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0개의 앱을 개발하여 퇴사를 이룬 개발자입니다.
현재는 인디해커로 활동하며 경제적 독립을 위해
꾸준히 앱을 만들어나가고 있습니다.
Khóa học
Đánh giá khóa học
- Phương pháp tạo ra 350 ứng dụng cá nhân để đạt được doanh thu gấp 7 lần lương tháng
summerfallwin4726
·
Phương pháp tạo ra 350 ứng dụng cá nhân để đạt được doanh thu gấp 7 lần lương thángPhương pháp tạo ra 350 ứng dụng cá nhân để đạt được doanh thu gấp 7 lần lương thángzinozzang1238916
·
Phương pháp tạo ra 350 ứng dụng cá nhân để đạt được doanh thu gấp 7 lần lương thángPhương pháp tạo ra 350 ứng dụng cá nhân để đạt được doanh thu gấp 7 lần lương tháng- Phương pháp tạo ra 350 ứng dụng cá nhân để đạt được doanh thu gấp 7 lần lương tháng
- Phương pháp tạo ra 350 ứng dụng cá nhân để đạt được doanh thu gấp 7 lần lương tháng
Bài viết
Hỏi & Đáp
AI API 이용 금액 질문
안녕하세요! 좋은 질문 감사드립니다.LLM API 비용은 서비스에서 AI를 어떻게 활용하느냐에 따라 천차만별입니다.1. 사용 패턴에 따른 비용 예측AI를 많이 사용하는 서비스의 경우사용자가 AI와 직접 대화하거나 분석 기능을 많이 사용하는 앱이라면 토큰 소모가 심하고, 이는 곧 비용으로 직결됩니다. 예를 들어 한 사용자가 하루에 100,000토큰을 사용하고 그 비용이 약 0.5달러가 발생한다면, 한 달 동안 꾸준히 사용할 경우 월 15달러의 비용이 발생하게 됩니다. 이런 경우에는 월 구독 모델이 필수입니다. 실제 수익 계산을 해보면 어떨까요? Google Play 인앱 구매 기본 수수료는 30%이며, 연 수익 100만 달러 미만인 소규모 개발자는 15%의 할인된 수수료가 적용됩니다. 여기에 부가가치세 신고 시에는 플랫폼 수수료를 차감하기 전 결제 총액을 매출로 신고해야 하며, 플랫폼 수수료는 별도로 경비 처리합니다.그리고 세금도 고려해야 합니다. 종합소득세는 과세표준에 따라 6%~45%의 누진세율이 적용됩니다. 2025년 기준 과세표준 1,400만 원 이하는 6%, 1,400만 원 초과~5,000만 원 이하는 15%가 적용됩니다. 구체적으로 월 30달러 구독 모델을 예로 들어볼게요. 사용자가 30달러(약 40,000원)를 구독료로 지불하면, 먼저 Google Play 수수료 15%를 차감하여 25.5달러(약 34,000원)가 남습니다. 여기서 종합소득세 및 지방소득세(약 20% 가정)를 내면 20.4달러(약 27,200원)가 되고, AI API 비용 15달러를 차감하면 최종적으로 5.4달러(약 7,200원)만 순수익으로 남게 됩니다.결국 AI를 많이 사용하는 서비스에서 사용자당 실제 수익률은 약 18% 수준이므로, 수익화를 위해서는 최소 월 25~30달러 정도의 구독료를 책정해야 합니다. 서버 중심 처리 서비스의 경우반면 뉴스 일일 요약 브리핑 같은 서비스를 운영한다면 이야기가 달라집니다. 서버에서 제한된 횟수만 LLM API를 호출하고, 그 결과물을 내부 DB에 저장한 뒤 API로 제공하는 방식이라면 비용 부담이 상대적으로 적습니다. 이런 경우는 광고 수익만으로도 충분히 비용을 커버할 수 있습니다.(물론 분석하고 저장해야될 데이터가 많다면 이야기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2. 비용 최적화 전략어떤 모델을 선택하느냐도 중요합니다. 간단한 채팅 앱이라면 GPT-4 mini나 Grok의 grok-4-fast-non-reasoning 같은 경량 모델만으로도 충분합니다. 물론 고성능 모델을 사용하면 더 나은 결과가 나오겠지만, 프롬프트 설계를 잘하면 저사양 모델로도 만족스러운 결과를 뽑아낼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서는 System Prompt를 여러 번 변형해가며 실험하는 과정이 필수입니다.비용 구조를 정확히 이해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Input과 Output 토큰의 가격이 다르기 때문에 예상 사용량을 나누어 계산해야 합니다. 총 토큰 수에 단가를 곱해서 월 예상 비용을 산출해보세요. 3. 추가 팁: OpenAI API 무료 혜택OpenAI API는 사용량에 따라 티어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초기에는 데이터 공유 옵션이 큰 혜택이 없지만, 사용량이 증가하여 티어가 올라가면 데이터 공유 시 하루 단위로 상당한 무료 크레딧을 받을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https://help.openai.com/en/articles/10306912-sharing-feedback-evaluation-and-fine-tuning-data-and-api-inputs-and-outputs-with-openai 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결론말씀하신 것처럼 정답은 없으며,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최적값을 찾아가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저의 경우 AI를 하드하게 사용하는 서비스에서 구독 모델과 광고를 병행하여 성공적으로 수익화했습니다.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 0
- 2
- 10
Hỏi & Đáp
어떤 AI 구독하고 계시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저의 경우 다음과 같은 서비스를 구독 하고 있습니다.Claude: 월 $200 Max PlanClaude Code 사용Claude 사이트 활용Gemini Pro: 월 29,000원복잡한 웹 기반 검색 및 자료 찾기에 좋음가끔 Claude Code가 해결하지 못하거나 코드를 이상하게 만들어주는 경우, 코드가 이해가 되지 않는 경우 학습 및 문제 해결에 뛰어남.이미지 생성시에도 활용ChatGPT: 월 $20 PlusCodex 가끔 사용Sora에서 하루 횟수 제한 없이 이미지나 영상 제작시 도움 많이 됨.앱 스크린샷 제작: 년구독 $81저의 경우 다작을 하다보니, 앱 스크린샷을 제작하는데 많은 시간이 들어가는데, 앱 스크린샷 다국 어 처리 + 깔끔한 앱 스크린샷을 빠르게 제작하는데 도움이 됩니다.신규앱 출시가 잦지 않다면 불필요합니다.Perplexity: 무료 버전 사용중가벼운 웹 검색시 활용(빠르고 간단한 검색은 잘해줍니다.) 무료로 충분.
- 0
- 2
- 17
Hỏi & Đáp
다작 환경에서 cursor를 통한 제작 룰 설정
저의 경우 Cursor를 쓰다가 Claude Code로 넘어왔습니다.여러모로 더 편리하고 더 코드를 잘 만들어주기 때문입니다.
- 0
- 1
- 18
Hỏi & Đáp
인앱 결제에서 가장 어려운건 무엇인가요?
인앱 결제에서 가장 어려운 점은 사용자가 기꺼이 돈을 지불하고 싶게 만드는 비즈니스 모델을 설계하는 것입니다.광고 기반 수익화는 비교적 간단합니다. 앱에 광고를 삽입하기만 하면 수익이 발생하니까요. 하지만 인앱 결제는 다릅니다. 사용자의 지갑에서 직접 돈을 꺼내게 하려면, 그만큼 매력적이고 명확한 가치를 제공해야 합니다.좋은 예시를 들어볼게요.특정 분야의 정보를 수집하고 가공하는 데 매일 4시간을 쓰던 사용자가 있다고 가정해봅시다. 만약 당신의 앱이 이 작업을 자동화해서 단 1분 만에 끝낼 수 있게 해준다면? 사용자는 인앱 결제나 구독료를 기꺼이 지불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시간 절약이라는 명확한 가치가 있기 때문이죠.반면, 이런 명확한 가치 제안 없이 "프리미엄 기능을 사용하려면 결제하세요"라고만 한다면, 사용자는 선뜻 결제하기 어려울 것입니다.핵심은 이것입니다.사용자의 구체적인 문제나 불편함을 정확히 파악하고, 그것을 해결하는 명확한 가치를 제시하는 것. 이 부분을 제대로 구상하고 설계하는 것이 인앱 결제에서 가장 어렵지만, 동시에 가장 중요한 과제입니다.
- 0
- 2
- 20
Hỏi & Đáp
사업자 등록 없는 개인 개발 문의
직장을 다니시면서도 사업자 등록은 충분히 가능합니다. 홈택스에서 간단하게 신청할 수 있고, 당장 수익이 발생하지 않으면 세금 문제도 없어 큰 부담이 되지 않습니다.사업자 등록을 권장하는 이유1. 세제 혜택 만 35세 이하라면 청년기업세액감면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 혜택은 사업 초기에 큰 도움이 되므로, 가능하면 빨리 등록하시는 게 유리합니다.(해당 조건에 부합된다면 5년간 세액 감면 혜택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2. 수익화 범위 확대사업자 없이도 애드몹 광고 수익은 받을 수 있습니다하지만 인앱 결제나 구독 모델은 현재 사업자 등록이 필수입니다사업자가 있으면 다양한 수익 모델을 시도할 수 있어 선택지가 넓어집니다3. 세금 처리의 복잡함 방지 제 경험을 말씀드리자면, 저는 사업자 없이 몇 년간 수익을 창출했습니다. 사업자 없이 받은 수익은 기타소득으로 처리되는데, 이 경우 서버비나 광고비 같은 실제 경비를 제대로 인정받지 못해 세금 부담이 더 커집니다. 게다가 세금 신고 절차도 복잡해서 누락된 부분이 많았고, 결국 가산세를 내야 했습니다. 지금 돌이켜보면 처음부터 사업자를 내고 사업소득으로 신고했더라면 경비 공제도 받고 세금도 훨씬 절약할 수 있었을 것 같습니다.(당시 막연하게 사업자를 내는것 자체가 두렵고 어렵게 느껴졌던것 같습니다, 하지만 해보니 별거 없습니다)그래도 사업자 없이 시작하신다면불가피하게 사업자 없이 시작하시는 경우, 다음 사항을 유의하세요.애드몹 수익에 집중: 인앱 결제나 구독은 사업자가 필요하므로, 초기엔 광고 수익 모델에 집중하세요수익 기록 관리: 입금 내역을 꼼꼼히 기록해두고, 다음 해 5월 종합소득세 신고를 되도록 하세요. 신고를 놓치면 가산세가 붙습니다.(소액일 경우에는 그냥 넘어가는 경우가 있긴한데 계속 미루거나 신고를 안하면 결국 국세청으로 부터 연락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사업자 전환 시점 고민: 월 수익이 일정 수준(예: 월 50만원 이상) 안정적으로 발생하면 그때라도 사업자 등록을 고려하세요애드몹 수익만으로도 충분히 유의미한 결과를 만들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에서 말씀드린 이유들 때문에, 가능하다면 처음부터 사업자를 내고 시작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 0
- 2
- 30
Hỏi & Đáp
섹션10 바이브코딩은 언제 볼수있을까요?
안녕하세요!최근 계속 바쁜 일들이 겹쳐서 엄두를 못내고 있었는데 이번달 부터 시작하여 늦어도 11월 중에는 출시될 수 있게 하겠습니다!
- 0
- 1
- 23
Hỏi & Đáp
디자인 관해서 질문하나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좋은 질문 주셔서 감사합니다.먼저 말씀드리고 싶은 건, 저는 디자인을 멋지고 화려한 것보다는 직관적이고 사용자 편의에 초점을 맞춰 바라봅니다. 극단적으로 말하면, 단순하고 투박해 보이는 디자인도 사용자에게 편리하다면 그것이 좋은 디자인이라고 생각해요.제 디자인 역치가 낮은 편이라, Claude Code 같은 AI 도구가 만들어주는 디자인도 충분히 괜찮다고 느낍니다. 실제 경험에서 배운 것제가 만든 앱들을 돌이켜보면디자인에 공을 들여도 그것만으로 성공한 경우는 단 하나도 없었습니다반면 디자인은 투박해도 직관적이고, 사용자에게 실질적인 편의나 가치를 제공하는 앱들이 훨씬 더 좋은 성과를 냈습니다물론 디자인 감각이 뛰어나고 잘 다룰 수 있다면, 같은 음식도 예쁘게 플레이팅하면 더 맛있어 보이듯 분명 플러스 요소가 됩니다. 하지만 그런 상황이 아니라면, 디자인에 너무 많은 시간과 에너지를 쏟기보다는 핵심 기능과 사용자 가치에 집중하는 게 더 효율적이라고 생각합니다.AI 활용 팁AI를 사용하실 때 하나 팁을 드리자면, "조금 더 멋지고 화려하게 만들어줘", "애니메이션 추가해줘" 같은 요청을 하면 생각보다 훨씬 더 나은 결과를 내주는 경향이 있습니다. 한번 시도해보시길 추천드립니다!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
- 0
- 2
- 22
Hỏi & Đáp
14일 테스트 회피관련
안녕하세요. 좋은 질문 감사합니다.말씀하신 방법에 대해 솔직한 제 생각을 말씀드리겠습니다. 정책 우회 방법에 대한 현실적 평가조직계정 개설 → 개인계정 이전 방법이론적으로는 소수의 앱(5개 이하) 정도는 문제가 안 될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지속 가능한가?"라는 부분에서는 저도 확신할 수 없습니다.구글의 모니터링 알고리즘이 언제 변할지 예측 불가능 말씀하신 대로 구글은 "얄짤없이" 처리하는 경우가 있음관련하여 해외 커뮤니티랑 관련 글들을 많이 찾아보았지만 위 방법으로 문제가 된 케이스를 아직은 찾지 못했습니다. 어쩌면 누군가는 이미 제재를 받았을수도 있고, 반대로 정말 잘 활용하고 있는 사람도 있을 수 있겠죠. 정확한 케이스가 있다면 이렇게 해도 된다고 하겠지만 그만큼 불확실한 요소가 높습니다. 최악의 경우에는 계정이 정지 당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겠죠. 그래서 제가 생각하는 가장 안전한 대안은조직계정 + AdMob 위주 수익화 전략을 권장드리고 싶습니다.핵심 장점정책 준수: 계정 관련 구글 정책 위반 위험 없음14일 테스트 회피: 조직계정으로 자연스럽게 해결독립적 정산: AdMob은 개발자 계정 유형과 무관하게 운영확장성: 안정화 후 다른 수익 모델 도입 가능단계별 접근초기: 조직계정 + AdMob 수익화로 안전하게 시작중기: 앱 성과 검증 후 전략적으로 인앱이나 구독 상품 추가 및 적용(필요시)장기: 상품이 잘 팔린다면 정산이 문제가 되는 것이므로 이때 최종적으로 개인 계정으로 앱 이전그리고 개인적으로 인앱/구독 상품 없이 애드몹 수익만으로도 충분한 경우가 많았습니다. 저의 경우 글을 작성하는 시점에서 400개가 넘는 앱을 출시하였지만 그중 인앱/구독 상품이 있는 앱은 20개 이하이며 전체 수익원에서 인앱/구독 수익이 차지하는 비중은 극히 낮습니다. (물론 어떤 서비스냐에 따라 이는 달라질 수 있습니다. 누군가는 광고 수익보다 더 많은 수익을 인앱/구독 상품에서 얻는 분들도 분명 많이 계실테니)결론"확실하지 않은 우회보다는 확실한 안전"소수 앱 우회가 통할 수도 있지만, "~일 것 같다"로 지속 운영하기엔 분명 위험이 존재합니다.AdMob 수익화도 충분히 매력적이니, 정책을 준수하면서 안전하게 서비스를 발전시키는 것이 장기적으로 더 큰 수익을 가져다줄 것입니다. 추가 질문 있으시면 언제든 말씀해 주세요!
- 0
- 2
- 104
Hỏi & Đáp
개인 개발 시작 시 사업자 등록·겸업금지·출시 전략 관련 문의드립니다
안녕하세요! iOS 개발 4년차에 38세로 둘째 아이를 앞두고 계시는 상황에서 개인 앱 개발에 도전하시는 결심, 정말 멋집니다. 실무 경험이 충분하시니 이제 본격적으로 시작하기 좋은 시점이라고 생각해요.질문 주신 내용들에 대해 답변드리겠습니다. 1. 사업자 등록 관련처음부터 사업자 등록을 하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매출이 생긴 후에 등록하는 것보다 여러 면에서 유리한 점들이 많아요.특히 청년창업 세액감면 혜택을 꼭 확인해보세요. 만 나이로 조건에 부합하는지 살펴보시고, 만약 나이 제한에 걸린다면 배우자분 명의로 사업자를 등록하는 방법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이 혜택은 정말 큰 세금 절약 효과가 있어서 받을 수 있다면 놓치지 마세요.사업자 등록의 실질적 장점들각종 AI 서비스 구독 시 부가세 감면: ChatGPT, Claude, Gemini 같은 개발 필수 도구들을 사업자로 구독하면 부가세 절약 가능(비용에 10% 정도로 생각하시면 됩니다.)개발 관련 비용 처리: 맥북, 아이폰, 개발자 계정료, 서버비, 광고비 등 모든 개발 관련 비용을 사업경비로 처리하여 세금 절약인앱/구독 결제 구현 필수 조건: 나중에 앱에 인앱 결제나 구독 서비스를 넣으려면 사업자 등록이 반드시 필요함세무 리스크 방지: 사업자 등록 없이 수익 발생 후 별도 신고 없이 진행하면, 적발 시 가산세나 불이익을 받을 수 있음세금 혜택 활용: 사업자 없이는 광고비 지출이나 수익에 대한 세금 혜택을 전혀 받을 수 없어 손해따라서 처음부터 사업자 등록을 하고 시작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2. 겸업금지 관련현실적으로 말씀드리면, 회사에서 따로 언급하지 않는 한 알 방법이 거의 없습니다. 다만 몇 가지 주의사항은 있어요.회사의 기술이나 아이디어를 그대로 사용하지 않기회사 업무와 직접적으로 경쟁하는 서비스 피하기회사 업무 시간에 개인 앱 개발하지 않기겸업금지라는 개념 자체가 다소 모호한 면이 있고, 개인 앱 개발은 취미 활동의 연장선상으로도 볼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회사를 여러 개 동시에 다니는 것도 아니고, 적절한 선을 지키신다면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생각합니다.3. 출시 전략 관련가벼운 기능의 무료 앱 + 광고 수익화로 시작하는 것을 추천합니다.인앱 결제나 구독 서비스로 수익을 내려면 정교한 비즈니스 모델 설계가 필요하고, 사용자들이 돈을 지불할 만한 충분한 가치를 제공해야 해요. 처음이시라면 이런 구조를 만들기가 아무래도 무료앱 + 광고 붙히기 보다는 난이도가 있는 편이라 생각합니다.저의 경우 많은 앱들을 출시하고 관리하고 있지만, 인앱 결제나 구독으로 수익화하는 앱은 20개 미만으로 그리 많은편은 아닙니다. 유료앱은 한번도 만들어본적이 없긴하네요 ㅎㅎ추천하는 시작 전략(처음에는)1~5개 페이지 형태의 간단하고 유용한 기능무료 다운로드 + 광고 수익화사용자 반응과 데이터 수집 후 점진적 기능 확장충분한 경험과 사용자 기반이 쌓인 후 추가 수익화 모델 고려4년차 iOS 개발 경험이 있으시니 기술적인 부분은 충분히 가능하실 것 같아요. 이제는 사용자가 정말 원하는 것을 만드는 것이 핵심일 것 같습니다. 육아와 부업 화이팅입니다!
- 0
- 2
- 147
Hỏi & Đáp
구글 플레이 계정 등록에 대해 질문 드립니다
네 맞습니다.가장 좋은 방법은 법인 사업자를 개설하여 조직계정으로 운영하는 것조직 계정 운영시 14인 테스트 X, 인앱/구독 결제 수익 받을때 지장 X개인 사업자를 조직 계정으로 운영하는 것조직 계정 운영시 14인 테스트 X, 인앱/구독 결제 수익 받을때 지장 O애드몹 수익은 Google Play랑 독립된 서비스라 가능할것으로 보임사업자 개설이 불가능한 상황이라면 개인 계정으로 개설 후 운영14일 테스트 진행 필요 / 인앱/구독 결제 수익 받을때 지장 X순이 될 것 같습니다. 하지만 하나의 대안으로 활용할 수 있을 법한게 개인 사업자를 조직 계정으로 개설하여 서비스를 14일 테스트를 회피하여 출시한 뒤 > 출시가 완료되면 개인 계정으로 이전하게 되면 테스트는 피할 수 있으면서 인앱/구독 수익을 받을때도 지장이 없어지기 때문에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을것 같습니다.이전 방법은 각 개발자 계정에서 보내는 쪽에서 이전 요청 > 받는 쪽에서 이전 승인 하면 끝나는 간단한 프로세스이기 때문에 (다만 시간이 1~3일 정도 소요 됩니다.) 쉽게 앱 이전이 가능합니다.
- 0
- 2
- 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