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야기를 나눠요
156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자바 개발자를 위한 코틀린 입문(Java to Kotlin Starter Guide)
18강, 19강 에러 문의
안녕하세요 지식공유자님 !! 학습 내용, 기술적으로는 무관한 내용이어서 고민있어요 카테고리에 작성합니다. 18강, 19강 2개영상만 재생시에 에러메세지가 노출되는데요 !에러메세지는 다음과 같습니다. 재생에 문제가 생겼어요문제가 지속되면 문의해 주세요인프런측으로 문의글도 보내놓긴 했는데 혹시나 해서여기에도 남겨드립니다. 강의가 너무 재밌어서 ㅎ... 못기다리겠네요
-
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2편, I/O, 네트워크, 리플렉션
공부 순서 관련 질문입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 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자바 백엔드 개발자를 희망하는 취준생 입니다. 이 고급 2 강의를 다 듣고 스프링 강의를 들으려고 합니다. 스프링을 어느정도 수강하고 작은 프로젝트를 하는게 나을지, 자바로 작은 프로젝트를 해보고 스프링 강의를 들을지 고민입니다.! 시간적인 여유가 그렇게 많지 않습니다 ㅠㅠ 그리고 자바 백엔드 개발자라면 db도 알아야할 텐데 db 강의는 아직 출시되려면 많이 남은거 같아 따로 공부를 하려고 합니다db에 대해서는 어느정도 최소한 어느정도 알아야하며, 어떤식으로 공부를 해야할지 잘 모르겠습니다 ㅠㅠ 추천해주실 만한 방법이나 강의 또는 책이 있을까요?물론 김영한님 db 강의가 출시되면 그것도 전부 수강할 생각이지만 그전에 미리 공부하고 개발자로 지원도 할 생각입니다.. 알려주세요
-
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2편, I/O, 네트워크, 리플렉션
어떤 기준으로 클래스를 나눠야 하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 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이번 채팅 프로그램 만들기 하면서 느꼈습니다. 앞 수업에서 만든 v6 를 참고하면서 제가 만들었는데 요구사항대로 다 동작을 하긴합니다. 하지만 이번 영한님 강의를 들으면서 어떤기준으로 클래스를 나누어야하는지 감을 잘 못잡겠습니다. 제가 만든건 너무 하드코딩인거 같아요,,,
-
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1편
안녕하세요. 강의 기록 관련해서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갓영한 선생님의 강의를 열심히 듣고 있는 수강생입니다.비전공자여서 강의를 듣고 여러번 필기와 복습를 해야 그나마 조금은 이해가 되어서 그렇게 공부를 진행하고 있습니다.필기한 내용과 복습한 내용들을 velog나 깃허브에 올려가며 하루하루 기록해나가고 싶은데,혹시 강의 중에 나온 필기 내용들이나 코드들을 velog나 깃허브에 공개적으로 올려가며 복습을 진행 해도 괜찮을까요?
-
김영한의 자바 입문 - 코드로 시작하는 자바 첫걸음
적성고민
삭제된 글입니다
-
김영한의 실전 자바 - 기본편
학습 방법에 대해서 고민이 있습니다
기초 강의부터 하여 강의를 보면 이해가 되는데 혼자 해결하려고하면 어떻게 해야할지 감이 도저히 오질 않습니다. 블로그에서 코드 참고해서 코드를 적고 강의를 보면서 코드를 적어 구현하면 또 개발에 대한 흥미도 생기고 공부하는데 재미는 붙지만 스스로 코드를 짜는 것이 어렵기만 합니다그리고 김영한님의 입문 강의부터 기본 강의까지 완강을 해도 이해는 했지 실제로 코딩테스트나 프로젝트를 할 때 도저히 흰 화면에 어떻게 코드를 적어서 문제를 해결해야할지 모르겠습니다.. 그렇지만 개발 공부하는 것은 재밌고 흥미있어서 놓치 못하는 이유기도 합니다어떻게 하면 좋을까요?계속 기초개념을 강의를 반복해서 수강하는 것이 저에게 도움이 될까요?
-
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스프링 핵심 원리를 듣기 전에
혹시 자바를 전부 다 듣고 듣는 게 나을까요?자바는 중급 전까지 다 들어놓은 상태입니다.
-
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대학교 1학년의 고민
안녕하세요!현재 군복무를 마치고 25년에 2학년 복학 예정중인 컴공과 학생입니다. 군대에 있는동안 1학년 때 배운 대부분의 내용을 잊어먹어서 뭐라도 해야지 하던 중에 영한님 자바부터 스프링까지 커리를 타고 있는 학생입니다. 다름이 아니라, 이렇게 영한님 백엔드 커리를 타면서 추가적으로 혼자 해볼 수 있는 프로젝트가 어떤 것이 있을까요? 현재 '스프링 핵심 원리'를 듣고 있어 별로 아는 것이 없어서 프로젝트를 하기엔 무리인 것 같긴 한데 선배님이라면 이 시점에 어떤 것을 했을지 조언 부탁립니다!
-
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2편
김영한 선생님꼐
안녕하세요! 혹시 저는 백엔드를 하고 싶은 학생인데, 친구가 프론트엔드로 프로젝트 참여해볼 생각이 없냐고 물어봤습니다. 다만 학기중이라 프론트엔트를 처음부터 배우게 되면 아무래도 학교 공부를 조금이라도 더 소홀히 하게 되어서 학점에 영향이 아예 없다고는 못하지만 설령 나중에 인턴 혹은 취업 원서를 낼때 백엔드로 지원서를 내도 프론트엔드로써의 프로젝트 경험 유뮤가 취업 혹은 인턴 합격 확률에 많이 도움이 될까요?
-
김영한의 자바 입문 - 코드로 시작하는 자바 첫걸음
강의 커리큘럼에 대해서 질문 드립니다.
백엔드 개발자가 되고 싶은 취준생입니다.졸업한지는 좀 많이 되었지만,제가 개인적인 상황으로 늦게까지 취업을 하지 못했습니다.사실 아무것도 안하지는 않았습니다만, 핑계일 수 있지만... 개인적으로 힘든 상황을 겪고 있어, 취업에 집중하지 못했습니다.이제는 개인적인 상황을 돌파해서 무조건 취업을 하고 싶은 마음이 간절해서, 이렇게 질문 및 고민 글을 작성해봅니다.사실 신입 개발자로 취업하기에는 나이가 조금 많습니다. Q1. 빠른 취업이 목표인데, 포트폴리오를 만들 수 있는, 신입 개발자 수준을 충족하기 위한 커리큘럼이 어떤 순서대로 진행되는지 궁금합니다.김영한 강사님의 강의 커리큘럼에 대한 설명과 관련 영상도 보았습니다만, 제 상황에서 개인 맞춤 커리큘럼을 구성해야 될지, 어디까지 공부하는게 신입 개발자라면 충족해야 하는 수준인지는... 잘 모르겠습니다.자바는 어느 레벨까지 들어야 하는지, 그리고 스프링도 스프링과 스프링부트, 크게 두갈래로 나뉘어지는듯 한데, 먼저 무엇을 들어야 하는지도 잘 모르겠습니다. 정말 많이 궁금합니다. 번외로 자바와 스프링 강의 외에도 어떤 언어를 학습하면서 포트폴리오를 작성하면 좋을지... 김영한 선생님의 생각이 궁급합니다. Q2. 제 나이가 30대 초반입니다. 제 나이가 신입 개발자로서의 메리트가 있을까요? 취업과 회사 생활이 괜찮을까요..? 선생님 또는 멘토분의 생각이 궁금합니다.
-
김영한의 실전 자바 - 기본편
올바른 학습 방법에 대해 알고싶습니다
삭제된 글입니다
-
김영한의 자바 입문 - 코드로 시작하는 자바 첫걸음
학습기기 관련 고민이 있습니다.
김영한 선생님, 제가 개발을 공부중인데 노트북을 어떤걸 살지 고민중입니다.대다수의 it개발자, 엔지니어 분들께서 맥북을 사용하고 계신데 저는 윈도우만 주로 사용해왔어서 맥이 익숙하지 않았습니다. 개발자 엔지니어분들 사이에서 맥북이 선호되는 이유가 궁금하며 맥북을 구입하여 맥 os에 익숙해져야만 하는지 궁금합니다. 나중에 그래픽스 프로그래밍도 공부해볼 예정이여서 고민이 많은 상황입니다...
-
유니티 시스템 프로그래밍 Pt.1 - 상용 게임 구현을 위한 핵심 시스템 올인원 패키지
비싼강의 태블릿으로 못보게 해놨네요
신규강의라고 모바일환경에서 재생안되게 해놓았던데 태블릿까지는 막으면 안되는거 아닌가요? 태블릿으로 강의 틀고 노트북으로 따라하는데 이게 막혀서 곤란하네요..
-
Readable Code: 읽기 좋은 코드를 작성하는 사고법
Early return 시 if문 조건문의 개수
안녕하세요 간단한 질문이 생겨 글을 남겨 봅니다.Earl return 강의 중 7분 42초에 나오는 코드입니다. if (doesUserChooseToOpenCell(userActionInput)) { if (isLandMineCell(selectedRowIndex, selectedColIndex)) { BOARD[selectedRowIndex][selectedColIndex] = LAND_MINE_SIGN; changeGameStatusToLose(); return; } open(selectedRowIndex, selectedColIndex); checkIfGameIsOver(); return; }이 코드에서 더 나아가 if (doesUserChooseToOpenCell(userActionInput) && isLandMineCell(selectedRowIndex, selectedColIndex)) { BOARD[selectedRowIndex][selectedColIndex] = LAND_MINE_SIGN; changeGameStatusToLose(); return; } open(selectedRowIndex, selectedColIndex); checkIfGameIsOver();이런식으로 depth를 줄이면 더 가독성이 좋은 코드일까요? 아니면 if문안의 조건문이 길어져서 가독성이 떨어지는 코드일까요? +++수정 다음 강의를 듣고 보니, 두번째 if문에서 조건이 2개 들어가는 걸 메서드화로 시그니처로 잘 설명하면, 더 좋은 코드가 될 것 같습니다. 추가로 들어가는 생각인데, 이렇게 한다면, 가독성은 좋아지나, 별로 좋지 않다고도 생각이 듭니다. 불 필요하게 복잡성이 올라가지 않을까요??
-
김영한의 실전 자바 - 기본편
강의 내용 이해는 되는데 같은 개념의 같은 문제를 풀거나 응용이 어려워요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강의 내용 거의다 이해 되는데 같은 개념의 다른 문제를 풀거나 기능을 추가하려고 하면 막히다 보니 스트레스를 받게 되네요.물론 어떻게 어떻게 하다 결과를 도출하기는 하는데 솔직히 코드도 맘에 안들고 이런경우 어떤 식으로 공부하면 좋을까요?제가 창의성이 떨어지는건지.. 응용능력이 떨어지는 건지, 아니면 문제해결 능력이 떨어지는건지...
-
Readable Code: 읽기 좋은 코드를 작성하는 사고법
추상화와 메서드 추출
제가 다니는 회사는 대기업 서비스 개발 회사가 아니다보니 레거시 코드가 많습니다.개발을 하다보니 한 serviceImpl 안에서 메서드 추출을 많이 해놓으면 읽는 사람이 계속 왔다 갔다 해서 읽기 불편하다고 피드백을 받았는데요.이럴 때는 회사의 내려오는 틀을 따르는 게 맞는지 코드의 가독성이나 개인의 성장을 위해 이렇게 다 추출 하여 코드를 작성하는지 고민이 될 때가 있는데 어느 편이 좋다고 생각하시나요 ?
-
김영한의 자바 입문 - 코드로 시작하는 자바 첫걸음
고민
삭제된 글입니다
-
김영한의 실전 자바 - 기본편
코드 구현의 어려움
삭제된 글입니다
-
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2편
Player 클래스에서 addCard 함수의 기능이 궁금합니다
drawCard만 있으면 되는 거 아닌가요??
-
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1편
강의를 들으면서..
강의를 들으면서 이해하는데에 크게 어려움은 없으나, 저 혼자 프로젝트 a부터 z까지 개발하라고 한다고 가정하면 막막하네요.. 어떻게 설계해야한다는 감이나 생각이 안 드는 것 같은데 어떻게 해야되나요? 강의를 계속 진행하다 보면 어느 순간 감이 올까요? 멘토님들은 문법 강의만 듣고 실무에 적용하는 과정에 깨달은 걸까요? 선배 개발자로서 조언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