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0개의 앱을 개발하여 퇴사를 이룬 개발자입니다.
현재는 인디해커로 활동하며 경제적 독립을 위해
꾸준히 앱을 만들어나가고 있습니다.
Khóa học
Đánh giá khóa học
yonghongduki3073
·
Phương pháp tạo ra 350 ứng dụng cá nhân để đạt được doanh thu gấp 7 lần lương thángPhương pháp tạo ra 350 ứng dụng cá nhân để đạt được doanh thu gấp 7 lần lương thángmickyyoondoo0536
·
Phương pháp tạo ra 350 ứng dụng cá nhân để đạt được doanh thu gấp 7 lần lương thángPhương pháp tạo ra 350 ứng dụng cá nhân để đạt được doanh thu gấp 7 lần lương tháng- Phương pháp tạo ra 350 ứng dụng cá nhân để đạt được doanh thu gấp 7 lần lương tháng
- Phương pháp tạo ra 350 ứng dụng cá nhân để đạt được doanh thu gấp 7 lần lương tháng
- Phương pháp tạo ra 350 ứng dụng cá nhân để đạt được doanh thu gấp 7 lần lương tháng
Bài viết
Hỏi & Đáp
사업자 등록 없는 개인 개발 문의
직장을 다니시면서도 사업자 등록은 충분히 가능합니다. 홈택스에서 간단하게 신청할 수 있고, 당장 수익이 발생하지 않으면 세금 문제도 없어 큰 부담이 되지 않습니다.사업자 등록을 권장하는 이유1. 세제 혜택 만 35세 이하라면 청년기업세액감면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 혜택은 사업 초기에 큰 도움이 되므로, 가능하면 빨리 등록하시는 게 유리합니다.(해당 조건에 부합된다면 5년간 세액 감면 혜택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2. 수익화 범위 확대사업자 없이도 애드몹 광고 수익은 받을 수 있습니다하지만 인앱 결제나 구독 모델은 현재 사업자 등록이 필수입니다사업자가 있으면 다양한 수익 모델을 시도할 수 있어 선택지가 넓어집니다3. 세금 처리의 복잡함 방지 제 경험을 말씀드리자면, 저는 사업자 없이 몇 년간 수익을 창출했습니다. 사업자 없이 받은 수익은 기타소득으로 처리되는데, 이 경우 서버비나 광고비 같은 실제 경비를 제대로 인정받지 못해 세금 부담이 더 커집니다. 게다가 세금 신고 절차도 복잡해서 누락된 부분이 많았고, 결국 가산세를 내야 했습니다. 지금 돌이켜보면 처음부터 사업자를 내고 사업소득으로 신고했더라면 경비 공제도 받고 세금도 훨씬 절약할 수 있었을 것 같습니다.(당시 막연하게 사업자를 내는것 자체가 두렵고 어렵게 느껴졌던것 같습니다, 하지만 해보니 별거 없습니다)그래도 사업자 없이 시작하신다면불가피하게 사업자 없이 시작하시는 경우, 다음 사항을 유의하세요.애드몹 수익에 집중: 인앱 결제나 구독은 사업자가 필요하므로, 초기엔 광고 수익 모델에 집중하세요수익 기록 관리: 입금 내역을 꼼꼼히 기록해두고, 다음 해 5월 종합소득세 신고를 되도록 하세요. 신고를 놓치면 가산세가 붙습니다.(소액일 경우에는 그냥 넘어가는 경우가 있긴한데 계속 미루거나 신고를 안하면 결국 국세청으로 부터 연락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사업자 전환 시점 고민: 월 수익이 일정 수준(예: 월 50만원 이상) 안정적으로 발생하면 그때라도 사업자 등록을 고려하세요애드몹 수익만으로도 충분히 유의미한 결과를 만들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에서 말씀드린 이유들 때문에, 가능하다면 처음부터 사업자를 내고 시작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 0
- 2
- 8
Hỏi & Đáp
섹션10 바이브코딩은 언제 볼수있을까요?
안녕하세요!최근 계속 바쁜 일들이 겹쳐서 엄두를 못내고 있었는데 이번달 부터 시작하여 늦어도 11월 중에는 출시될 수 있게 하겠습니다!
- 0
- 1
- 9
Hỏi & Đáp
디자인 관해서 질문하나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좋은 질문 주셔서 감사합니다.먼저 말씀드리고 싶은 건, 저는 디자인을 멋지고 화려한 것보다는 직관적이고 사용자 편의에 초점을 맞춰 바라봅니다. 극단적으로 말하면, 단순하고 투박해 보이는 디자인도 사용자에게 편리하다면 그것이 좋은 디자인이라고 생각해요.제 디자인 역치가 낮은 편이라, Claude Code 같은 AI 도구가 만들어주는 디자인도 충분히 괜찮다고 느낍니다. 실제 경험에서 배운 것제가 만든 앱들을 돌이켜보면디자인에 공을 들여도 그것만으로 성공한 경우는 단 하나도 없었습니다반면 디자인은 투박해도 직관적이고, 사용자에게 실질적인 편의나 가치를 제공하는 앱들이 훨씬 더 좋은 성과를 냈습니다물론 디자인 감각이 뛰어나고 잘 다룰 수 있다면, 같은 음식도 예쁘게 플레이팅하면 더 맛있어 보이듯 분명 플러스 요소가 됩니다. 하지만 그런 상황이 아니라면, 디자인에 너무 많은 시간과 에너지를 쏟기보다는 핵심 기능과 사용자 가치에 집중하는 게 더 효율적이라고 생각합니다.AI 활용 팁AI를 사용하실 때 하나 팁을 드리자면, "조금 더 멋지고 화려하게 만들어줘", "애니메이션 추가해줘" 같은 요청을 하면 생각보다 훨씬 더 나은 결과를 내주는 경향이 있습니다. 한번 시도해보시길 추천드립니다!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
- 0
- 2
- 13
Hỏi & Đáp
14일 테스트 회피관련
안녕하세요. 좋은 질문 감사합니다.말씀하신 방법에 대해 솔직한 제 생각을 말씀드리겠습니다. 정책 우회 방법에 대한 현실적 평가조직계정 개설 → 개인계정 이전 방법이론적으로는 소수의 앱(5개 이하) 정도는 문제가 안 될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지속 가능한가?"라는 부분에서는 저도 확신할 수 없습니다.구글의 모니터링 알고리즘이 언제 변할지 예측 불가능 말씀하신 대로 구글은 "얄짤없이" 처리하는 경우가 있음관련하여 해외 커뮤니티랑 관련 글들을 많이 찾아보았지만 위 방법으로 문제가 된 케이스를 아직은 찾지 못했습니다. 어쩌면 누군가는 이미 제재를 받았을수도 있고, 반대로 정말 잘 활용하고 있는 사람도 있을 수 있겠죠. 정확한 케이스가 있다면 이렇게 해도 된다고 하겠지만 그만큼 불확실한 요소가 높습니다. 최악의 경우에는 계정이 정지 당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겠죠. 그래서 제가 생각하는 가장 안전한 대안은조직계정 + AdMob 위주 수익화 전략을 권장드리고 싶습니다.핵심 장점정책 준수: 계정 관련 구글 정책 위반 위험 없음14일 테스트 회피: 조직계정으로 자연스럽게 해결독립적 정산: AdMob은 개발자 계정 유형과 무관하게 운영확장성: 안정화 후 다른 수익 모델 도입 가능단계별 접근초기: 조직계정 + AdMob 수익화로 안전하게 시작중기: 앱 성과 검증 후 전략적으로 인앱이나 구독 상품 추가 및 적용(필요시)장기: 상품이 잘 팔린다면 정산이 문제가 되는 것이므로 이때 최종적으로 개인 계정으로 앱 이전그리고 개인적으로 인앱/구독 상품 없이 애드몹 수익만으로도 충분한 경우가 많았습니다. 저의 경우 글을 작성하는 시점에서 400개가 넘는 앱을 출시하였지만 그중 인앱/구독 상품이 있는 앱은 20개 이하이며 전체 수익원에서 인앱/구독 수익이 차지하는 비중은 극히 낮습니다. (물론 어떤 서비스냐에 따라 이는 달라질 수 있습니다. 누군가는 광고 수익보다 더 많은 수익을 인앱/구독 상품에서 얻는 분들도 분명 많이 계실테니)결론"확실하지 않은 우회보다는 확실한 안전"소수 앱 우회가 통할 수도 있지만, "~일 것 같다"로 지속 운영하기엔 분명 위험이 존재합니다.AdMob 수익화도 충분히 매력적이니, 정책을 준수하면서 안전하게 서비스를 발전시키는 것이 장기적으로 더 큰 수익을 가져다줄 것입니다. 추가 질문 있으시면 언제든 말씀해 주세요!
- 0
- 2
- 100
Hỏi & Đáp
개인 개발 시작 시 사업자 등록·겸업금지·출시 전략 관련 문의드립니다
안녕하세요! iOS 개발 4년차에 38세로 둘째 아이를 앞두고 계시는 상황에서 개인 앱 개발에 도전하시는 결심, 정말 멋집니다. 실무 경험이 충분하시니 이제 본격적으로 시작하기 좋은 시점이라고 생각해요.질문 주신 내용들에 대해 답변드리겠습니다. 1. 사업자 등록 관련처음부터 사업자 등록을 하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매출이 생긴 후에 등록하는 것보다 여러 면에서 유리한 점들이 많아요.특히 청년창업 세액감면 혜택을 꼭 확인해보세요. 만 나이로 조건에 부합하는지 살펴보시고, 만약 나이 제한에 걸린다면 배우자분 명의로 사업자를 등록하는 방법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이 혜택은 정말 큰 세금 절약 효과가 있어서 받을 수 있다면 놓치지 마세요.사업자 등록의 실질적 장점들각종 AI 서비스 구독 시 부가세 감면: ChatGPT, Claude, Gemini 같은 개발 필수 도구들을 사업자로 구독하면 부가세 절약 가능(비용에 10% 정도로 생각하시면 됩니다.)개발 관련 비용 처리: 맥북, 아이폰, 개발자 계정료, 서버비, 광고비 등 모든 개발 관련 비용을 사업경비로 처리하여 세금 절약인앱/구독 결제 구현 필수 조건: 나중에 앱에 인앱 결제나 구독 서비스를 넣으려면 사업자 등록이 반드시 필요함세무 리스크 방지: 사업자 등록 없이 수익 발생 후 별도 신고 없이 진행하면, 적발 시 가산세나 불이익을 받을 수 있음세금 혜택 활용: 사업자 없이는 광고비 지출이나 수익에 대한 세금 혜택을 전혀 받을 수 없어 손해따라서 처음부터 사업자 등록을 하고 시작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2. 겸업금지 관련현실적으로 말씀드리면, 회사에서 따로 언급하지 않는 한 알 방법이 거의 없습니다. 다만 몇 가지 주의사항은 있어요.회사의 기술이나 아이디어를 그대로 사용하지 않기회사 업무와 직접적으로 경쟁하는 서비스 피하기회사 업무 시간에 개인 앱 개발하지 않기겸업금지라는 개념 자체가 다소 모호한 면이 있고, 개인 앱 개발은 취미 활동의 연장선상으로도 볼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회사를 여러 개 동시에 다니는 것도 아니고, 적절한 선을 지키신다면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생각합니다.3. 출시 전략 관련가벼운 기능의 무료 앱 + 광고 수익화로 시작하는 것을 추천합니다.인앱 결제나 구독 서비스로 수익을 내려면 정교한 비즈니스 모델 설계가 필요하고, 사용자들이 돈을 지불할 만한 충분한 가치를 제공해야 해요. 처음이시라면 이런 구조를 만들기가 아무래도 무료앱 + 광고 붙히기 보다는 난이도가 있는 편이라 생각합니다.저의 경우 많은 앱들을 출시하고 관리하고 있지만, 인앱 결제나 구독으로 수익화하는 앱은 20개 미만으로 그리 많은편은 아닙니다. 유료앱은 한번도 만들어본적이 없긴하네요 ㅎㅎ추천하는 시작 전략(처음에는)1~5개 페이지 형태의 간단하고 유용한 기능무료 다운로드 + 광고 수익화사용자 반응과 데이터 수집 후 점진적 기능 확장충분한 경험과 사용자 기반이 쌓인 후 추가 수익화 모델 고려4년차 iOS 개발 경험이 있으시니 기술적인 부분은 충분히 가능하실 것 같아요. 이제는 사용자가 정말 원하는 것을 만드는 것이 핵심일 것 같습니다. 육아와 부업 화이팅입니다!
- 0
- 2
- 141
Hỏi & Đáp
구글 플레이 계정 등록에 대해 질문 드립니다
네 맞습니다.가장 좋은 방법은 법인 사업자를 개설하여 조직계정으로 운영하는 것조직 계정 운영시 14인 테스트 X, 인앱/구독 결제 수익 받을때 지장 X개인 사업자를 조직 계정으로 운영하는 것조직 계정 운영시 14인 테스트 X, 인앱/구독 결제 수익 받을때 지장 O애드몹 수익은 Google Play랑 독립된 서비스라 가능할것으로 보임사업자 개설이 불가능한 상황이라면 개인 계정으로 개설 후 운영14일 테스트 진행 필요 / 인앱/구독 결제 수익 받을때 지장 X순이 될 것 같습니다. 하지만 하나의 대안으로 활용할 수 있을 법한게 개인 사업자를 조직 계정으로 개설하여 서비스를 14일 테스트를 회피하여 출시한 뒤 > 출시가 완료되면 개인 계정으로 이전하게 되면 테스트는 피할 수 있으면서 인앱/구독 수익을 받을때도 지장이 없어지기 때문에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을것 같습니다.이전 방법은 각 개발자 계정에서 보내는 쪽에서 이전 요청 > 받는 쪽에서 이전 승인 하면 끝나는 간단한 프로세스이기 때문에 (다만 시간이 1~3일 정도 소요 됩니다.) 쉽게 앱 이전이 가능합니다.
- 0
- 2
- 104
Hỏi & Đáp
계정 다각화와 어플정지, 계정정지 등에 관해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catela J님! 질문에 답변드리겠습니다 1번 질문에 대한 답변예전과 비교하면 큰 허들이 생긴 것은 분명하다고 생각합니다. 제가 생각해본 방법이라면 사업자 계정 + DUNS 인증으로 개설한 후 테스트 과정을 회피하고, 이후 개인 계정으로 앱 이전하는 방법을 고려해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또는 말씀해주신 것처럼 여러 사업자 계정을 통해 이를 회피하는 방법도 있을 것 같습니다. 2번 질문에 대한 답변앱 정지를 당한 경우는 정말 다양한 케이스를 겪었는데, 몇 가지 소개해드리면 다음과 같습니다.질병이나 재난재해 관련 수익화 앱 - 코로나, 마스크 관련 앱 등데이터 크롤링 관련 이슈 - 크롤링 데이터 중 앱과 전혀 무관하게 19금 데이터나 욕설, 저작권 정보가 포함된 경우광고 관련 이슈 - 전 연령 대상 앱인데 애드몹 광고에 성인 광고가 노출된 경우커뮤니티 앱 운영 중 - 사용자가 악의적으로 욕설이나 19금 관련 내용을 작성한 경우저작권 위반 (가장 빈번한 케이스) - 앱 이름에 Instagram, YouTube, ChatGPT, Facebook 등이 포함된 경우. 예를 들어 "Download Image for Instagram", "Filter Camera for Instagram" 같은 네이밍으로 출시했다가 정지당한 경험이 많습니다. 오징어게임 유행 당시 관련 서비스를 만들었는데 콘텐츠 중 오징어게임 마크가 포함되어 저작권 위반으로 정지당하기도 했습니다.예상치 못한 저작권 이슈 - 제가 직접 디자인한 로고가 우연히 외국 회사 마크와 거의 동일해서 정지당한 경우(이건 정말 좀 어이 없고 억울 했었습니다.)세부적인 콘텐츠 검토 - 아트 갤러리 앱에서 사진 중 확대해야 보일 만한 작은 글씨로 "fuck"이 적혀있어서 정지당한 경우중복 앱 이슈 - (테스트로) 제가 만든 앱과 95% 이상 유사한 앱을 출시했다가 정지당한 경우3번 질문에 대한 답변(사진)하나의 계정에 약 90개 가량의 앱을 운영해본 경험이 있습니다. 이 계정은 정지당하지 않았으나, 제가 앱 개발을 시작한 초기 작품들이 대부분이어서 수익성이 떨어지거나 수익이 없는 앱들이 많았습니다. 따라서 관리의 부담을 고려해 해당 계정의 앱들을 모두 셀프 삭제 처리했습니다.정책 위반 시 정지 처리는 구글 재량인 것 같습니다. 제가 유일하게 1번 개발자 계정이 해지된 적이 있는데(현재도 복구 못함), 그 계정에는 단 하나의 앱 정지만 있었음에도 개발자 계정 자체가 정지되었습니다. 수차례 해명하고 이유를 문의했지만 구글로부터 명확한 답변을 받지 못했습니다.일반적으로는 쓰리 아웃 제도로 운영되는 것 같습니다. 하나의 계정에서 3개 앱이 정지되면 계정이 정지되는 경우가 많았고, 보통은 문제가 되는 앱을 먼저 정지 또는 삭제 처리한 후 계정 정지로 이어집니다. 개발자 계정을 바로 정지하는 경우는 드문 편입니다. 당부의 말씀마지막으로 당부드리고 싶은 말씀이 있다면, 사실 정지 케이스의 경우 의도적으로 저작권 위반이나 욕설, 19금, 도박, 타인 앱 도용 등을 하지 않는 이상 자주 겪기는 어렵습니다. 저도 400개가 넘는 앱을 만들었지만 정지된 앱은 약 15개 내외 정도로, 발생 빈도 자체가 낮을 뿐더러 정책을 제대로 준수하는 앱을 만든다면 정지되기 어려운 게 사실입니다. 따라서 정지에 대한 대비책을 고려하는 것은 좋지만, 과도하게 신경 쓸 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 0
- 2
- 121
Hỏi & Đáp
구글플레이 등록
안녕하세요!우선 제가 생각하는 방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아래와 같은 방법을 활용해서 앱 이전을 이용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앱 이전의 경우 그리 큰 노력이 들지 않고 비교적 쉽습니다.)개인사업자를 조직 계정으로 개설 + DUNS 인증 후 14일 테스트 회피위 조직 계정으로 앱을 출시하고, 출시가 완료되면 개인 계정으로 앱 이전그리고 만약 100% 수익 모델이 애드몹이라면 조직 계정으로 그대로 운영해도 괜찮을 것 같고, 만약 수익 모델이 인앱결제나 구독결제 모델이라면 수익 정산 문제가 있을 수 있으니 어쩔 수 없이 14일 테스트 과정을 거쳐야 할 것 같습니다. 물론 위에서 말한 방법을 사용한다면 이 또한 회피가 가능할 것으로 보입니다.이미 DUNS 발급을 받으셨다니, 이 방법을 고려해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 0
- 2
- 88
Hỏi & Đáp
앱 종료시 네이티브 광고 정책위반 관련 질문
안녕하세요! 개발고수님의 질문에 답변드리겠습니다.저도 뒤로가기 팝업에 네이티브 광고를 사용하고 있는데, 지금까지 정책 위반을 받은 적은 한 번도 없었습니다. 질문자님의 상황을 분석해보니 몇 가지 원인을 추측해볼 수 있겠네요.1. 수정된 광고 코드: 광고 프레임 크기 변경이 위반은 다음과 같은 경우에 주로 발생합니다.광고 컨테이너의 크기를 강제로 조정코드로 광고 영역을 임의로 수정광고가 로드된 후 동적으로 크기 변경권장 해결책: 저는 가로는 Match Parent, 세로는 Wrap Content로 설정하고 로드되는 네이티브 광고를 그대로 노출시키는 방식으로 구현했습니다. 이 방법을 적용해보시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2. 의도치 않은 클릭 유도이 문제는 광고 로딩 타이밍과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예상 시나리오: 팝업이 처음 뜰 때는 광고가 없어서 작은 사이즈였다가, 광고가 로드되면서 팝업 크기가 갑자기 커지는 상황입니다. 사용자가 '취소'나 '종료' 버튼을 누르려고 손가락을 가져다 댔는데, 그 순간 광고가 삽입되면서 의도치 않게 광고를 클릭하게 되는 것이죠.해결 방법:광고 영역 고정: 광고가 로드되지 않더라도 충분한 공간을 미리 확보해두는 방법사전 로드 (추천): 광고를 미리 로드해두고, 뒤로가기 버튼을 눌렀을 때 지연 없이 광고가 바로 표시된 상태로 팝업을 노출2번 방법을 강력 추천드립니다. 이렇게 하면 UI 변경으로 인한 실수 클릭을 방지할 수 있고, 사용자 경험도 개선됩니다.위 내용을 참고하셔서 개선해보시기 바랍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래요! 🙂 아래는 제가 운영중인 앱들의 뒤로가기 팝업의 모습입니다.(사진) (사진)
- 0
- 2
- 77
Hỏi & Đáp
애드몹 광고 제재에 관하여 문의 드립니다.
안녕하세요.AdMob 광고 제재 문제로 고생하고 계시는군요. 말씀해주신 상황을 보면 테스트 기기 등록이 핵심 원인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주요 원인 분석테스트 기기 미등록으로 인한 제재AdMob에서 테스트 기기를 등록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광고를 클릭하지 않고 단순히 보는 것만으로도 어뷰징으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이는 노출만으로도 수익이 발생하는 광고 유형이 존재하기 때문입니다개발자가 자신의 앱에서 광고를 확인하는 행위 자체가 무효 트래픽으로 분류될 수 있습니다해결 방안1단계: 테스트 기기 등록AdMob 콘솔에서 개발/테스트용 기기를 반드시 등록하세요등록된 테스트 기기에서는 실제 광고 대신 테스트 광고가 표시됩니다2단계: 테스트 광고 ID 사용개발 단계에서는 실제 광고 단위 ID 대신 Google에서 제공하는 테스트 광고 ID를 사용하세요이를 통해 광고 로직은 테스트하되 실제 광고 네트워크에는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3단계: 신중한 재시도제재가 해제된 후에는 반드시 위 조치들을 완료한 상태에서만 AdMob을 재적용하세요참고사항AdMob은 보안상의 이유로 제재의 정확한 사유를 공개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반복적인 제재 패턴을 보면 테스트 과정에서의 무효 트래픽 생성이 가장 가능성이 높은 원인으로 판단됩니다.테스트 기기 등록 후에도 문제가 지속된다면, 앱의 광고 구현 로직을 재검토해보시기 바랍니다.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 0
- 2
- 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