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튜브 채널 '런타임'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講義
受講レビュー
- Blender グリースペンシル ベーシッククラス
- Blender グリースペンシル ベーシッククラス
- Blender Geometry Nodes クラス Part 0
投稿
Q&A
오랜만에 한번더 질문하러 왔어용!!
네, 큐브가 지나가면 나머지 사각형 큐브들이 알아서 비켜주는 노드 구성을 좀 더 시각적으로 이해하기 쉽도록 큐브대신 스피어가 지나가면 grid에 instance on points 노드에 연결된 큐브들이 알아서 비켜주는 노드를 가장 기초적으로 구성해본 노드 트리 스크린 샷을 첨부해드립니다. instance 들 단위로 비켜주는 것이기 때문에 좀 더 간결한 구성을 위해 realize instance 노드를 사용하지 않고 vector scale 노드로 구성해보았습니다. 해당 스크린 샷은 디폴트 큐브에 지오메트리 노드를 적용한 후, gird mesh primitive를 추가하고, 따로 생성한 sphere object를 컨트롤러로 활용하는 구성입니다. outliner를 살펴보시면 사용된 오브젝트가 총 2개인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이 기본 구성을 토대로 멀어지는 정도 등 다양한 옵션을 커스터마이징하실 수 있으실거라 생각됩니다. (사진)
- 0
- 2
- 35
Q&A
인덱스 선택시 나오는 화면의 뷰가 강의와 다릅니다.
네, 뷰포트 오버레이탭에서 viewer node 메뉴의 Color Opacity 수치를 낮춰주시면 하얀색 정도가 투명해지면서 회색으로 보실 수 있습니다. (사진)
- 0
- 1
- 46
Q&A
도넛을 z축으로 위 아래 그라데이션 선택 하고 싶은데 방법이 있나요
네, 도넛의 노이즈 텍스쳐가 윗부분은 과하게 들어가고, 아랫부분은 덜 들어가도록 제어하려면 기본적으로 UV 좌표가 있어야합니다. 두개의 커브를 활용해서 curve to mesh 노드를 통해 도넛의 기본형을 만들 경우, 커브 각각(ex. Profile curve를 u로, sweep path curve를 v로)의 spline parameter node를 활용해서 uv 좌표를 지정해주는 방식으로 진행하게되면 color ramp노드를 활용해서 그라디언트 효과를 제어할 수 있습니다. 말씀드린 내용을 가장 기초적으로 구현한 노드 트리 이미지를 첨부해드립니다. 한번 살펴보시면서 이해가 안되는 부분 있으시면 한번 더 문의해주세요. (사진)
- 0
- 3
- 63
Q&A
지오메트리 노드 만든 것을 내보내고 블렌더에 커스텀 노드로 저장하는 법이 궁금합니다.
네, 블렌더 지오메트리 노드에서 미리 만들어놓은 노드 트리를 다른 블렌더 작업에서도 활용할 수 있도록 커스텀 노드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은 몇가지가 있습니다.먼저, 동일 파일에서 기존 작업했던 노드 트리를 활용하실 경우는 새롭게 지오메트리 노드가 적용될 오브젝트를 선택하신 후, 지오메트리 노드 에디터에서 New 버튼을 누르시면 Browse Node Tree to be linked 탭에 기존에 작업되었던 지오메트리 노드를 호출할 수 있는 드롭 다운 메뉴가 나타나게 됩니다.(사진)다른 블렌더에서 작업했던 지오메트리 노드 트리를 불러오려면, 재사용하기 원하시는 노드 트리들을 선택한 후 Ctrl+G를 눌러서 그룹으로 만들고 노드트리에서 N키를 눌러 노드에 이름을 지정해준후, 저장합니다. 그리고 새로운 블렌더 파일에서 append 를 통해 node 트리 폴더에서 재사용하기 원하는 노드를 선택한 후 append로 불러옵니다. 그리고 새로운 노드 트리 에디터에서 shift + a를 누른 후, Group 메뉴를 선택하게 되면 append된 노드 그룹이 선택할 수 있게 나타나게 됩니다.(사진)노드 그룹을 asset으로 등록한 후 asset library를 통해서 재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이 경우는 아웃라이너에서 display mode를 blender file로 선택하신 후, node groups 하위 메뉴에 나타나는 커스텀으로 활용하기 원하시는 노드를 선택하신 후 mark as asset으로 등록하시면 됩니다.(사진)
- 0
- 2
- 92
Q&A
본과 바퀴의 중심점 싱크에 대해
네, 제가 강의에서는 편의상 바퀴와 Bone의 오리진 중심축을 정확하게 일치시키면서 작업하지는 않았지만, 물론 가능합니다. 다양한 접근이 가능할 텐데요, 우선 3D 커서를 활용해서 bone의 오리진과 바퀴의 중심축을 일치시킬 수 있습니다. 중심점을 맞추기를 원하는 하나의 바퀴를 선택한 후, P키를 누르면 바퀴가 독립적인 오브젝트로 분리(seperate)가 됩니다. 분리된 오브젝트를 선택하고,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른 후, set origin > origin to Geometry 를 선택하면, 오브젝트의 정 가운데로 오리진 포인트가 이동합니다. 여전히 오브젝트가 선택된 상태에서 shift + s 키를 누른 후, cursor to selected를 선택하면, 3디 커서가 origin으로 이동합니다. 이렇게 3디 커서가 자전거 바퀴의 정가운데 origin으로 위치한 상태에서 shift + a 를 눌러 bone 오브젝트를 추가하면, 정확하게 바퀴의 중심점에 bone 오브젝트가 생성되게 됩니다. 이 외에도 snap 기능을 활용해서 좀 더 간결하게 오리진을 설정할 수 있기는 하지만, 첫번째로 설명드린 방식이 과정 상의 번거로움은 있어도 가장 단계별로 정확하게 origin을 정 가운데 배열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한번 진행해보시면서 추가적으로 궁금한 내용이 있으면 말씀해주세요.
- 0
- 1
- 44
Q&A
간단한 질문 한개만 더 드려요!!
네, 원하시는 모양은 mesh circle 보다는 curve circle을 이용하시는게 더 쉽게 구현이 가능합니다. curve의 tangent 정보를 활용할 수 있기 때문인데요. 원하시는 배열이 가능한 노드 트리를 첨부해드립니다. (사진)노드를 하다가 막혔을때는 개념적으로 막힌 부분(벡터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것인지, 특정 노드의 활용법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것인지 등)을 체크하고 유튜브나 구글 검색을 통해 단계적으로 해결책을 찾아나가고 있습니다.
- 0
- 2
- 48
Q&A
노드로 시포디 필드처럼....
네, 현재 블렌더는 시포디처럼 사용하기가 쉽지 않은 단점이 있는 상태이긴하죠. 하지만, 그만큼 표현의 폭을 넓힐 수 있는 장점이 있긴합니다. 문의해주신 부분에서 웨이트로 칠해지는 부분도 파라미터로 조절할 수 있는 간단한 노드 구성이미지를 첨부해드립니다. 이 기본 셋업을 바탕으로 조금씩 더 원하시는 제어를 담당하는 노드들을 추가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아래의 노드 트리는 Float Curve를 통해서 선택된(웨이트가 적용된) 영역의 올라가는 이미지를 제어할 수 있습니다. 물론, Factor 값과 Value 값에 Random 노드를 추가하시면 랜덤하게 올릴수도 있습니다.(사진)아래는 x축으로 선택되는 노드 그룹을 mute 시켜놓은 노드 트리입니다. 전체 구성이 크게 두 부분으로 나뉘어져 있어서 노드 구성을 보다 명확하게 보실 수 있도록 참고로 업로드해보았습니다.(사진)위 노드 구성에서 결국 controller의 거리에 따른 선택된 영역들의 값이 위로 올라가는 것이 포인트입니다. 따라서 컨트롤러의 거리에 따른 선택 영역의 제어가 핵심으로 보이고요, 컨트롤러의 거리값을 반환하는 것은 vector math를 활용한 distance를 구하는 것인데, 제가 첨부해드린 노드 트리는 그 거리를 구하는 가장 간단한 방법이라 생각되는 geometry proximity 노드를 사용하였습니다. 한번 단계별로 살펴보시면서 원하시는 효과 구현이 가능하신지 시도해주시면서 추가 설명이 필요한 부분있으면 한번 더 문의해주세요.
- 0
- 2
- 69
Q&A
그리기 완료한 라인 재선택 및 수정
네, 일러스트레이터나 애프터이펙트처럼 베지어 커브의 조절점을 활용해서 편집할 수 있는 기능을 아직은 제공하고 있지 않습니다. 드로우 모드에서 그린 커브 라인을 엔터키를 눌러 확정지은 후 추가 수정을 하려면 sculpt mode에서 Grab 브러시와 Smooth 브러시를 활용해서 진행하는 방법이 현재까지는 최선으로 보입니다. 블렌더 3. 초반 버전에서 일시적으로 조절점을 활용해서 편집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해주었었다가 무슨일인지 기능이 슬그머니 사라져버렸습니다. 말씀하신 커브 라인의 끝점 이동등은 Edit mode에서 Fall off mode를 활성화해서 진행하거나, Sculpt mode에서 브러시를 사용하시면 조금 번거롭긴하지만 가능하긴 합니다.
- 0
- 2
- 52
Q&A
alt 키 누르고 동시에 움직였더니 lock되는데요
먼저 운영체제가 '윈도우'이신지 여쭈어봅니다. 저는 맥에서 블렌더를 사용하고 있긴하지만, 제가 윈도우 OS에서 테스트해본 바로는, 마우스 휠(가운데버튼)만 누르면 View가 Rotate가 되고, Shift 키를 누른채, 마우스 휠을 누르면 이동(Pan)이 됩니다. zoom은 그냥 마우스 휠을 돌리면 됩니다. Ctrl + 마우스 휠을 눌러도 Zoom 이 됩니다. 먼저 제가 말씀드린대로 뷰포트 네비게이션이 되는지 한번 확인해보시고 알려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첨부해주신 에러메시지는 lock이 걸린 것이 아니라, 아무것도 지울 것이 없다라는 에러 메시지인 것 같습니다. 화면 오른쪽에 레이어 메뉴에서 자물쇠 모양이 잠긴 것으로 표시가 되지 않고 있는 것 같습니다. 제가 윈도우 OS에서 블렌더를 작동시켰을때, 기본적으로 preferences를 만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alt + 마우스 휠을 동시에 누르면 view가 orthographic 뷰로 변환이 되고, ctrl + 마우스 휠을 동시에 누르면 Zoom 이 됩니다. 만약 문제가 지속되시면 블렌더 4.4 버전으로 진행해보시는 것도 좋을것 같습니다. 한번 해보시고 그래도 문제가 있으면 다시 한번 말씀해주세요.
- 0
- 2
- 80
Q&A
지오메트리 노드를 듣고 응용중인데요..
네, 다양한 방식으로 접근이 가능하겠지만, 아래와 같은 추가 구성으로 기존의 싸인 곡선에 노이즈를 추가해볼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seperate XYZ 노드는 굳이 새롭게 추가하기보다 기존의 노드에서 연결하시는 것이 낫겠네요) (사진)
- 0
- 2
- 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