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야기를 나눠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자바스크립트 알고리즘 문제풀이 입문(코딩테스트 대비)
클래스를 활용해서 만들어보았습니다!
저는 matrix말고 list방식으로 그래프를 저장하고 경로를 탐색해보았습니다! class Graph { constructor() { this.adjacencyList = []; } addvtx(vtx) { if (this.adjacencyList[vtx] in this.adjacencyList) return; else { this.adjacencyList[vtx] = []; } return this.adjacencyList; } addEdge(v1, v2) { this.adjacencyList[v1].push(v2); } searchingPath(start, destination) { let tmp = []; let result = []; let mark = {}; const dfs = v => { var node = this.adjacencyList[v]; if (!node) return null; // 들어오는 족족 tmp에 조합을 넣고 // mark에 새긴다 tmp.push(v); mark[v] = true; if (v === destination) { result.push(tmp.slice()); } else { for (var nei of node) { if (mark[nei]) { continue; } else { dfs(nei); // 끝나면 다시 풀어주고 조합에서 빼버린다. mark[nei] = false; tmp.pop(); } } } }; dfs(start); return result; } } let graph = new Graph(); graph.addvtx(1); graph.addvtx(2); graph.addvtx(3); graph.addvtx(4); graph.addvtx(5); graph.addEdge(1, 2); graph.addEdge(1, 3); graph.addEdge(1, 4); graph.addEdge(2, 1); graph.addEdge(2, 3); graph.addEdge(2, 5); graph.addEdge(3, 4); graph.addEdge(4, 2); graph.addEdge(4, 5); graph.searchingPath(1,5)
-
Node.js 웹개발로 알아보는 백엔드 자바스크립트의 이해
[맥] 크롬 개발자 도구에서 xhr.send(data) 가 안될 때 해결법
저는 OS X 환경입니다. 세 가지 방법을 써서 됐는 데요, 어떤 게 정말 됐는 지 파악이 안됐는 데 일단 다 적어볼게요.첫 번째로 sendAjax('http://localhost:3000/ajax_send_email', inputdata); localhost 로 바꿔줍니다. 두 번재로크롬을 모두 닫고 cmd + Q로 닫으셔야합니다. open -a Google\ Chrome --args --disable-web-security --user-data-dir 를 터미널에 입력하면 그 다음 부터는 xhr.send(data) 가 올바르게 작동할 수도 있습니다. 보안상 안전하게 크롬의 default 세팅이 send 를 못하도록 되어 있는 것같습니다. 출처: javascript - Disable same origin policy in Chrome - Stack Overflow세 번째로 개발 시에 CORS 보안을 해제해주는 확장 익스텐션을 설치해줍니다. 사용방법은 해당 페이지에 동영상으로 되어 있습니다.extension 설치 링크
-
홍정모의 게임 만들기 연습 문제 패키지
예제 위치 + include 오류 나시는 분들께
(0). 예제들은 여기있어요. https://drive.google.com/open?id=1_L5oA2ShmA66PcJuOp3XV-m_Bv-JTTcj (1). 구글링 설명을 보시면서 vcpkg 를 설치해주세요. vcpkg는 파이썬의 pip 과 비슷하게 라이브러리를 손쉽게 설치/관리하는 도구에요. (2). cmd 에서 vcpkg 가 설치된 폴더로 이동하시고 vcpkg list 명렁어로 보유한 라이브러리를 확인해주세요. 불필요한 라이브러리가 설치된 경우, vcpkg remove 명령어로 제거해주세요. 이제 다음 세가지 라이브러리를 설치해주시고, intergrate를 해주세요. vcpkg install opengl:x64-windows vcpkg install glew:x64-windows vcpkg install glfw3:x64-windows vcpkg integrate install [출처] blog.naver.com/gkdud4797/221576974760 (3). 비쥬얼 스튜디오를 재실행해주세요 예제는 솔루션(.sln) 열기를 통해서 열어주세요. 3시간만에 해결했네요.. 이제 버닝합시다..
-
초보를 위한 쿠버네티스 안내서
해당 영상을 따라해도 계속 펜딩상태입니다.
해당 영상을 따라하고 구글링을 따라해봐도 로드밸런서의 External ip가 pending상태에서 풀리지않습니다 ㅜㅜ 이유가 뭘까요?
-
하울의 안드로이드 인스타그램 클론 만들기
데이터 모델 생성이 안되는 건
앞의 강의 내용을 그대로 따를 시에 cloud storage가 생성되는데 그렇게 하면 cloud firestore를 생성할 수 없습니다. 프로젝트를 다시 만드셔서 storage를 생성하기 전에 ( 자동으로 cloud storage가 생성되므로) cloud firestore를 먼저 만드신 다음에 스토리지를 생성하시면 문제가 해결됩니다.
-
현존 최강 크롤링 기술: Scrapy와 Selenium 정복
저처럼 혹시 phantomjs 실행할 때 path 에러 나시는 분들
아래 코드 사용해보세요. (윈도우환경입니다) # PhamtomJS phantomjs_file = 'D:\\WebDriver\\phantomjs-2.1.1-windows\\bin\\phantomjs.exe' driver = webdriver.PhantomJS(executable_path=phantomjs_file) phantomjs_file 에는 phantomjs.exe 파일 있는 경로 써주시면 됩니다. executable_path 넣어주니까 실행되네요
-
페이스북 클론 - full stack 웹 개발
감사합니다
에러 어떻게 대처할지 얘기해주는 강의는 처음이였네요! 잘 정리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스페이스 4개 = 탭 한번! 터미널에 에러문구 드래그해서 우클릭을 통해 구글링해서, 스택오버플로우 참고하는 것도 좋은 방법인거 같습니다!
-
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오타 발견이요~
안녕하세요 개발자님 덕분에 아주 쉽게 잘 배우고 있습니다! 복습하다가 이해하는 데는 전혀 지장이 없지만 아주 사소한 오타 발견하여 말씀드립니다 OCP 설명 마지막 문장에서 '사용 역영 -> 사용 영역'으로 바뀌어야할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
[2025년 출제기준] 웹디자인기능사 실기시험 완벽 가이드
강의기간
삭제된 글입니다
-
실전! 스프링 데이터 JPA
사용자 정의 repository 구현체 클래스명 2 가지 허용 확인
사용자 정의 구현 클래스명의 규칙으로 'repository interface 명 + Impl'인데, 1) 별도 정의한 interface 명 + Impl > 예: MemberRepositoryCustomImpl 2) 본체 repository i/f 명 + Impl > 예: MemberRepositoryImpl 이 두 가지가 모두 허용됨을 확인했습니다. 이에 더하여, 프로젝트 내에 두 가지 모두 각각의 클래스로 구현하면 1)번이 실행됨을 확인했습니다. Spring이 1)에 우선순위를 두는 것 같습니다.
-
커피 한 잔으로 입문하는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지극히 개인적인 의견
선생님.. 인간적으로 말이 너무 빨라요.. 랩퍼 하셔도 되겠어요.. 그리고 선생님.. 굳이 영어를 쓰지 않아도 되는 부분도 영어로 설명하시네요.. 외국인인 줄 알았어요.. 그래도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
[C#과 유니티로 만드는 MMORPG 게임 개발 시리즈] Part1: C# 기초 프로그래밍 입문
TextRPG에서 싸우기 전에 몬스터 정보 확인을 하고 싶을 때
오늘도 객체지향 TextRPG를 만들면서 연습하던 도중에, 똑같이만 만들면 지루해서 다른 기능들을 추가해보는 중이였습니다. 그중, Monster 클래스에 만들어놨던 몬스터의 정보를 가져오는 함수인 GetMonsterType을 이용해보고 싶어서 Game 의 ProcessField의 선택지에 하나를 더해서 싸우기 전에 몬스터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만들어 봤습니다. 그냥 ProcessField선택지를 추가하면, 프로그램에서 while문으로 Process함수를 계속해서 실행하고 있기 때문에, CreateRandomMonster()함수까지 다시 실행되어 선택지를 다시 선택하는게 아니라, 다른 몬스터를 생성해 버리는 문제가 있습니다.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위와같이 몬스터를 만드는 부분과, 선택지 부분을 다른 함수로 나누었습니다. 또, 정보를 확인하고 난 뒤에, 다시 Fight()함수가 실행될 수 있도록 하기위해서 GameMode에 Fight 를 추가하여, 메인 함수의 while문에서 호출되는 Process함수 내의 mode를 GameMode.Fight인 상태로 계속 반복되게 만들어, ProcessFight()가 계속해서 실행 될 수 있도록 만들었습니다. 결과는 이렇게 나왔습니다. 정보를 확인하고 도망가거나, 싸우거나 , 다시 몬스터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6번째 객체지향TextRPG연습인데, 이게 진짜 좋은 연습방법인것 같습니다. 코드흐름이나, 제가 눈치채지 못하고 넘어가던 부분들이 하나씩 보여서 개선해가는 느낌이 아주 기분이 좋습니다.
-
해외취업 ASP.NET Core 웹개발 기본 강좌
VS mac, .Net Core 3.1, PostgreSQL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안녕하세요. 자바개발자인데 5월부터 시작하는 .Net Core 프로젝트때문에 공부좀 할려고 강의를 듣게되었습니다. 하지만 .Net Core는 처음이고 .Net Core에대한 지식조차 하나도 없는데... DB관련에서 어려움이 생기더군요.혹시나 같은 어려움을 겪으시는 분이 있으시다면 참조하세요. ●윈도우 사용자분들은 섹션 4. 엔티티 프레임워크 코어의 DbContext 강의에서 아래 명령어 실행후 하시고① ...MyApp> dotnet tool install --global dotnet-ef② ..MyApp> dotnet add package Microsoft.EntityFrameworkCore.Design③ ..MyApp> dotnet ef <- 이젠 강의와 같은 정보가 출력된 것을 볼 수가 있습니다. 아래 MyAppContext.cs 내용이 있으니 참조하세요. MyAppContext설정하나가 추가됨 섹션 6. ASP.NET Core Identity 의 환경설정에서 DbContext에서 IdentityDbContext<ApplicationUser>로 변경하면 IdentityDbContext가 임포드할 수가 없다. 프로젝트폴더(MyApp) 우클릭 > [프로젝트 파일 편집] 클릭 MyApp.proj:다른건 디폴트로 건들리지 말아 주시고 PostgreSQL 라이브러리만 추가 <ItemGroup> ⓪<!-- dotnet add package Microsoft.EntityFrameworkCore.Design 인스톨후 자동추가됨 --> ⓪<!-- http://www.npgsql.org/efcore/index.html --> ⓪<PackageReference Include="Microsoft.EntityFrameworkCore.Design" Version="5.0.5"> ⓪⓪<IncludeAssets>runtime; build; native; contentfiles; analyzers; buildtransitive</IncludeAssets> ⓪<PrivateAssets>all</PrivateAssets> ⓪</PackageReference><!-- 추가 -->④<PackageReference Include="Microsoft.AspNetCore.Identity.EntityFrameworkCore" Version="3.0.0" /></ItemGroup>① ~ ④까지만 하시면 .Net Core 3.1로 하셔도 문제없으리라 봅니다. ● 환경 맥 OS 카탈리나 .Net Core 3.1 현재 3.1만 다운로드? 2.0은 어디있는 것인지 모르겠슴. .Net 5.0Visual Studio macDockerPostgreSQL 11.5 ● wwwroot는 직접생성 ● Controllers 폴더에 HomeController.cs 생성하기. 추가 -> 새 파일 -> ASP .Net Core -> 컨트롤러 클래스 -> 파일명 : HomeController ● Model 작성 추가 -> 새 파일 -> General -> 빈 클래스 -> 파일명 : Student or 추가 -> 새 클래스 -> General -> 빈 클래스 -> 파일명 : Student ● Razor 뷰 파일 생성.(Index.cshtml) 추가 -> 새 파일 -> ASP .Net Core -> Razor 뷰[cshtml] -> 파일명 : Index(Index -> Student ● Startup.cs : MVC 패턴에 매핑을위한 세팅 /* .Net Core 2.1 app.UseMvc(routes => { ⓪routes.MapRoute( name: "default", template: "{controller=Home}/{action=Index}/{id?}"); }); */ // ASP.NET Core 3.1 app.UseEndpoints(endpoints => { ⓪endpoints.MapControllerRoute( name: "default", pattern: "{controller=Home}/{action=Index}/{id?}"); }); % dotnet ef <- EF Core 3.0부터 dotnet ef 컨맨드가 .NET SDK에 포함되어 있지 않다합니다. ● 터미널에서 열기 1.[프로젝트(MyApp)] 우클릭 > [도구] > [Open in Terminai Window] 2. 또는 [프로젝트(MyApp)] 우클릭 > [도구] > [터미널에서 열기] ● % dotnet ef <- 없데요. Could not execute because the specified command or file was not found. Possible reasons for this include: *You misspelled a built -in dotnet command. *You intended to execute a.NET program, but dotnet - ef does not exist. *You intended to run a global tool, but a dotnet - prefixed executable with this name could not be found on the PATH. 1이나 2의 [터미널에서 열기]해서 아래와 같이 인스톨 또는 업데이트해준다. 처음이면 인스톨. ● % dotnet tool install --global dotnet-ef 없으면 인스톨 % dotnet tool update --global dotnet-ef 버젼이 낮으면 업데이트(3.0.0이상으로.) ● % dotnet add package Microsoft.EntityFrameworkCore.Design <- 이것도 설치해야함. ● % dotnet ef <- 이젠 강의와 같은 정보가 출력된 것을 볼 수가 있습니다. ● view > sql server object explorer <- visual studio mac 에는 설치가 안되는 듯. Docker에 리눅스 이미지가 있다하는데, 저는 이 번 프로젝트가 Oracle에서 PostgreSQL로 마이그레이션이라 PostgreSQL로. PostgreSQL은 Docker에 설치하셔도 되고, 직접 로컬에 설치하셔도 됩나다. ● Docker를 설치하고 MyApp/docker-compose.yml 생성 ● appsetting(마이그레이션을 위해 appsetting생성) 추가 -> 새 파일 -> ASP .Net Core -> 앱 설정 파일(App Settings File) > 파일명 : appsettings 디폴트 Docker의 DB실행 MyApp 디렉토리로 이동. VS mac 터미널로 여시길. ● % docker-compose up -d -d는 백그라운드로 실행(도커의 PostgreSQL 시작) ● % docker-compose down 백그라운드 종료(PostgreSQL 종료). 도커 어플리케이션에서 종료해도 됨. 여기까지 진행하시면 강의 따라가실 수 있으십니다. 현재 섹션 5. Repository 패턴까지는 문제없네요. ### 생성된 파일 첨부 ● MyApp/appsettings.json <- 생성 추가 -> 새 파일 -> ASP .Net Core -> 앱 설정 파일(App Settings File) > 파일명 : appsettings 디폴트 { ⓪"Logging": {⓪⓪"LogLevel": {⓪⓪⓪"Default": "Warning"⓪⓪} ⓪}, ⓪"AllowedHosts": "*", <- 콤마부터 추가 ⓪"ConnectionStrings": {⓪⓪"MyAppContext": "Host=localhost;Database=MyApp;Port=15432;Username=cstest;Password=cstest"⓪} } ● MyApp/docker-compose.yml <- 생성 version: '3' volumes: ⓪postgres_data: ⓪⓪driver: 'local' services: ⓪postgres: ⓪⓪build: ⓪⓪⓪context: ./postgres ⓪⓪⓪dockerfile: Dockerfile⓪⓪container_name: "postgres1152" # Docker 컨테이너명⓪⓪environment: ⓪⓪⓪POSTGRES_PASSWORD: postgres # 수퍼유저 패스워드 ⓪⓪⓪POSTGRES_USER: cstest # 추가할 DB유저ID ⓪⓪⓪POSTGRES_PASSWORD: cstest # DB유저패스 ⓪⓪⓪POSTGRES_DB: MyApp # DB명 ⓪⓪⓪TZ: "Asia/Tokyo" ⓪⓪ports: - 15432:5432 # Docker:Docker내부의 PostgreSQL port ⓪⓪volumes: ⓪⓪⓪- postgres_data:/var/lib/postgresql/data ⓪⓪⓪- ./postgres/sql:/docker-entrypoint-initdb.d ● MyApp/postgres/Dockerfile <- 생성FROM postgres:11.5-alpine <- 버젼은 원하는 버젼으로. ● MyApp/Startup.cspublic void ConfigureServices(IServiceCollection services) {services.AddDbContext<MyAppContext>(options => {⓪// PostgreSQL⓪options.UseNpgsql(_config.GetConnectionString("MyAppContext")); }); ● 프로젝트폴더(MyApp) 우클릭 > [프로젝트 파일 편집] 클릭 MyApp.proj:다른건 디폴트로 건들리지 말아 주시고 PostgreSQL 라이브러리만 추가 <ItemGroup> ⓪<!-- dotnet add package Microsoft.EntityFrameworkCore.Design 인스톨후 자동추가됨 --> ⓪<!-- http://www.npgsql.org/efcore/index.html --> ⓪<PackageReference Include="Microsoft.EntityFrameworkCore.Design" Version="5.0.5"> ⓪⓪<IncludeAssets>runtime; build; native; contentfiles; analyzers; buildtransitive</IncludeAssets> ⓪<PrivateAssets>all</PrivateAssets> ⓪</PackageReference>⓪<!-- PostgreSQL 라이브러리 추가입력 --> ⓪<PackageReference Include="Npgsql.EntityFrameworkCore.PostgreSQL" Version="5.0.5.1" /> </ItemGroup> ● MyAppContext.cs생성자의 매개변수 DbContextOptions에 MyAppContext추가public class MyAppContext : DbContext { ⓪public MyAppContext(DbContextOptions<MyAppContext > options) : base(options){} ⓪public DbSet<Student> Students { get; set; } ⓪public DbSet<Teacher> Teachers { get; set; }} 추가기입 섹션 6. ASP.NET Core Identity 의 환경설정에서 DbContext에서 IdentityDbContext<ApplicationUser>로 변경하면 IdentityDbContext가 임포드할 수가 없네요.● 프로젝트폴더(MyApp) 우클릭 > [프로젝트 파일 편집] 클릭 MyApp.proj:다른건 디폴트로 건들리지 말아 주시고 Identity 라이브러리만 추가 <ItemGroup> ⓪<!-- dotnet add package Microsoft.EntityFrameworkCore.Design 인스톨후 자동추가됨 --> ⓪<!-- http://www.npgsql.org/efcore/index.html --> ⓪<PackageReference Include="Microsoft.EntityFrameworkCore.Design" Version="5.0.5"> ⓪⓪<IncludeAssets>runtime; build; native; contentfiles; analyzers; buildtransitive</IncludeAssets> ⓪<PrivateAssets>all</PrivateAssets> ⓪</PackageReference>⓪<!-- PostgreSQL 라이브러리 추가입력 --> ⓪<PackageReference Include="Npgsql.EntityFrameworkCore.PostgreSQL" Version="5.0.5.1" /> <!-- 추가 --><PackageReference Include="Microsoft.AspNetCore.Identity.EntityFrameworkCore" Version="3.0.0" /></ItemGroup>
-
[리뉴얼] React로 NodeBird SNS 만들기
next js build time
코드를 수정 하면 HMR이 랜더링을 다시 하는데 빌드타임이 너무 오래 걸려요ㅜㅜ stackoverflow에서 비슷한 글들도 많이 올라오는데 혹시 해결할수 있을만한 추천방법이 있을까요?
-
홍정모의 따라하며 배우는 C언어
최고입니다.
내용중 버릴게 하나도 없네요 최고예요 정말
-
자바스크립트 머신러닝 TensorFlow.js
Node 프로젝트 생성 후 코드 실행 안되시는 분들
터미널이나 CMD 를 이용하여 해당 프로젝트 루트 경로로 이동 후에 npm install @tensorflow/tfjs 이 명령어 실행해 주시고, JavaScript 파일 만드신 후에 이런 식으로 코드 작성해주시면 IDE 상에서도 잘 실행됩니다. const tf = require('@tensorflow/tfjs');const t1 = tf.scalar(1);const t2 = tf.scalar(2), t3 = tf.scalar(5);const t5 = tf.add(t1, t2).div(t3);tf.print(t5); tf 변수를 이용할 때는 require에서 저렇게 선언 후에 tf 변수에 할당하면 되더라구요. 원래 이렇게 하는게 맞는지는 모르겠으나, 그래도 강의 보면서 코드 따라 칠 수 있으니 좋네요.
-
자바스크립트 머신러닝 TensorFlow.js
열심히 듣겠습니다
최근에 ES6 심화과정 완료했고 복습도 하고있지만, TensorFlow 도 너무나 궁금하기에 짬내면서 병행해서 들어보려합니다. 수학과 뗄 수 없다길래 걱정도 많이 되지만, 이전에 JavaScript 강좌에서 잘 알려주셨던 것을 생각하면 안심도 됩니다. 이번 강좌는 책도 꼭 참고해서 보고싶네요.
-
Node.js 웹개발로 알아보는 백엔드 자바스크립트의 이해
삽질의 중요성
수강평에 어떤 분이 삽질하는거 처리하는데 시간이 걸린다고 강의시간이 아깝다고 불평을 해놨던데...... 저는 이렇게 오류가 나는 과정을 그대로 찍어주신거 너무 감사하게 생각합니다^^ 오히려 실행을 하고 에러가 안나면 "이게 왜 되지?" 하고 한 참 시간을 들여서 살펴보게 되는데~ 아예 처음부터 에러가 나주면 좋더라구요^^ ㅎㅎ;;;;
-
처음 배우는 리액트 네이티브
ios 시뮬레이터 expo 메뉴
커맨드 + 컨트롤 + J로 expo 메뉴가 안나오시면 커맨드 + d 를 이용해보세요
-
블록체인 이더리움 부동산 댑(Dapp) 만들기 - 기본편
모달이 먹통인 오류
혹시 매입 버튼을 눌러도 아무 반응이 없을 경우 1. 매입버튼 선언시 data-target="#buyEstate" << 이 부분을 바꿔줍니다. 2. 그리고 모달의 아이디도 똑같이 맞춰줍니다. 원인은 모르겠지만 이렇게 하니 모달이 뜨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