한다=> 실무에서는 무조건 단순하고 명확하게 개발 해야 한다- 스프링 빈 의존관계 설정 - 준비=> MemberServiceImpl은 MemberRepository를 의존함==> 이를 생성자로 주입 받음 (의존관계 주입 DI)===> 스프링에서 알아서 필요한 것들을 순차적으로 생성해 넣어준다- 스프링 빈 의존관계 설정 - 완료=> 의존관계 주입도 같이 처리 된다==> MemoryMemberRepository는 bean으로 동록 하지 않았지만 주입에는 사용 되었다[생각과 느낌]재미있다
-
개발자를 위한 컴퓨터공학 1: 혼자 공부하는 컴퓨터구조 + 운영체제
현재 책을 구매해서 다읽었는데 강의를 들으면 좋을까요?
혹시라도 책에나오는 내용외의것이 나오면 해당 부분만 강의를 보려고하는데 어떻게 하면 좋을지 궁금합니다!~
-
10주완성 C++ 코딩테스트 |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대학교 3학년인데 방향성에 대해서 고민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고민이 있어서 이렇게 글을 남기게 되었습니다. 사실 유튜브 개고민에 글을 남겼지만 빠르게 답변을 받고 싶어서 여기도 글을 남깁니다 ㅎㅎ 이제 소프트웨어학과 3학년입니다. 이 때까지 별다른 목표없이 장학금을 위해서 학과 공부만 열심히 했습니다. 그래서 높은 학점을 유지해왔습니다. 그런데 지금은 큰돌님 강의를 들으면서 대기업 백엔드 개발자를 목표로 공부를 하고 있습니다. 강의를 들으면서 코딩테스트를 준비하고 매일 한 시간씩 cs 공부를 하고있습니다.코딩테스트 준비를 다 끝내고 6월부터 백엔드를 깊게 파면서 공부를 진행하려고 합니다. 지금 이렇게 코테, cs 먼저 하는 것이 맞는지 궁금합니다! 추가로 계속해서 학점을 유지하는 것이 좋은지 아니면 코테, cs, 백엔드 공부에만 몰두하는 것이 좋은지 고민이 있어서 글 남깁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기술 스택 도식화 / 플로우 차트
혹시 다들 어떻게 그리시나요.. ? 기술명마다 아이콘 넣어서 나오는 그림들은 이미지 하나하나 다 저장해서 넣는 건가요??어떤 플랫폼으로 하는 게 좋은 지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ㅜ
-
설계독학맛비's 실전 FPGA를 이용한 HW 가속기 설계 (LED 제어부터 Fully Connected Layer 가속기 설계까지)
FPGA 분야 질문
안녕하세요 맛비님. 맛비님의 강의를 들으면서 더 FPGA에 대해 흥미가 생겨 관련된 진로를 하기로 결정했습니다. 하지만 막상 취업 시장에 대해서 조사를 하려니 아는 정보가 부족하여 취업 공고에 FPGA, RTL 엔지니어만 검색하니 나오는 기업이 너무 적게 나옵니다. 경력 사원을 구하는 경우가 체감 상 80~90%입니다. 신입은 거의 없다고 생각이 듭니다. 현재 FPGA 시장이 원래 신입을 선호하지 않는 것인가요?중견기업을 희망하지만 제가 찾은 일부 기업의 대부분이 중소기업이었습니다. 중소기업에 먼저 취업을 한 후 경력을 쌓은 후 이직을 하는 경우가 많나요? 아는 분야가 너무 적어서 검색하는 방법이 한정적이라는 생각도 들어 현직에서 일하시는 맛비님께서 알고 계시는 분야를 검색하여 기업을 조사하고 싶습니다. 맛비님께서 알고 계시는 다른 방법이 있나요? 잡코리아와 잡플래닛에서 찾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노트 정리해보았어요. 어떤가요?
< IoC >-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입장에서는 어떤 것을 쓸지 제어 할 수 없다=> 외부에서 관리함예: AppConfig vs. OrderServiceImpl< 깨달음 >- 라이브러리와 프레임워크 차이=> 라이브러리: 내가 만든 체계에서 직접 호출한다=> 프레임워크: 내가 만든 것을 알아서 호출한다< DI >- 정적인 클래스 의존 관계=> import만 보고 쉽게 파악 가능=> 세부 기능이 바뀌어도 바뀌면 안된다- 동적인 객체 의존 관계=> 실제 실행 봐야 알 수 있음=> 세부 기능에 따라 바뀜- DI:-- 인스턴스 생성한다-- 참조하는 값에 넣어준다< 깨달음 >- 의존 관계는 두가지 이다=> 정적: 클래스 의존 관계=> 동적: 객체 의존 관계- 툴로 분석 가능=> Intellij: diagram - show diagram- 설계 할 때는-- 인터페이스 설계 그리고-- 객체 설계 까지 두루 한다< IoC, DI 컨테이너 >- 뜻: 객체를 생성하고 연결해주는 역할을 하는 아이- 예: AppConfig, 스프링, Assembler, Object factory< 깨달음 >- 잘 만든 코드는 코드 블럭을 가지고 조립하는 것이다
-
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저처럼 소름 돋으셨나요?
[와우 포인트]고칠 때 차이- 구성 영역, 사용 영역 중 구성 영역만 바꾸면 된다-- 구성 영역: 대신, 구성 영역이 세세히 다 알아야 한다-- 사용 영역: 더 이상 손댈 필요가 없다.--- => 스프링 코드 짤 때 AppConfig 코드 외 아무 것도 손대지 않아도 된다- 개발자가 하는 일=> 최초에 사용 영역만 인터페이스만 사용해서 잘 만드는 것- OCP 지켜짐=> 구체화를 바꿔도 클라이언트 코드 바꾸지 않아도 된다==>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입장의 코드는 더 이상 인터페이스 구현체가 바뀌어도 바꾸지 않아도 된다- DIP 지켜짐=> 추상화만 의존==> 구현은 모름[팁]- Ctrl + R 하면 기존 실행된 것 실행됨
-
[자바/Java] 문과생도 이해하는 DFS 알고리즘! - 입문편
코딩테스트 방향성
코딩테스트 준비하다가 답답해서 이 영상 보고 어느정도 의문스러운 점이 해소돼서 방향성을 잡았는데 혹시 어떤지 한번 봐주실 수 있나요? 현재 프로그래머스에서 기초, 입문으로 분류된 문제들은 다 풀었고 나머지 문제들 정답률 높은 순부터 풀고 있었습니다. 프로그래머스와 유튜브 플레이리스트로 분류하신 알고리즘 빈출 유형 문제들만 반복해서 풀어보려고 했는데 괜찮을까요? 그리고 저번에 이 강의 소스코드 올려주신다고 한 거 같은데 좀 걸릴까요?
-
실제 이력서 사례로 알아보는 [합격하는 이력서] 작성 가이드
비전공 백엔드 개발자
안녕하세요.비전공 백엔드 개발자를 준비중인 취준생입니다.IT 학원에서 기본적인 언어와 JSP, Spring, 프로젝트까지 수료는 했으나 포트폴리오를 만들지못해 현재 온라인강의 사이트에서 간단한 CRUD 게시판을 만들어 놓은 상태입니다.이력서와 자소서 포트폴리오를 만들어서 지원했으나 서류에서 계속 떨어지더라구요~ 그래서 인프런에서 멘토링을 받아보니 제가 생각했던 이력서와 자소서가 아니더라구요~ 그래서 추천을 받아 워니님 이력서 강의를 수강하게되었는데요~ 너무 간단한 CRUD라서 이력서를 써도 괜찮을지 잘모르겠습니다.프로젝트를 좀 더 한 후에 이력서를 쓰는게 좋을지 아니면 간단하지만 만들어 놓은 CRUD 게시판을 활용해 이력서를 써서 지원해보는게 좋을지 고민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