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전체 2#카테고리
- 데브옵스 · 인프라
2025. 06. 08.
1
[인프런 워밍업 클럽 4기 - DevOps] 2주차 발자국
이번 주 학습 요약이번 주에는 Kubernetes 배포 자동화 도구인 ArgoCD를 빠르게 레벨업하는 강의를 들었다. ArgoCD의 아키텍처와 주요 컴포넌트를 배웠고, 멀티 클러스터 배포, 이미지 업데이트 감지, Blue/Green 배포, Canary 배포까지 단계적으로 실습했다. 각 기능의 역할과 배포 플로우를 하나씩 확인할 수 있었다.실습에서는 argocd CLI를 사용해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했다. ApplicationSet으로 다양한 배포 환경을 관리하는 방법도 연습했다. 마지막으로 Rollout과 Image Updater를 연계해 자동 배포까지 테스트해봤다. 이번 주 회고처음엔 ArgoCD의 구성요소가 많아 복잡해 보였다. 하지만 실제 배포 플로우를 따라가며 하나씩 실행해보니 점점 익숙해졌다. UI와 CLI의 역할을 비교하며 배포 흐름을 정리할 수 있었다. ApplicationSet을 활용해 환경별 배포를 손쉽게 관리하는 부분도 인상적이었다.실습 중에는 세부 옵션 설정이 쉽지 않았다. 특히 Canary 배포에서 트래픽 분배를 세밀히 조정하는 부분에서 몇 번 시행착오를 겪었다. 이 과정을 통해 배포 전략을 사전에 충분히 고민해야 한다는 것을 느꼈다. 아쉬웠던 점 & 보완할 점아쉬웠던 점은 ArgoCD의 기능을 넓게 배우느라 세부 설정과 고급 옵션을 깊게 보지 못한 점이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다음 주에는 Rollouts와 Image Updater의 공식 문서를 참고해보려 한다. 실제 프로젝트 환경에서 필요한 옵션을 중심으로 다시 정리할 예정이다. 다음 주 학습 목표ArgoCD Rollouts와 Image Updater의 고급 설정을 깊이 학습하기Canary 배포의 트래픽 분배 설정을 더 정확히 실습하기배포 전략(Blue/Green, Recreate, RollingUpdate)을 비교해 내 스타일의 배포 흐름을 정리해보기
2025. 06. 01.
1
[인프런 워밍업 클럽 4기 - DevOps] 1주차 발자국
주요 학습 내용컨테이너 한방 정리: 컨테이너 기본 개념과 필요성, Docker 등 컨테이너 기술의 기본 원리를 정리했습니다.무게감 있게 쿠버네티스 설치: VM 환경에서 Kubernetes 설치를 실습했습니다. Vagrantfile, 네트워크 설정(Host-Only, NAT), CPU/메모리 자원 할당의 중요성을 확인했습니다.실무에서 느낀 쿠버네티스 정밀 탐구: 쿠버네티스 오브젝트의 기본 동작과, 실제 운영 환경에서의 적용 방식(ReplicaSet, Deployment, Service 구성)을 살펴보았습니다.Object를 그려보며 이해: Pod, Service, Deployment, ReplicaSet 등의 관계를 시각적으로 정리하며, YAML 파일을 읽고 작성해보는 연습을 했습니다. 이번 주 회고이번 주는 Kubernetes를 처음 접했지만, 개념적으로 ‘왜 쓰이는지’를 이해하고, 설치 실습으로 VM에서 직접 Kubernetes를 실행하면서 기본 개념을 몸에 익혔습니다. 특히 Vagrant로 VM을 자동화하는 과정이 흥미로웠습니다. 실습을 따라가며 네트워크 구성, 노드 자원 할당의 차이를 경험하면서 운영 환경에서의 고려사항도 느꼈습니다.아직 kubectl 명령어를 입력할 때 헷갈릴 때가 있어, 더 반복 실습이 필요하다고 느꼈습니다. 다음 주 목표다음 주부터는 Kubernetes 오브젝트의 세부 기능을 하나씩 살펴보며 Application 중심의 k8s 오브젝트를 이해할 계획입니다. 또한 Helm과 Kustomize를 비교해보며 배포 자동화 방안을 실제로 테스트해보고, Jenkins Pipeline으로 Blue/Green 배포를 진행해보려 합니다.
데브옵스 · 인프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