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멘토링

로드맵

Inflearn brand logo image

안녕하세요! 코더콜리🐶입니다!

코더콜리 님, 당신은 왜 코더콜리인가요?🐾

  • 저는 '미래에 보더콜리를 키워야지' 다짐하며 하루 왕복 4시간 출퇴근을 견디는 개발자입니다.

     

  • 강의를 만들어서 보더콜리를 집에 데려올 수 있을 때까지! 더욱 열심히 하겠습니다🚀

코더콜리 님, 어떻게 살아오셨나요?🤔

1) 2000년대 중반 ~ 2010년 초반: 프로그래밍💻이 재밌지만, 안 되겠어

  • 모 공대에 입학하여 처음으로 프로그래밍(C 언어)을 배웠습니다. 처음에는 낯설어서 헤맸지만, 직접 키보드를 두들겨가며 무엇인가를 만들어 보는 과정이 재밌더군요. 적성에도 맞았고 성적도 괜찮았습니다.

  • 다만 당시의 시대적 분위기는 지금처럼 개발자에 대한 대우가 좋은 시기가 아니었습니다. 컴공과는 언제나 지망 순위가 최하위였죠. 또한 학부 과정 중 컨설팅 펌에서 인턴을 한 적이 있는데, 개발자가 프로젝트를 주도적으로 리드하는 느낌이 아니더군요(순화해서 표현해봤습니다 하하).

  • 프로그래밍이 재밌었지만, 좋은 선택이 아니라며 스스로와 타협하고 대학원에 진학하기로 결정했습니다.

     

2) 2010년대 초반 ~ 2010년대 후반: 늦었지만, 지금이라도 돌아가야겠어🔄

  • 대학원 입학 직후부터 점차 Data, AI 를 중심으로 학문적인 패러다임이 조금씩 바뀌었다가, 알파고 이후에는 완전히 전환되었습니다.

  • 연구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새로운 패러다임에 적응하지 못한 지도교수와 지속적인 논쟁이 있었습니다(물론 교수가 틀리고 제가 맞습니다). 연구는 오랫동안 정체되어 갔고, 심신이 지친 저는, 잠시 학위과정을 중단하고 집에서 시간을 보내게 됩니다.

  • 집에서 쉬는 기간에 python 관련 개발 블로그를 만들고 운영하기 시작했습니다. 블로그 개설 1년 이후 시점부터는 매일 약 2,000명의 방문자가 들어오기도 했습니다. 블로그로부터 긍정적인 영향을 받고(블로그가 진짜 저를 구원함), 운좋게 졸업했습니다.

     

3) 2020년대 초반 ~: ChatGPT 패러다임 에서 어떤 결정을 내려야 할까?🤖

  • 국내 모 반도체회사에 입사해서 커리어를 이어나가고 있습니다. 등 따시고, 배가 부릅니다. 그런데 정신적으로는 충만하지 못해요. 제 자아가 불필요하게 비대해서 일까요?

  • 최종 Product가 Software가 아닌 곳에서 Software 개발자로 일하면서 다양한 흥미로운 상황을 경험하고 있습니다. 진흙속에서도 꽃이 피는 것 처럼, 여기서만 경험할 수 있는 많은 것들을 경험하고 있습니다.

  • ChatGPT 로 축약되는, 새로운(어쩌면 과거보다 더 큰) 패러다임에서 끊임없는 번뇌와 함께 살고 있습니다. ChatGPT 로 인해 개발자 대규모 해고가 예측되는데, 회사를 더 열심히 다녀야 하는 것인지, 머릿속으로 구상만 하던 아이디어들을 ChatGPT 로 인해 더 빠르게 구현할 수 있으니까 1인 기업으로 삶을 지속해 나가야하는것인지 라는 딜레마 속에 빠져 있습니다.

  • 아무튼 간에 열심히 하겠습니다.

     꾸준히 하는 것만큼은 진짜 자신이 있걸랑요🔥

email:

coder.collie.dev@gmail.com

講義

受講レビュ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