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전체 3#카테고리
- 백엔드
![[인프런 워밍업 클럽 0기] BE 3주차 회고](https://cdn.inflearn.com/public/files/blogs/e025b5a0-9e7c-4537-ba50-05eec7655833/인프런.png?w=260)
2024. 03. 10.
0
[인프런 워밍업 클럽 0기] BE 3주차 회고
어느덧 인프런 클럽 BE 스터디도 막바지를 향해 달려가고 있습니다.3주차 때 어떤 내용을 배웠는지, 그리고 미니 프로젝트 진행 사항은 어떠한지 간략하게 살펴보겠습니다. 3주차 정리AWS 가 무엇인지, 어떠한 기능이 있는 지를 알아보았습니다. 그리고 우리가 개발한 도서 관리 사이트를 배포하기 위해 application.yml 설정 파일에서 local 버전과 dev 버전을 나누었고, github를 이용하여 개발한 코드를 원격 저장하는 방법을 배웠습니다. 그리고 아마존 elastic compute cloud(ec2) 를 통해 우리가 개발한 사이트를 배포하였고, 가비아 사이트를 통해 할당된 ip에 도메인 이름을 적용해보았습니다. 마지막으로 gradle 파일에 작성되어 있는 문구를 파악해 보았고, lombook, 스프링부트 버전 업데이트 방법을 배웠습니다. 프로젝트 진행사항 및 회고본래 계획은 이번 주차 때 4단계까지 전부 완료하고 프로젝트를 어떻게 수행했는 지를 벨로그에 적을려고 했지만, 개강 등 여러 이슈로 인해 3단계까지 진행하지 못하였습니다.프로젝트 1단계는 무난하게 넘어갔으나, 2단계 출퇴근 기능과 3단계 연차 추가 기능에서 애를 먹었습니다. 아직까지 JPA 연관관계를 익숙하게 다루지 못하는 것 같아 좀 더 공부가 필요하다고 느꼈습니다. 이번 인프런 스터디를 시작하면서 스프링에서 API를 작성하는 방법을 처음 접해봤습니다. 처음 강의를 들을 땐 강의 따라가느라 급급했던 저였지만 지금은 스프링과 어느 정도 친숙해 진 것 같습니다. 아직 가야 할 길이 한참 남았지만 이번 스터디를 통해 제가 조금 더 성장할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백엔드
![[인프런 워밍업 클럽 0기] BE 2주차 회고](https://cdn.inflearn.com/public/files/blogs/53d1434b-13ee-4a88-aec6-4c6dcaf7704c/인프런.png?w=260)
2024. 03. 03.
0
[인프런 워밍업 클럽 0기] BE 2주차 회고
2주차 학습 내용 정리 6일차스프링 컨테이너의 개념을 배우고, 기존에 작성했던 Controller 코드를 Controller - Service -Repository 계층으로 3단 분리하는 방법으로 배웠습니다. 각 계층의 특징과 역할도 배웠습니다. 또한 FruitRepository를 메모리와 SQL 레포지토리로 나누고 @Primary 어노테이션을 활용해 두 레포지토리를 바꿔가며 동작할 수 있게 과제 코드를 변경해 보았습니다. 7일차JPA의 개념을 배우고, JPA 사용 방법, 엔티티 클래스 생성 방법, 테이블 매칭 방법등을 배우고 유저 테이블에 JPA를 적용해 보았습니다. 그리고 배운 내용을 통해 기존 과제를 JPA 코드로 바꿔 보았습니다. 8일차~Transaction이 무엇이고, 왜 사용해야 하는 지, 그리고 JPA 영속성 컨텍스트의 기능과 특징이 무엇인 지 배워 보았습니다.그리고 이전까지 강의에서 다루었던 내용들을 익힐 수 있도록 미니 프로젝트를 수행하기 시작했습니다. 회고6일차 과제까지는 무난하게 수행할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7일차 과제부터는 여러 난관이 있었습니다. 그중 가장 어려웠던 건 JPA 와 DB 테이블 매칭 이었습니다. 필드 이름을 camelCase로 적더라도 실제 데이터베이스에서는 snake_case 의 필드와 매핑되는 정책, 일반적으로 DB 네이밍은 snake_case 형식을 작성한다는 사실을 모른 채 진행하다 보니 많이 헤맸었고 결국 제 시간 안에 과제 제출을 하지 못했습니다. 7일차 과제를 제때 수행하지 못했지만, JPA 와 DB 테이블 매칭 방법을 알 수 있는 좋은 기회였다고 생각합니다. 현재 미니 프로젝트는 1단계까지 완료한 상태이며, 2단계를 진행 중에 있습니다. 다음 주 내로 미니 프로젝트 3단계 까지 완료 하고, 각 단계마다 어떻게 접근을 하였는지를 벨로그에 적을 예정입니다.
백엔드
![[인프런 워밍업클럽 BE] 1주차 회고](https://cdn.inflearn.com/public/files/blogs/0743731f-d629-4e4c-aaad-7ff6ae946bef/인프런.png?w=260)
2024. 02. 25.
0
[인프런 워밍업클럽 BE] 1주차 회고
스터디 신청 이유스프링 프로젝트가 있기는 커녕 스프링에 대해서 잘 알지 못했던 나는 곧 졸업반을 앞두고 많은 조바심이 생겼다. 때문에 이번 인프런 스터디에 대해 참여하게 되었다. 1주차 학습 내용 요약 1일차 : 서버 개발을 위한 환경 설정 및 네트워크 기초스프링 프로젝트 설정 방법,네트워크의 기초내용과 HTTP 상태코드 등을 학습 하였습니다.2일차: 첫 HTTP API 개발GET,POST API, 유저생성,조회 API를 개발해 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3일차: 기본적인 DB 사용법MYSQL DB와 연동하는 방법, 테이블 조작 방법을 배웠습니다.4일차: DB를 이용해 만드는 APIDB와 연동하여 API를 만드는 방법을 배웠습니다.5일차: 클린코드의 개념과 첫 리펙토링클린코드의 개념을 학습하였고, 스프링 프로젝트를 Service,Repository,Controller 로 분리하여 각 역할에만 충실하도록 코드를 리펙토링 해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1주차 미션 미션 1일차어노테이션을 사용하는 효과는 무엇이며, 나만의 어노테이션을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고민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어노테이션 정리 블로그https://velog.io/@jinuk0613/%EC%9D%B8%ED%94%84%EB%9F%B0-%EC%9B%8C%EB%B0%8D%EC%97%85%ED%81%B4%EB%9F%BD-BE-0%EC%9D%BC%EC%B0%A8-%EC%96%B4%EB%85%B8%ED%85%8C%EC%9D%B4%EC%85%98 미션 2일차강의에서 배운 GET,POST API 작성 방법 이용해 추가적인 GET,POST API를 만들어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2일차 해결과정을 담은 블로그https://velog.io/@jinuk0613/%EC%9D%B8%ED%94%84%EB%9F%B0-%EC%9B%8C%EB%B0%8D%EC%97%85%ED%81%B4%EB%9F%BD-BE-2%EC%9D%BC%EC%B0%A8-GET-POST-API-%EB%A7%8C%EB%93%A4%EC%96%B4%EB%B3%B4%EA%B8%B0 미션 3일차자바의 람다식이 왜 등장했으며. 람다식의 문법과 람다식과 익명 클래스의 관계가 어떻게 되는지 고민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람다식 정리 블로그https://velog.io/@jinuk0613/%EC%9D%B8%ED%94%84%EB%9F%B0-%EC%9B%8C%EB%B0%8D%EC%97%85%ED%81%B4%EB%9F%BD-BE-3%EC%9D%BC%EC%B0%A8-%EB%9E%8C%EB%8B%A4%EC%8B%9D 미션 4일차MYSQL 과 연동하여 API를 개발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DB 연동하여 API 개발과정을 담은 블로그https://velog.io/@jinuk0613/%EC%9D%B8%ED%94%84%EB%9F%B0-%EC%9B%8C%EB%B0%8D%EC%97%85%ED%81%B4%EB%9F%BD-BE-4%EC%9D%BC%EC%B0%A8-API-%EB%A7%8C%EB%93%A4%EA%B8%B0-with-MYSQL 미션 5일차클린코드에 대해 고민해 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클린코드 리펙토링 블로그https://velog.io/@jinuk0613/%EC%9D%B8%ED%94%84%EB%9F%B0-%EC%9B%8C%EB%B0%8D%EC%97%85%ED%81%B4%EB%9F%BD-BE-5%EC%9D%BC%EC%B0%A8-%ED%81%B4%EB%A6%B0%EC%BD%94%EB%93%9C 회고1주차 기간에 시험이 2개나 겹쳐서 온전히 인프런 스터디에 집중을 못해 더 나은 결과물을 도출하지 못했다는 점에서 아쉬움이 남는다. 2주차 이후부터는 스터디에 더 집중해야겠다.
백엔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