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프런 워밍업 클럽 4기 - DevOps] 1주차 발자국
주요 학습 내용
컨테이너 한방 정리: 컨테이너 기본 개념과 필요성, Docker 등 컨테이너 기술의 기본 원리를 정리했습니다.
무게감 있게 쿠버네티스 설치: VM 환경에서 Kubernetes 설치를 실습했습니다. Vagrantfile, 네트워크 설정(Host-Only, NAT), CPU/메모리 자원 할당의 중요성을 확인했습니다.
실무에서 느낀 쿠버네티스 정밀 탐구: 쿠버네티스 오브젝트의 기본 동작과, 실제 운영 환경에서의 적용 방식(ReplicaSet, Deployment, Service 구성)을 살펴보았습니다.
Object를 그려보며 이해: Pod, Service, Deployment, ReplicaSet 등의 관계를 시각적으로 정리하며, YAML 파일을 읽고 작성해보는 연습을 했습니다.
이번 주 회고
이번 주는 Kubernetes를 처음 접했지만, 개념적으로 ‘왜 쓰이는지’를 이해하고, 설치 실습으로 VM에서 직접 Kubernetes를 실행하면서 기본 개념을 몸에 익혔습니다. 특히 Vagrant로 VM을 자동화하는 과정이 흥미로웠습니다. 실습을 따라가며 네트워크 구성, 노드 자원 할당의 차이를 경험하면서 운영 환경에서의 고려사항도 느꼈습니다.
아직 kubectl
명령어를 입력할 때 헷갈릴 때가 있어, 더 반복 실습이 필요하다고 느꼈습니다.
다음 주 목표
다음 주부터는 Kubernetes 오브젝트의 세부 기능을 하나씩 살펴보며 Application 중심의 k8s 오브젝트를 이해할 계획입니다. 또한 Helm과 Kustomize를 비교해보며 배포 자동화 방안을 실제로 테스트해보고, Jenkins Pipeline으로 Blue/Green 배포를 진행해보려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