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10강쯤까지 들었습니다.
9강의 뒤가 잘려있습니다. 강의 중 말이 끝나지 않았는데 영상이 멈춥니다.
10강은 앞이 잘려있다고 봤는데 9강의 내용 중 뒷부분부터 시작이었습니다. 일부 편집되어 9강의 마지막 부분과 일치하는 부분이 없어서 9강의 마지막부터 바로 시작하기 힘듭니다.
코드 설명 시 Go의 고유문법이나 Go의 테스트프레임워크를 사용하는데 해당 문법 혹은 프레임워크 함수에 대한 설명이 없습니다.
강의 소개 및 강의 초반 설명에는 다른 언어의 사용자들도 쉽게 배울 수 있다고 하지만 그렇지 않은 것 같습니다.(검색해보니 파이썬이 비슷한 문법을 사용한다고 합니다)
6강에서는 실제 실행을 보여주지 않아 원래 이런 식으로 강의가 끝나는 것인가 생각했는데, 9강과 10강을 보니 어쩌면 6강도 실제로 테스트 실행한 부분이 잘린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
기존에 1점에서 수정했습니다.
빠른 피드백과 수정이 좋았습니다.
완강 후 평하자면, 각 기능의 테스트코드 작성, 기능 구현 순으로 강의가 진행되는 점이 아쉬웠습니다.
테스트 코드를 짜는 영상의 시간이 실제 구현보다 긴데, 이 강의의 핵심은 제목처럼 직접 Git의 내부 기능을 구현하는 것이기 때문에 테스트코드는 미리 작성한 것을 기능 구현 강의 앞이나 뒤에 이 기능은 이런 테스트케이스가 필요하다고 보여주는 것이 강의 주제에 더 집중될 것 같습니다. 구현이 오히려 짧다보니 테스트케이스를 작성하는 공부를 하는 느낌이 더 컸습니다.
강의는 Git을 이제 시작했거나, 조금 아는 수준이면 좀 더 공부한 후에 듣는 것을 추천합니다. 내부동작의 기초부터 알려주지만 적당한 지식이 있어야 이해가 더 편할 것 같습니다.
고생하셨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