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토비의 스프링 6 - 이해와 원리
토비
스프링 프레임워크가 만들어지는 과정을 살펴보면서 스프링을 잘 이해하고 사용하는데 도움이 되는 원리를 찾아봅니다. 이를 통해 개발자가 작성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코드는 어떻게 만들어져야 하는지도 살펴봅니다.
초급
Java, Spring
가상의 스타트업 개발팀이 단계적으로 클린 코드와 스프링 개발 원칙을 따라서 빠르고, 안정적이면서 유연하고, 유지보수하기 좋게 개발하는 과정을 실제 업무 진행과 유사한 방식으로 경험할 수 있도록 하는 강의 시리즈인 클린 스프링의 첫 번째 강의입니다. 도메인 모델 패턴과 헥사고날 아키텍처를 활용해서 도메인 중심의 초기 개발 단계에서 필요한 기술과 개발전략을 익힐 수 있습니다.
도메인 모델을 중심으로 하는 설계와 개발 전략
도메인 주도 설계(DDD)의 다양한 패턴과 실천법
헥사고날 아키텍처의 특징과 효과, 쉽고 간단하게 이를 적용하는 방법
다양한 테스트 기법과 아키텍처 테스트 도구의 사용법
AI를 활용해서 JPA 엔티티를 깔끔한 도메인 모델로 만드는 방법
최신 스프링 웹 예외처리 기법과 테스트 도구 사용법
애그리거트를 이용한 모듈 구성
학습 대상은
누구일까요?
웹과 DB를 사용하는 스프링 기술을 이용한 실무 개발이 어떻게 진행되는지 알고 싶은 분
클린 코드 원칙을 적용해서 유지보수성이 뛰어나고 생산성이 높은 시스템 개발을 원하시는 분
서비스 개발을 이끄는 중급 이상의 개발자로 성장하고 싶은 주니어 개발자
최신 아키텍처와 개발 기법을 익히고 많은 기대를 가지고 일을 시작하는 신입, 주니어 개발자들을 리드하고 싶은 시니어 개발자
선수 지식,
필요할까요?
자바 언어
스프링의 기본 원리의 이해
웹 API와 JPA를 사용하는 스프링 애플리케이션 개발 경험
12,900
명
수강생
637
개
수강평
305
개
답변
5.0
점
강의 평점
7
개
강의
호주에 살고 있는 소프트웨어 개발자입니다. 30년간 다양한 분야의 시스템과 서비스를 개발해본 경험이 있습니다.
스프링 프레임워크와 관련 기술을 좋아하고 JVM 기반 언어를 주로 사용합니다.
한국스프링사용자모임(KSUG)을 설립하고 활동했고, 토비의 스프링이라는 책을 쓰기도 했습니다.
개발과 관련된 다양한 주제에 관해 이야기하는 것을 좋아합니다.
전체
43개 ∙ (14시간 31분)
해당 강의에서 제공:
4. 개발 환경 구성 (1)
17:46
5. 개발 환경 구성 (2)
37:19
6. Splearn 프로젝트 생성
18:41
7. 프로젝트 초기 설정
15:22
8. 도메인 모델과 DDD
24:02
전체
66개
5.0
66개의 수강평
수강평 2
∙
평균 평점 5.0
5
처음 토비님과 개발을 함께 했을 때, 그 시간들을 동료 개발자 분들도 함께 경험해봤으면 했습니다. 그래서 <토비의 클린 스프링> 이라는 로드맵에 대한 아이디어를 드렸어요. 그 로드맵의 첫 강의가 시작되어서 설레네요! 본 강의로 비즈니스를 함께 고민하고, 개발에 적용하고, 배우고, 실무에 써보고.. 각자의 방식으로 재미있게 수강하셨으면 좋겠습니다. 저 또한 열심히 수강하며 아직 부족한 부분들을 차근차근 채워나가 보겠습니다. 함께하실 분~?🥰
이번 강의는 짧은 시간이었지만 Zin 님과 함께 개발하고 공부했던 기억을 떠올리면서 준비했습니다. 그때 만들었던 간단한 예제와 목적을 가진 아키텍처 구조와 도메인 로직을 다루는 방법, 테스트 코드를 잘 작성하고 리팩터링을 했던 것들이 강의로 다시 만들어졌습니다. 현장에서 함께 개발할 때도, 또 이후에 강의를 기획하고 준비하고 공개하는 모든 순간에 많은 도움이 되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바쁘시지만 강의를 다시 살펴보시고 이번엔 어떤 느낌이었는지도 꼭 남겨주세요. 기다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수강평 2
∙
평균 평점 5.0
수정됨
5
강의가 출시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주말에 봐야겠다 다짐하고 방금 완강했습니다. 대한민국 스프링 대장의 업무 스타일과 노하우를 간접 체험할 수 있는 소중한 시간이었습니다. 난이도가 초급으로 분류되어 있지만, 난이도를 떠나 다른 개발자의 업무 스타일과 사고방식은 아무데서나 쉽게 들을 수 있는 것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모델을 설계하며, 가져야하는 역할, 역할을 위해 필요로하는 상태 등 점진적으로 코드를 바꿔나가는 과정과, 간간히 인간미(오타, 누락)를 보여주시는데 테스트 코드로 식별해내는 정말 수도 없이 일상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부분들이 테스트 코드의 가치를 더 보여준다 느꼈습니다. Fixture, Mock(Stub) 등의 활용, 검증해야할 대상, 행위, 목적 식별 등 단위, 통합 등의 구분이라던지, 테스트에 대한 노하우가 많이 있습니다.! junit-platform.properties 대박 MockMvcTester 대박 특히 "헥사고날 아키텍처의 사실과 오해" 섹션이 인상깊었습니다. 뜨문뜨문 알고있었던지라 에릭 에반스와 알리스타 코번 등 창시자가 어떻게 설파했는지, 말했었던 본질적인 부분을 잘 짚어주셔서 어렵게 느껴지는 부분들을 잘 정리해주신 것 같습니다. 이 강의는 다음 분들께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설계를 주도해야 하는 시니어 개발자분들 헥사고날 아키텍처 프로젝트를 공부하고 경험했지만 깊은 이해가 부족하다고 느끼시는 분들 도메인 모델 패턴, 트랜잭션 스크립트 패턴, 헥사고날 아키텍처에 대해 제대로 배워보고 싶은분 스프링 대장은 어떻게 개발하는지 알고 싶은분 클린 스프링, 스프링과의 통합으로 많은 이득을 취한 구성 방식에 대해 배우게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스프링 없인 개발 안합니다. 스프링은 POJO 다!!!
언제나 상세한 수강평을 남겨주시는 재형 님이군요. 패턴과 원칙 뿐만 아니라, 지금 시점의 스프링의 최신 기술도 사이사이 알려드리려고 노력했는데 그걸 잘 캐치해주셔서 감사합니다. 계속 좋은 개발자로 성장하시기를 기대합니다. 감사합니다.
수강평 2
∙
평균 평점 5.0
5
혼돈과 무질서가 가득한 곳에서 토비님이 빛이 있으리라 했더니 빛이 나타나 질서를 바로 잡았다. 제가 많은 고민을 해오고 있던 도메인 모델 패턴과 헥사고날 아키텍쳐에 대한 정론을 보고 있는 기분입니다. 추천드립니다.
헉.. 제가 그런 대단한 능력을 가진 사람은 아닙니다. 다만 열심히 공부하고 확인했던 것들을 조금 혼란을 겪으시거나, 기술의 가치를 잘 얻지 못하시는 분들을 볼 때 안타까웠던 것들을 기억하면서 열심히 설명해보려고 노력했습니다. 그럼에도 저도 틀린 것도 있을 겁니다. 여러 분들이 의견을 주고 계시니 저도 더 배우고 준비해서 이어지는 강의에서 계속 전달해드릴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