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멘토링

로드맵

보안 · 네트워크

/

보안

인프라 보안 점검 Ansible + Django 로 한번에 끝내기

이 강의는 인프라 보안 점검을 처음 시작하거나 수작업 점검에 많은 리소스를 소모하고 있는 실무자들을 위해 설계되었습니다. 전자금융감독규정 기반 점검 항목을 자동화하고, Ansible을 통해 수십~수백 대 서버를 일괄 점검하며, Django를 이용해 결과를 시각화하고 필터링 및 엑셀로 다운로드할 수 있도록 완전 자동화된 점검 시스템을 실습 중심으로 함께 구축해나가는 과정입니다.

(5.0) 수강평 1개

수강생 16명

  • taesun1114
실습 중심
토이프로젝트
인프라보안점검
인프라취약점점검
PythonDjangoAnsible

이런 걸 배울 수 있어요

  • IaC 도구를 이용하여 수백~수천대 서버 점검 자동화하기

  • 서버 점검 자동화 및 이행점검 효율화 방안

규정 대응부터 대시보드까지, 보안 점검 자동화 프로젝트

  • "전자금융감독 점검 자동화, 이렇게 하면 쉽습니다 (/w. Ansible, Django)"

  • "단순 노동에서 벗어나고 싶은 보안팀을 위한 서버 점검 자동화 실전 강의"

이런 분들께 추천해요

전자금융감독규정, 정보보호 인증 등 규제 대응이 필요한 실무자

IaC Tool 실습을 통해 실무 역량을 키우고 싶은 보안 엔지니어

복잡한 점검 작업을 시스템화하고 싶은 스타트업 및 중소기업 기술팀

수강 후에는

  • 전자금융감독규정 기반의 보안 점검 스크립트를 직접 작성할 수 있습니다.

  • 📦 Ansible을 활용해 수십 대 서버에 일괄 배포 및 점검 자동화가 가능합니다.

  • 🧠 점검 결과를 시각화하고 정리해주는 Django 기반 웹 대시보드를 직접 구축할 수 있습니다.

  • 📁 서버별 취약 항목을 엑셀로 추출하여 리포트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 반복적인 보안 점검 업무를 효율화하여 보안 실무의 자동화 체계 기반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

이런 내용을 배워요

섹션 (1) 자동화 점검 시스템의 필요성과 구조 설계

인프라 환경에서 취약점 점검을 수동으로 수행하는 데에는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됩니다. 이 섹션에서는 왜 자동화가 필요한지, 전자금융감독규정의 점검 요구사항은 무엇인지, 그리고 전체 시스템의 구성도 및 흐름을 어떻게 설계할 것인지 소개합니다. 보안 실무자나 인프라 관리자들이 실제로 활용할 수 있는 구조 설계를 목표로 합니다.

섹션 (2) IaC 을 활용한 대량 점검 자동화

다수의 서버를 효율적으로 진단하기 위해 Ansible을 통한 스크립트 배포 및 점검 결과 수집 자동화 방법을 실습 중심으로 설명합니다. SSH 키 기반 접속, 플레이북 작성, 결과 파일 관리 등의 기술을 익히며 현업에서 바로 활용할 수 있는 실전 자동화 기술을 배울 수 있습니다.

섹션 (3) Django 기반 시각화 시스템 구축

수집된 점검 결과(XML)를 쉽게 확인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Django 웹 프레임워크를 활용해 대시보드를 제작합니다. 결과를 리스트 형태로 시각화하고, 필터 기능과 엑셀 다운로드 기능까지 구현함으로써 보안 실무자가 데이터를 실질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웹 환경을 완성합니다.

궁금한 점이 있나요?

수강 전 예비 수강생이 궁금해할 수 있는 질문과 답변을 3개 이상 작성해보세요.
뻔하거나 형식적인 답변보다는 지식공유자의 개성이 드러나는 답변을 권장합니다.

Q1. 보안 지식이 없어도 이 강의를 들을 수 있나요?

A. 네, 가능합니다. 이 강의는 기초적인 리눅스 명령어와 서버 개념만 알고 있으면 따라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습니다. 보안 점검 스크립트도 하나씩 설명하면서 만들어가기 때문에 초보자도 무리 없이 실습할 수 있습니다.


Q2. Ansible이나 Django를 한 번도 안 써봤는데 괜찮을까요?

A. 괜찮습니다! 강의에서는 Ansible과 Django 설치부터 코드 작성, 실행까지 단계별로 설명합니다. 전혀 몰라도 실습만 따라오면 실제 점검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


Q3. 실제로 우리 회사 서버에 적용할 수 있을까요?

A. 가능합니다! 강의에서 다루는 자동화 시스템은 실무 환경에서도 적용할 수 있도록 범용적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보안 정책에 따라 일부 커스터마이징만 하면 회사 내부 시스템에도 바로 적용이 가능합니다.


Q4. 강의 수강 후에 어떤 실무에 활용할 수 있을까요?

A. 전자금융감독규정 대응은 물론, 내부 감사 대응, 보안 취약점 진단 리포트 작성, DevSecOps 자동화 기반 구축 등에 바로 활용할 수 있는 실무 능력을 키울 수 있습니다.

수강 전 참고 사항

실습 환경

  • Docker : Ubuntu 2~3 개 동시 수행 가능한 사양 필요

  • Docker 내에서 django, IaC 도구 등 사용하므로 고사양 필요 x

학습 자료

  • 강의자료에서 사용하는 PPT

  • 실습에 사용되는 모든 코드 제공 (web, shellscript, yml 등)

이런 분들께
추천드려요

학습 대상은
누구일까요?

  • 서버 보안 점검을 효율화하고자 하는 입문자

  • 인프라/서버를 운영하며 자동화된 점검이 필요한 실무자

  • 전자금융감독규정 등 규제 대응을 시스템화하고 싶은 담당자

선수 지식,
필요할까요?

  • shell script

  • docker

안녕하세요
입니다.

589

수강생

46

수강평

12

답변

4.5

강의 평점

6

강의

커리큘럼

전체

12개 ∙ (1시간 44분)

해당 강의에서 제공:

수업자료
강의 게시일: 
마지막 업데이트일: 

수강평

전체

1개

5.0

1개의 수강평

  • 정병주님의 프로필 이미지
    정병주

    수강평 132

    평균 평점 5.0

    5

    25% 수강 후 작성

    ₩42,900

    taesun1114님의 다른 강의

    지식공유자님의 다른 강의를 만나보세요!

    비슷한 강의

    같은 분야의 다른 강의를 만나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