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야기를 나눠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애플 웹사이트 인터랙션 클론!
혹시 움직이는 배경을 선택할 때 흰색 바탕을 해야하는 이유가 있으셨나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배경색이 꼭 흰색이 아니더라도 괜찮나요?? 그냥 궁금해서요...!
-
코딩으로 학습하는 GoF의 디자인 패턴
강의를 들으면 들을수록...
아직 갈길이 멀었네요... 화이팅해서 공부하겠습니다.
-
Svelte.js SPA 영화 검색 프로젝트
조금은 다르게 구성한 무비리스트입니다.
<div class="movie-list"> {#if $loading} <Loader /> {/if} {#if $movies.length==0} <div class="message"> {$message} </div> {:else} <div class="movies"> {#each $movies as movie (movie.imdbID)}<Moviecard {movie} />{/each} </div> {/if}</div> <style lang="scss"> .movie-list { margin-top: 30px; padding: 10px; background-color: $color--area; border-radius: 4px; text-align: center; .message{ color: $color--primary; font-size: 20px; text-align: center; padding: 70px 0; } .movies { display: flex; flex-wrap: wrap; justify-content: center; } }</style>
-
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이해가 쏙쏙 되네요 와우
스프링 사용하면서 왜 생성자 주입을 하는건지도 모르고 마냥 쓰기만 했는데 그 의도를 드디어 깨달았습니당
-
[C#과 유니티로 만드는 MMORPG 게임 개발 시리즈] Part3: 유니티 엔진
캐릭터 넘어지는 문제
저도 강의따라해보면서 하는데 캐릭터가 넘어지거나 하늘로 날라가는 현상이 발생해서 gravity도 kinetic도 빼보고 리셋시키고 하면서 하다가 넘어지게 되는 원인이라고 의심가는 부분이 나와서 올립니다. 저는 충돌처리하면서 넣었던 Collider가 약간이지만 Plane보다 밑에까지 설정되어있었습니다. 그래서 Play 버튼을 누르면 플레이어 Collider와 Plane가 충돌하면서 플레이어의 y축이 살짝 올라오게됩니다. 그 상태에서 바닥을 클릭하면 hit.point의 y값은 0.0이고 player의 y값은 0.1122 이고 PlayerControllers의 Update가 진행될수록 y값은 조금씩 작아지다가 일정 크기 이상 작아지면 플레이어가 넘어지는것을 확인할수있었습니다. 플레이어와 plane의 겹치는 부분이 일정량을 넘어가면 물리엔진이 발이 땅에 걸려서 넘어지는것과 비슷한 방식의 처리를 해주는것 같습니다. 그래서 코드에서 와 같이 y값을 잡아주는걸 넣었더니 넘어지지않고 잘 움직여졌습니다. Rigidbody에서 Y축에 FreezePosition을 걸어줘도 같은 효과를 보일거같습니다. 자꾸 유니티짱이 넘어진다면 한번쯤 y축값을 확인해보시면 좋을것같습니다.
-
React + API Server 프로젝트 개발과 배포 (CI/CD)
참고 자료 공유
완강 후 참고할 만한 자료들 공유합니다! npm install 할 때 -S 또는 --save 옵션은 npm 5 이후로 필요하지 않습니다.참고: https://stackoverflow.com/a/35849725/4010013 EC2 instance에 Node 설치는 아래 tutorial을 참고하면 더 간단합니다.참고: https://docs.aws.amazon.com/sdk-for-javascript/v2/developer-guide/setting-up-node-on-ec2-instance.html Express application generator를 사용하기 위해 package global install을 하는 대신 npx 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참고: http://expressjs.com/en/starter/generator.html
-
Svelte.js SPA 영화 검색 프로젝트
jobs로 열개 불러오면
jobs라는 검색어로 10개 불러오면 10개 자체안에서도 중복된 id가 있어서 if(pagelength>1)전에도 id를 통한 중복제거 작업을 해줘야되요..
-
제대로 파는 Git & GitHub - by 얄코(Yalco)
안녕하세요
강의가 너무 유익하고 좋아서 친한동생에게 강의를 선물하고 싶은데 혹시 방법이 있을까요?
-
[C#과 유니티로 만드는 MMORPG 게임 개발 시리즈] Part6: 웹 서버
Swagger가 있어서 포스트 맨 안깔아도 되네요
넵 그냥 그러네요 ㅎㅎ
-
15일간의 빅데이터 파일럿 프로젝트
https 빼니까 접속되네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https:// 넣으면 위와 같이 뜨고 빼고하니까 접속이 되는데 왜일까요
-
이펙티브 자바 완벽 공략 1부
EnumMap 과 Map의 차이
EnumMap에선 Key 값을 Enum으로 받아서 유일성이 보장되서 그런지 Key값을 배열로 받아서 추가적인 연산없고 HashMap같은건 Hash연산같이 추가적인 연산이 필요하다 라는점이 가장 큰 차이점 같아보이네요.
-
모든 개발자를 위한 HTTP 웹 기본 지식
오타
User-Agent : 유저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 정보에 클리이언트 오타있네요!
-
실전! 스프링 데이터 JPA
pdf에 오타 발견했습니다.
pdf 36p - Page 사용 예제 실행 코드 부분에서 오타 발견했습니다! 설명란에 "두 번째 파라미터로 받은 Pagable은 인터페이스다." 라고 되어 있는데 Pageable오타가 난것 같아요 !! 강의를 꼼꼼하게 듣다보니 이런게 보이기 시작하네요! 오타는 저희가 찾아낼테니 좋은 강의 많이많이 올려주세요~ 강의를 볼 때마다 성장하는 느낌이어서 넘 좋아요
-
인프런 회원가입 질문이에요 !!
회원가입 기능을 만들고 있어서 궁금한게 있습니다. 인프런 회원가입 시, 하단에 약관을 보여주고 이메일 로그인 시(별도로 약관 동의 체크 없이) 자동으로 회원가입을 해주던데 이게 법적으로 문제가 없는지 궁금합니다 !
-
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영한님 pdf 파일에 오타 있는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영한님 강의 잘 보고 있습니다. 이번 강의 시작할때 이 부분 보면 대부분 불변이기 때문에 생성자에 final 키워드를 붙인다고 돼 있습니다. 생성자가 아니라 필드 값에 final을 붙이는 것으로 수정 돼야 할 것 같습니다. 아래 예제도 필드 값에 final이 붙어있구요. 감사합니다.
-
[2025년 출제기준] 웹디자인기능사 실기시험 완벽 가이드
맥북으로 실기 연습해도 무관한가요?
안녕하세요 선생님 현재 수강중인 학생입니다 웹디자인 기능사 실기 준비시 맥북으로 준비를 해도 될련지 궁금해서 문의드립니다.
-
ES6 Express Jest Boilerplate Template ES6 익스프레스 보일러플레이트 탬플릿
ES6,7 Express Jest 로 구성된 보일러 플레이트 탬플릿입니다. my-app 이라는 프로젝트 폴더를 생성할 곳에 가신 다음에, 다음 명령어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분명히 어딘가에는 dev 환경에서 더 좋게 만든 보일러 플레이트가 있겠지만... ES6 문법으로 개발하고 이를 바로 테스트하고싶은데 jest 에서는 ES6 모드로 변환 시 jest.fn() 등이 지원되지 않는 이슈가 있어서 따로 만들게 되었습니다. git clone https://github.com/unchaptered/express-web my-app npx degit unchaptered/express-web my-app cd my-app npm i
-
실전! 스프링 데이터 JPA
연관관계가 있는 Entity 저장
안녕하세요. 강의를 듣고 공부하는 중, 연관관계가 있는 Entity를 저장할 때 궁금한 부분이 있어 질문드립니다. 아래의 예제의 User에는 컬럼에 연관관계가 있는 UserType 엔티티가 있고,화면에서는 typeCode값(UserType의 키값)과 userName값을 Dto로 전달받아서 저장을 하고있습니다. User를 save할 때에 UserType을 조회 후 생성자로 객체를 만들고 save를 했었는데, 이렇게 하다보니 select insert 2개의 쿼리가 실행되더라구요.(userTypeRepository.findById 후 save) 그래서 방법을 찾다보니 findById 대신에 getById로 UserType을 조회후 save하면,UserType select가 Lazy로 동작하여 insert 쿼리만 실행이 되는걸 확인했습니다. (CASE1.) 또 다른방법으로 User 엔티티에 UserType의 키값인 typeCode를 추가하고,dto에서 받은 typeCode로 User객체를 만들어 저장하는 방법도 있더라구요. (CASE2.) JPA를 사용하면서 save시 getById로 호출후 save하는 방식이 맞는건지,실무에서는 어떠한 방식으로 사용되는지 궁금하여 질문드립니다. -------------------------- CASE 1. @Entity @Getter@NoArgsConstructor(access = AccessLevel.PROTECTED)public class User { @Id @GeneratedValue(strategy=GenerationType.IDENTITY) private Long id; @OneToOne @JoinColumn(name = "TYPE_CODE") private UserType userType; @Column(name = "USER_NAME") private String userName; public User(UserType userType, String userName) { this.userType = userType; this.userName = userName; } } @Entity@Getter@NoArgsConstructor(access = AccessLevel.PROTECTED)public class UserType { @Id @Column(name = "TYPE_CODE") private String typeCode; @Column(name = "TYPE_NAME") private String typeName;} @Getter@Setterpublic class UserFormDto { private String typeCode; private String userName; public User toEntity(UserType userType) { return new User(userType, userName); } } @Service...@Transactionalpublic void createUser(UserFormDto userFormdto) { UserType userType = userTypeRepository.getById(userFormdto.getTypeCode()); User user = userFormdto.toEntity(userType); userRepository.save(user);} --------------------- CASE 2. @Entity @Getter@NoArgsConstructor(access = AccessLevel.PROTECTED)public class User { @Id @GeneratedValue(strategy=GenerationType.IDENTITY) private Long id; @OneToOne @JoinColumn(name = "TYPE_CODE") private UserType userType; @Column(name = "TYPE_CODE") private String typeCode; @Column(name = "USER_NAME") private String userName; public User(String typeCode, String userName) { this.typeCode = typeCode; this.userName = userName; } } @Entity @Getter@NoArgsConstructor(access = AccessLevel.PROTECTED)public class UserType { @Id @Column(name = "TYPE_CODE") private String typeCode; @Column(name = "TYPE_NAME") private String typeName;} @Getter@Setterpublic class UserFormDto { private String typeCode; private String userName; public User toEntity() { return new User(typeCode, userName); } } @Service...@Transactionalpublic void createUser(UserFormDto userFormdto) { User user = userFormdto.toEntity(); userRepository.save(user);}
-
실전! 웹사이트제작! Step by Step! (대방산업_InteractiveWeb)
안녕
안녕하세요 선생님~~ 감사합니다
-
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강의 내용 필기한 것 블로그 작성
안녕하세요.! 혹시 강의 내용을 개인적으로 정리해서 노트한 것을 네이버 블로그에 올려도 문제가 없을까 해서 글 작성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