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야기를 나눠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UI 멋지던 그 서비스, 똑같이 구현하고 싶다면? 프로젝트인데 한번 방문해주세요ㅎㅎ
안녕하세요, 개발자들의 삶을 개선하고자 뭉친 팀 우주공입니다. 사이드프로젝트 하실 때 UI/UX 디자인 및 구현에 너무 많은 시간을 쓰고 계신가요? 레퍼런스 서비스의 UI를 똑같이 구현하느라 애쓰고 계시진 않은가요? 저희는 멋진 UI를 가진 서비스의 컴포넌트 코드를 보일러플레이트로 제공하는 서비스 “Breeze”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관심 있으신 분은, 아래의 링크를 방문해주세요! https://breeze.oopy.io/ 문의사항은 cos.resonance@gmail.com으로 부탁드립니다 :)
-
데이터분석 정보 공유방 [취업, 기술, 멘토링 등]
안녕하세요. 현재 인프런에서 인공지능 및 데이터 분석 강의 그리고 유튜브를 운영하고 있는 "거친코딩" 입니다. 데이터 관련된 여러가지 이야기를 서로 공유하고 편하게 대화할 수 있는 소통의 장을 열기 위해 카카오톡 오픈 채팅방을 개설하였습니다. 데이터 분석을 준비하시는 취준생 및 대학생 뿐만 아니라, 데이터 분석 현업에 종사하시는 분들은 언제든 편하게 들어와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링크 : https://open.kakao.com/o/gq5qOGqe 암호 : 1103 -거친코딩 드림-
-
오라클 성능 분석과 인스턴스 튜닝 핵심 가이드
강의 들을때 가끔 들려오는 윈도우 경고음 때문에 깜짝 놀라요
강의 만드실때 윈도우 사운드는 좀 끄고 만드시면 안될까요? 윈도우 경고음때문에 깜짝 놀라고 귀가 좀 아프네요. 정말 거슬려요.
-
Docker+Nginx+Redis+RDBMS 공부방향 및 강의 추천을 받고싶습니다.
안녕하세요! 평소 인프런 강의 통해서 프로그래밍을 공부하는 학생입니다. 팀원들과 스터디를 하고있습니다. 저희 스터디원 끼리 계속 공부해보면서 Infra, 비동기, 서버 관련(Docker+Nginx+Redis+RDBMS)해서 저희가 많이 부족함을 깨닫고 있는 과정을 겪고 있어서 이렇게 인프런 커뮤니티에 자문을 구해보고자 작성했습니다. 혹시, 저희와 비슷한 생각을 갖고 계신 분들 중, 좀 더 효율적인 혹은 효과적인 공부방법을 알고계신분이 있다면 알려주시면 정말정말 감사하겠습니다. 1. 토이프로젝트 추천 2. Redis, Nginx 강의 추천 3. Redis, Nginx, Network 책 추천 4. 공부 방법 및 방향성 추천
-
데이터 분석 전처리 실무 - 파워쿼리
2019버전에는 '데이터가져오기>파워쿼리편집기시작'에 있음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
비전공 기획자 및 관리자를 위한 IT 필수 지식
개발 프로세스 - 테스트에는 QA 조직이 있습니다.
테스트 단계에서 전문적으로 업을 삼는 QA 조직이 있는데 안내가 없어 다소 아쉽습니다. 스타트업과 같은 작은 회사는 QA 가 없는 경우가 있으나, 중견기업부터는 대부분 있습니다.
-
혹시 강의 교안은 따로 없나요?
교안까지 뽑아서 보고싶은데 혹시 교안은 따로 없나요?
-
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학습관련하여 고민이 있습니다.
자바 학습후 스프링,mvc1,http,jpa등 강의학습이 끝난것도 있고 학습중인것도 있는데 처음 spring 강의들을땐 약간 icebreaking 느낌이었고 지금 정말 쏙쏙들여 다시 학습중에있고 mvc도 더불어 http강의를 복습하며 같이 학습중에 있습니다. 다름이 아니라 제 메인언어가 자바인데 기본서의 예제나 ide로 입력과 출력을 했을때 나오는 간단한 프로젝트(캘린더 만들기같은)는 어느정도 그냥 구현할 수 있는단계에 있는것 같습니다. 그래서 다음으로 todolist를 만들어보려고 계속해서 계획은 잡는데 java에 머물면 ide에서 벗어날수가없고 무조건 web을 띄워야 하더라구요. 근데 생각처럼 쉽지 않더라구요.. 이것저것 손대면서 시행착오를 겪다가 mvc1강의의 실습강의를 다 듣고 느꼇던것은 1.아 이거를 조금만 변형시키면 todolist로 로컬서버에 띄울수 있겠다. 2. 아 그런데 파일을 만들고, 또 따로 패키지를 만들고 이런 연관관계들을 어떻게 관리해야할지 아직 잘 모르겠다 였습니다. 이 mvc1정도의 실습강의를 자력으로 할 수 있으면 CRUD를 할수있다.! 라고 생각이 들어서 얼른 정복하고 싶은데 마음처럼 쉽지 않네요. 비전공자라 icebreaking 시간이 좀 긴건지는 잘 모르겠는데 , 이 고비를 넘기려면 어떤 방법이 있을까요? 강의를 계속해서 복습하고 클래스 하나라도 스스로 짜보고 맵핑관계를 계속해서 생각하는게 맞는 방법인지, 다른 효율적인 방법이 있는건지. 보통 CRUD를 하나 짠다고 했을때 이렇게 하는게 맞는건지가 궁금합니다. 다음달에 프론트는 react, 저 백엔드는 스프링부트를 사용해서 팀프로젝트를 시작할 것 같은데 그래서 조금 더 빨리 많이 배우고 익히고 싶은 마음에 조급한것도 있는 것 같습니다. 조언 한마디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공모전] 지속가능한 에너지 활용을 위한 인공지능 경진대회
○ 참가신청 ※ (공통) 참가 방법: 아래 참가 접수폼을 반드시 사전에 작성해주셔야 정상적으로 참가접수가 완료됩니다 - 참가신청 링크 : https://forms.gle/S4L7aH571Seumj8r8 - 상세 대회 정보 : https://aifactory.space/competition/detail/2083 ○ 모집분야 및 주제 - Track1 : 에너지 인공지능(Energy AI) 경진대회 (정량평가) • 리더보드를 통하여 정량평가로 진행되는 Track1은 재생에너지 발전량 예측 문제입니다. - Track2 : 분산 발전 주체간 효율적 전력 매매를 위한 아이디어 경진대회 (정성평가) • 100% 서류심사로 진행되는 Track2는 아이디어를 도출해내는 정성대회입니다. ○ 주최/주관/후원 - 주최/주관: 한국전자기술연구원,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후원: 삼성SDS(주), 한국서부발전(주), (주)아미텍 ○ 참가대상 - 인공지능을 통한 문제 해결에 관심있는 14세 이상의 내외국인 누구나 참여 가능 - 개인 및 팀 (팀 구성 시 최대 5인으로 제한) - 하나의 팀이 동일한 팀원 구성으로 2개의 Track에 복수 참여 가능 ※ 단, 한 개인이 두 개 이상의 팀에 중복으로 참여 불가 ○ 진행 일정 * 추후 일정 변경 시 공지사항을 통해 안내드립니다 - Track1 : 에너지 인공지능(Energy AI) 경진대회 • 참가자 접수 (대회 기간 참가자 상시 모집) : 7월 6일 (수) ~ 8월 22일 (월) • 대회 기간 : 7월 11일 (월) ~ 8월 22일 (월) 24:00 • 제출물 검증 기간 : 8월 23일 ~ 9월 2일 (금) *수상 후보팀에 한하여 진행 • 최종 수상팀 발표 : 9월 5일 (월) *최종 수상팀에 한하여 개별 공지 • 성과 발표 및 시상식 : 9월 15일 (목) • 성과 발표 및 시상식은 오프라인으로 진행, 상세 장소 및 시간은 추후 안내 예정 • 성과 발표는 한국전자기술연구원장상 및 한국서부발전(주)사장상 수상자에 한하여 진행 (수상자를 대상으로 개별 안내) - Track2 : 분산 발전 주체간 효율적 전력 매매를 위한 아이디어 경진대회 • 참가자 접수 (대회 기간 참가자 상시 모집) : 7월 6일 (수) ~ 8월 22일 (월) • 아이디어 기획안 접수 기간 : 7월 11일 (월) ~ 8월 22일 (월) 24:00 • 아이디어 기획안 심사 기간 : 8월 23일 (화) ~ 9월 2일 (금) • 최종 수상팀 발표 : 9월 5일 (월) *최종 수상팀에 한하여 개별 공지 • 아이디어 발표 및 시상식 : 9월 15일 (목) • 아이디어 발표 및 시상식은 오프라인으로 진행, 상세 장소 및 시간은 추후 안내드릴 예정 • 아이디어 발표는 한국생산기술연구원장상 및 아미텍(주)대표이사상 수상자에 한하여 진행 (수상자를 대상으로 개별 안내) ○ 상금 및 특전 (총 상금 1,600만원, 총 10개 팀) - Track1 : 에너지 인공지능(Energy AI) 경진대회 • 한국전자기술연구원장상 (1팀) : 500만원 • 한국서부발전(주)사장상 (1팀) : 300만원 • 장려상 (3팀) : 각 50만원 - Track2 : 분산 발전 주체간 효율적 전력 매매를 위한 아이디어 경진대회 • 한국생산기술연구원장상 (1팀) : 300만원 • 아미텍(주)대표이사상 (1팀) : 200만 원 • 장려상 (3팀) : 각 50만원 ○ 문의처 - 인공지능팩토리 운영사무국 • 메일 : cs@aifactory.page • 전화 : 042-710-6451 - Brightics Studio 기술지원 • 메일 : br.contest@samsung.com • Brightics Studio와 관련된 기술지원은 위 메일로 문의 부탁드립니다. • Brightics Studio 설치, 실행 오류에 대해 지원을 해드리고 있으며, 공정한 대회 진행을 위해 문제 해결과 관련된 문의에 대해서는 답변이 어려운 점 유의 부탁드립니다. 용해주세요.
-
PHP 7+ 프로그래밍: 객체지향
컨텍스트와 바인딩 관련해서 조금 아쉽네요~
컨텍스트와 바인딩과 관련해결과 확인만 알려주시고,왜 그렇게 되는지에 대한 설명이 좀 부족한 것 같습니다. 코드의 값만 바꿔서, "이렇게 나오죠~"이렇게 넘어가는게 아니라,종합적인 정리를 한 번 해주신다면,더 좋은 강의가 될 것 같습니다. 물론 어느 정도는 본인이 테스트를 통해차이에 대해 개념을 잡아야겠지만,강사님께서 잘 정리해 주시면훨씬 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
-
PHP 7+ 프로그래밍: 객체지향
시작인 클래스 기초 강좌부터 핵심을 다뤄 주시네요~ ^^
PHP 7+ 프로그래밍 강좌를 이수하고 왔는데,객체지향 강좌는 시작부터 핵심을 콕콕 짚어 주시니인상적입니다~ ^^ 특히, Context 개념과 Costants, Scope Resolution Operator, instanceofAnonymous Classess 와 Method Chaining 에 대한언급이 좋습니다. 기존 PHP 5 버전의 레거시 시스템을 유지보수하고 있는데, 대부분이 스크립트로 짜여 있다 보니비지니스 로직이 점점 복잡해 지니, 절차지향 방식으로는 한계에 도달한 것 같습니다. 이번 PHP7 객체지향 강의를 듣고 나면이 5버전 레거시를 조금이나마 복잡성을 낮추고유지보수성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될 것 같네요~ ^^* 새로운 프로젝트면 라라벨을 도입해서 만들면 되겠지만,기존 레거시를 버릴 수가 없다보니레거시를 개선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강의가 있으면 좋겠습니다. ^^
-
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정말 감사합니다
다른 공부 하면서 스트레스 받다가도... 영한님 강의를 들으면서 힐링됩니다. 정말 어떻게 이렇게 이해하기 쉽고 재밌게 설명해주실 수 있는 걸까요? 한 줄 한 줄이 정말 쏙쏙 들어옵니다. 아마도 엄청나게 오랜 시간 고민하시고 공부하신 것의 결과물을 나눠주시기 때문이겠죠. 오늘 하루 종일 스트레스가 심했는데 강의를 들으면서 힐링을 하게 될 줄은 미처 몰랐습니다. 정말 감사하다는 말씀을 드리고 싶습니다. 저도 영한님처럼 후배 개발자들과 개발자 지망생들이 행복하게 공부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는 좋은 시니어가 되고 싶습니다. 개발자가 고생할 수록 사용자가 편한 서비스가 나온다는 말씀도 잘 간직하겠습니다. 다시 한 번 정말 감사합니다. 귀한 자료로 열심히 공부하겠습니다.
-
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선언적 트랜잭션과 메소드의 접근제어자
안녕하세요!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다름아니라 강의 실습 중 메소드의 접근제어자가 public이 아닌 경우에는 스프링이 트랜잭션으로 관리해주지 않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Transactional(readOnly = false) void write(){ log.info("call write"); printTxInfo();} void read() { log.info("call read"); printTxInfo();} 이 경우 로그에 출력된 tx active, readOnly의 값은 두 메소드 전부 다 false였습니다. https://jehuipark.github.io/spring/spring-transaction-1 위 블로그에서 그 이유를 찾았습니다. 다들 열공하세요 :)
-
자바(Java) 알고리즘 문제풀이 입문: 코딩테스트 대비
replace 안쓰고 어렵게 풀었....
ㅋㅋㅋㅋㅋ
-
이펙티브 자바 완벽 공략 1부
2부는 언제 올라올 예정인가요?
안녕하세요 백기선님. 이펙티브 자바 완벽 공략 1부 강의 정말 만족하면서 수강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2부, 3부도 꼭 듣고싶은데 혹시 해당 강의는 언제쯤 올라올 예정인지 질문드립니다.
-
언리얼 엔진4 입문 (C++ 기반)
언리얼에서 rider라는 프로그램이 뜨는거같은데 현업에서도 쓰나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
[개정판] 파이썬 머신러닝 완벽 가이드
강의 블로그 정리
안녕하세요. 공부한 내용을 그냥 들으면 잊어버릴 것 같아서, 제 개인 개발 블로그에 요약 정리하며 포스팅하려고하는데요! 강의 자료 및 내용의 저작권과 관련된 문제가 있을까봐 미리 여쭤봐야 될것 같다고 생각했습니다. 혹시 강의 내용을 제 개인 개발 블로그에 정리하여 게시하여도 괜찮을까요? 부적절하다면 게시하지 않겠습니다! 출처는 해당 강의 링크로 꼭 남기려고 했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Spring Cloud로 개발하는 마이크로서비스 애플리케이션(MSA)
마이크로서비스 관리 페이지를 만드려고 합니다.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안녕하세요, 강의를 듣고 있는 Spring 초보자입니다. Api테스트 및 서비스 관리용으로 POSTMAN을 쓰기도 하지만 중요 프로젝트를 관리할 때도 Poatman을 쓰기도 하나요? Postman 기능이 다 들어간 서비스를 따로 만들기엔 너무 오래 걸릴 것 같고, Spring Boot Admin 이라는 것도 있던데 Postman과 다른 점이 무엇인가요? gateway, API관리 Postman을 비슷한 서비스를 만드려면 이 강의에 있는 기능이 다 들어가야 하나요?
-
비전공자를 위한 풀스택 맛집지도 만들기 프로젝트!: Front, Back-end 그리고 배포까지
404 Not Found Error가 발생할 때
영상보고 따라하다가 에러 발생해서 해결했던 해결방안 혹시 도움될까 해서 공유합니다. 영상대로 $vi /etc/nginx/sites-available/default를 입력해서 root를 변경하고 접속했을 때 404 Not Found Error 가 뜨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때, /var/log/nginx/error.log를 열어서 오류를 보시면 저 같은 경우 ...failed (13: Permission denied)...라는 로그가 적혀있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etc/nginx/nginx.conf 파일을 열어서 맨 위에 user ... 이 부분을 user root로 변경했습니다. 권한을 root로 변경하니 정상적으로 html 파일을 읽을 수 있었습니다.
-
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각설이 돌고돌아 다시 왔습니다.
처음 들을땐 메모리멤머메모리멤버리파지토리 에서 어질어질 했어서 자바로 회귀했다 다시 돌아왔습니다. 이젠 뭔가 머리에 쏙쏙 들어오는 것 같아요. 이번엔 스프링 잘 한번 뽀개보겠습니다. 사랑합니다 영한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