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tes]
Youtube 바로가기
LinkedIn 바로가기
[Career]
現) JSCODE - 대표 멘토, CEO
前) (주)트라이포드랩 - CTO
前) (주)온리원유니버스 - CTO
前) 달리(DALY) - CTO
前) 팀메이트(Teammate) - CEO
[Books]
『Do it! JSCODE의 AWS 입문』, 이지스퍼블리싱 (2025.05)
[ETC]
- 기업 대상 개발 컨설팅 및 코딩 교육 활동
강의
로드맵
전체 7수강평
- 실전에서 바로 써먹는 Elasticsearch 입문 (검색 최적화편)
- 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Redis 입문/실전 (조회 성능 최적화편)
- 실전에서 바로 써먹는 Elasticsearch 입문 (검색 최적화편)
게시글
질문&답변
부하 테스트 환경 구성에 대한 질문
안녕하세요! 질문 너무 잘 해주셨어요 ~질문해주신 내용에 대해 답변 드려볼게요!우선 원칙적으로는 ‘운영 환경과 최대한 유사하게’ 구성해야 해요 !부하 테스트의 목적은 '운영 중 발생할 수 있는 실제 트래픽 상황을 미리 검증하는 것'이기 때문이죠 :)특히 EC2 인스턴스 타입, RDS(DB 스펙, 스토리지 타입), 네트워크 구성 (VPC, 서브넷, 보안그룹),데이터 크기 및 인덱스 구조 와 같은 항목들은 결과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쳐요 !하지만 현실적인 제약이 있다면 '병목 구간 중심으로 유사하게' 구성해도 충분해요 !실무에서도 비용 문제로 운영 환경을 그대로 복제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아요 ~이럴 땐 모두 100% 동일하게 맞추는 대신 핵심 병목 지점이 예상되는 영역만 동일하게 맞춰도 의미 있는 데이터를 얻을 수 있어요 !이렇게 “병목이 될 가능성이 높은 구성요소 중심으로” 맞춰두면 Throughput(처리량)과 Latency(지연 시간) 분석이 충분히 유의미해져요 :)이런 식으로 접근하시면 비용도 절약하면서 충분히 의미있는 테스트 결과를 얻을 수 있어요 !추가로 더 궁금하신 점 있으시면 편하게 추가 질문 남겨주세요~😊
- 0
- 2
- 22
질문&답변
aws 프리티어 비용
안녕하세요! 질문 잘해주셨어요 ~~질문해주신 내용에 답변드려볼게요 ! "결과적으로 aws 에서 사용하는건 ec2(t3.micro,스토리지 8gb) 1대, 탄력적ip 1개 총 2가지인데 프리티어에서도 비용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을까요?"-> 최근에 프리티어로 계정을 생성하셨다면 비용이 발생할 가능성이 없어요 !2025년 7월 15일부터 바뀐 프리티어 정책 덕분에 과금이 발생하지 않아요 :)공식문서와 정리된 내용을 확인하고 싶으신 경우 아래 보충 자료를 참고해 보시는 걸 추천드려요 !https://inf.run/Bd5LF추가로 궁금하신 사항있으시면 언제든 추가 질문 남겨주세요 !!
- 0
- 2
- 32
질문&답변
Deployment-service 연결 과정에서 오류..?
안녕하세요 성진님! 질문 잘해주셨어요 ~~질문해주신 내용에 답변드려볼게요 ! 우선 Windows 11 환경에서 Docker Desktop과 WSL을 사용하시는 경우, NodePort로 직접 접속이 안 되는 건 정상적인 현상이에요 !Docker Desktop for Windows는 WSL2 내부에서 Kubernetes를 실행하기 때문에, NodePort가 WSL의 네트워크 내에서만 바인딩돼서 Windows의 localhost에서 바로 접근할 수 없어요! "어떻게 해야 포트 포워딩 작업 없이 바로 서비스에 접근 가능할까요..?"-> 포트포워딩 대신 "Docker Desktop의 여러 설정들을 수정"해서 바로 서비스에 접근을 할 수 있어요 !하지만 Docker Desktop 환경은 로컬 개발용으로 특수한 경우여서 이런 환경을 굳이 수정하시는 건 권장 드리지않아요 !그래서 포트포워딩을 그대로 사용하시는 걸 훨씬 권장드려요 !실무 환경에서도 로컬에서 테스트할 때는 포트 포워딩을 자주 사용하니 학습 목적에도 더 적합해요 ~AWS EKS나 다른 클라우드 환경에서도 로컬에서 Pod나 Service를 직접 테스트할 때는 포트포워딩을 활용하는 경우가 많아요:) 추가로 궁금하신 사항있으시면 언제든 추가 질문 남겨주세요 !!
- 0
- 2
- 22
질문&답변
ec2 우분투 도커 설치 관련
안녕하세요! 질문 잘해주셨어요 ~~질문해주신 내용에 답변드려볼게요 ! "공식 문서로 할때는 -o로 직접 저장을 했는데 강사님이 써주신 방식이 어떤 방식의 이점이 있는지, 실제로 업무에서 사용할 땐 아래 방식으로 써야하는지 궁금합니다"-> 우선 결론적으로 실무에서는 공식문서의 방식을 사용하시는 걸 추천드려요 !공식 문서의 방식이 최신 표준 방식이고, 강의에서 사용한 apt-key 방식은 과거의 표준방식이에요 !강의 자료가 제작된 시점에는 apt-key 방식이 일반적이었지만, 현재는 /etc/apt/keyrings/ 디렉토리에 키를 저장하는 방식이 더 권장되는 방법이에요 ~ "강사님 명령어를 살펴보니 다른 방식으로 github에서 받아오시는것 같고 추가적인 명령어도 더 들어가는데 어떤 장점 때문에 이 방식을 쓰시는지 궁금합니다"-> 해당 명령어 또한 강의자료를 제작할 당시의 표준이라 사용했었어요ㅎㅎ공식 문서를 보는 게 어렵지 않다면 최근에 업데이트 된 공식문서의 방식을 사용하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참고로 두 방식 모두 정상적으로 동작하기 때문에 강의를 따라가시면서 학습하시는 데에는 지장이 없어요 :)추가로 궁금하신 사항있으시면 언제든 추가 질문 남겨주세요 !!
- 0
- 2
- 26
질문&답변
docker 최신 버전 PGDATA 경로 설정 업데이트 소식 공유
안녕하세요 가즈아님! 좋은 내용 공유해주셔서 감사합니다:)말씀해주신 내용 참고해서 보충 자료도 올려놓겠습니다!
- 0
- 2
- 24
질문&답변
부하 테스트에 대한 문의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질문 잘 해주셨어요 !현업에서 어떻게 사용하는지 답변드려볼게요!우선 결론적으로 정해진 정답은 없고 팀별, 프로젝트 상황별 테스트 해보고 싶은 부분에 따라 사용법이 다양해요 ! "로그인 이후 로직에 대한 부하 테스트를 진행할 때 회원 테이블에 더미데이터를 만들어두고 진행할 까요?"-> 네 맞아요 ! vUser 수가 100명이라면 회원 테이블에 테스트용 더미 데이터를 미리 만들어두고 진행하는 게 일반적이에요 ! 테스트용 계정 100개를 미리 생성한 뒤, K6 스크립트에서 이 계정 정보를 배열로 관리하고 각 VU마다 다른 계정으로 로그인을 해요 ! 또는 CSV 파일로 테스트 계정 정보를 관리해서 K6에서 읽어오는 방식도 많이 사용해요 !하지만 부하 테스트를 할 때 테스트용 더미 데이터를 전부 다 다르게 쓰는 게 중요한 포인트가 아니라면 테스트의 편의를 위해 하나의 계정으로 로그인을 하는 방식으로 부하테스트 로직을 구성하기도 합니다. 추가로 목표가 “인증 이후 비즈니스 로직의 성능 측정”이라면, 로그인 비용을 매 요청마다 넣지 말고, 사전 로그인(토큰 선발급) + 토큰 재사용을 사용하기도 해요 !E2E(회원 가입→로그인→행동) 흐름 자체의 안정성을 보고 싶다면, 시나리오로 단계별 흐름을 구성하기도하죠 :) "현업에서는 K6 를 어떻게 다루시는지 문의드립니다"-> 앞서 말씀드린 대로 현업에서 팀별, 프로젝트 상황별 테스트해보고 싶은 부분에 따라 사용법이 다양해요 ~[1] 시나리오 기반 테스트 "로그인 → 상품 목록 조회 → 상품 상세 조회 → 장바구니 담기 → 결제"과 같이 실제 사용자의 동선을 따라가는 테스트를 해요 !이렇게 하면 각 단계별 병목 지점을 파악할 수 있어요 [2] 특정 API 집중 테스트강의에서 보여드린 것처럼 특정 엔드포인트(조회 API 같이 부하가 많이 걸리는)에 집중해서 테스트 해요 !이렇게하면 해당 API의 한계치를 파악할 수 있어요 ![3] 혼합 방식보통은 둘 다 진행합니다! 시나리오 테스트로 전체적인 사용자 경험 검증도 하고 특정 API 테스트로 병목 지점도 상세히 분석하죠 !하지만 모든 부분을 모두 시나리오 테스트를 하고 모든 API를 테스트하는 것이 아니라 해당 프로젝트 서비스에서 중요한 부분 혹은 이슈가 자주 발생하는 부분에 대해서 테스트를 하는 것만으로 충분히 의미가 있어요 :)추가로 궁금하신 점 있으시면 또 질문 남겨주세요~~
- 0
- 2
- 19
질문&답변
도커는 백엔드말고 어디에 쓰이는 곳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질문 잘 해주셨아요 ~질문해주신 내용에 대해 답변드려볼게요 ! "도커는 백엔드말고 어디에 쓰이는 곳이 있나요?"-> 도커는 백엔드 외에도 정말 다양한 곳에서 활용되고 있어요ㅎㅎ주로 아래와 같은 분야에서 다양하게 활용돼요 ~[1] 프론트엔드 개발 및 배포React, Vue, Angular 같은 프론트엔드 애플리케이션도 도커로 배포할수있어요 !또한 Nginx와 함께 정적 파일을 서빙하는 컨테이너를 만들 수 있죠 :)[2] 데이터베이스 및 캐시 서버MySQL, PostgreSQL, MongoDB 같은 DB, Redis 같은 캐시 서버를 로컬 개발 환경에서 쉽게 띄우고 내릴 수 있아요 ![3]데이터 분석 및 머신러닝Jupyter Notebook, TensorFlow, PyTorch같은 환경을 구축 할때, 복잡한 라이브러리 의존성 문제를 도커로 해결할 수 있어요 ![4]CI/CD 파이프라인Jenkins, GitLab CI, GitHub Actions에서 빌드/테스트 환경으로도 사용할수 있어요 ![5]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여러 개의 작은 서비스들을 각각 컨테이너로 관리 할수 있어요 ![6]개발 환경 통일팀원들끼리 완전히 동일한 개발 환경을 공유할 수 있으며, 신입 개발자 온보딩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어요[7] 테스트 환경테스트용 DB나 서버를 빠르게 생성하고 삭제할 수 있으며, 격리된 환경에서 안전하게 테스트할 수 있어요 !도커를 배우시면서 이런 다양한 활용 사례들을 접하시게 되면 더더욱 유용하게 느껴지실 거예요 ! 추가로 궁금하신 점 있으시면 또 질문 남겨주세요~~
- 0
- 2
- 33
질문&답변
내도메인.한국에서 CNAME name, value 입력 방법
안녕하세요 woo132님! 질문 잘해주셨어요 !질문해주신 내용에 대해 답변드려볼게요!우선 해당 에러 문구는 CNAME의 Name(별칭) 또는 Value(대상 도메인) 중 하나가 잘못된 형식으로 입력됐을 때 나오는 오류에요 !첨부해 주신 이미지를 보니 instagram-alb-1548086010.ap-northeast-2.elb.amazonaws.com의 값에서.이 마지막에 추가가 되지 않아서 문제가 발생한것 같네요 ! 마지막에 .을 추가로 넣었는데도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다면댓글 한 번만 다시 남겨주세요~~
- 0
- 2
- 27
질문&답변
CloudFront 생성 UI
안녕하세요 garden님! 질문 잘 해주셨어요~~문제가 해결된 질문이라고 뜨네요!혹시 아직 해결 안 되신 거라면 댓글 남겨주세요:D
- 0
- 2
- 23
질문&답변
도커 볼륨 삭제후 복구방법
안녕하세요 forceApi님! 강의 잘 들어주셔서 감사해요 ~~질문해주신 내용에 대해 답변드려볼게요! "만약, 실수로 볼륨을 삭제하게 된다면, 볼륨 파일을 다시 복구하는 방법이 있을까요??"-> 안타깝게도 Docker 볼륨은 데이터베이스의 rollback처럼 자체적인 복구 메커니즘이 없어요 ~한 번 docker volume rm이나 docker volume prune으로 삭제되면 기본적으로는 복구가 불가능해요 ! "명령어 실수 혹은 휴먼 에러로 불륨을 삭제하게 되었을시에 대응 방법도 궁금합니다."-> 위와 같은 이유로 실무에서는 미리 아래와 같은 방식들로 예방을 해요 ~[1] 정기적인 백업 자동화 - 크론잡이나 백업 스크립트로 주기적으로 볼륨 데이터를 미리 백업해둬요 ![2] 볼륨 백업 전용 도구 활용 - docker-volume-backup 같은 도구를 사용해서 자동 백업을 설정하거나, AWS의 경우 EBS 스냅샷, 클라우드 스토리지 백업 등을 활용해요 !추가로 실무에서는 데이터베이스 같은 중요한 서비스는 매니지드 서비스(AWS RDS, Google Cloud SQL 등)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요 ! 이런 서비스들은 자동 백업과 시점 복구 기능을 제공해서 이런 문제를 줄일 수 있기 때문이죠 :)즉, Docker 볼륨은 삭제 시 복구가 어려우니 백업 자동화로 미리 예방을 해요 !추가로 궁금하신 점 있으시면 또 질문 남겨주세요~~
- 0
- 2
-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