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 24,200원
5개월 할부 시kyoun0208
2025-07-311650135안녕하세요 제가 빅데이터분석기사 보유한 수준? 인데 이 강의 바로 들어도 이해하고 실습을 적용할 수 있을까요?
yso829612
2025-07-261645711안녕하십니까, 데이비드최님 현재 프로젝트 주제로 영상이나 cctv에서 사람의 이상현상을 탐지해서 알려주는 시스템을 만들고자 하는데 해당 강의를 수강했을 때 구현이 가능한지 궁금합니다. 컴퓨터비전 분야를 공부해본 적이 없어 난이도가 어떨지, 어떻게 구현해야 할지 잘 모르겠습니다. 그리고 혹시 해당 부분에 도움 될만한 강의나 자료가 있다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데이비드최2025-07-26431384엔터프라이급 클라우드 개발환경에서 이상탐지하는 원리, 훈련을 위한 데이터셋, 모델훈련 그리고 최종적으로 이것을 서비스하는 과정을 담은 강의입니다. 사람의 이상행동 추적은 강의에서 다루는 모든 내용을 마스터하고, 특히 사람의 이상행동에 대한 개념을 어떻게 정의하고 훈련데이터셋을 만들 것인가를 별도로 연구해야 하는 부분으로 일반강의에서는 이와같은 특수한 주제를 다루기는 힘들 겁니다. 영상기반 이상탐지에 대한 기본 소양이 충분하고 이를 서빙하는 전반적인 방법론에 대해 어는 정도 이해가 있으시다면 다양한 논문을 통해 인간의 이상행동에 대한 학습이 더 바람직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만약, 영상기반 이상탐지가 처음이라면 이 강의를 수강하면서 인간의 이상탐지에 대한 꾸준한 이론적학습을 병행하는 것이 어떨까 생각합니다 좋은 목표를 세운만큼 반드시 정진하길 기원합니다.
리치리치뱅뱅
2025-06-121614556안녕하세요! 데이비드최님! 강의에 관심이 생겨 수강 전 문의를 남깁니다. 현재 여러제품의 이미지 데이터를 기반으로 정상/비정상을 분류하고 이상부분을 시각화하는 하나의 모델을 개발하는 과제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해당 강의에 도움이 될 만한 내용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데이비드최2025-06-12421765이미지의 정상, 비정상과 같은 이진분류는 컴퓨터비전 이상탐지의 핵심입니다. 특히 모델개발 후 이를 사용자에게 실제로 어떤 방식으로 서비스할지는 한 차원 더 높은 수준의 고려가 필요합니다. 제 강의가 이런 부분을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기에 충분히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고맙습니다. 건투를 빕니다.
차준녕
2025-06-021606900안녕하세요, 해당 강의 수강을 위해 Spark1 강의를 필수 수강해야할까요? 또 해당 강의 진행 방식이 실습을 해가며 어떤 결과물을 만들어내는 방식인지 궁금합니다.
데이비드최2025-06-03419747spark의 동작원리, spark의 기본명령 등을 알고 있다면 Spark1 강의는 안들으셔도 됩니다^^. 코드를 주어지고 설명하는 방식이 아닌 라이브로 코드를 작성하면서 실습과 강의가 동시에 이루어집니다. 실제 개발하는 과정을 그대로 시뮬레이션해 본다는 느낌으로 강의가 구성되었습니다. 과정은 Spark로 개발한 이상탐지 모델을 실제로 배포하여 사용하는 과정까지 담고 있는데요. 과정을 다 마치고 나면, spark 상에서 딥러닝 모델을 어떻게 개발하고 최종적으로 사용자에게 서비스 하기 위해 어떠과정을 거쳐야 하는지를 터득하게 됩니다. 수업에 관심을 가져주셔서 고맙습니다. 항상 건승하세요~
김태연
2025-05-191595367안녕하세요. 단순 모델링 뿐만 아니라 배포 파이프라인을 다루고 있어서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무제한 수강이 아니라 12개월 수강이라서 고민이 되고 있는데, 수강기한이 12개월인 이유가 있을까요?
데이비드최2025-05-19416409안녕하세요, 본 강의에 관심을 가져주셔서 고맙습니다. 수강 기간 12개월에 대하여는 향후 강의내용 버전업이 있을 경우 과거 강의 내용과 모순되는 점 등을 고려하였습니다. 인터넷 강의의 경우 꽤 많은 강의들이 오래되어, 최신 환경과 트렌드를 반영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오히려 수강생들로부터 불만사항이 접수되는 경우가 많아요. 그래서 해당 강의를 새로운 버전으로 업데이트가 필요하다고 판단될 경우, 더 이상 수강신청을 받지 않고 새로운 강의로 유도하도록 하기 위하여 12개월을 기본으로 정하였습니다. 감사합니다.
백형준
2025-03-301558074안녕하세요! 데이비드최님, 강의에 관심이 있어서 수강 전 문의를 남깁니다. 현재 HAR(Human Activity Recognition) 관련해서 관심이 있습니다. 현재는 스마트워치 센서 정형 데이터(자이로스콤, 엑셀레이터 등)를 통해서 인간 행동을 예측하는 분석을 진행했습니다. 하지만 멀티모델로써 컴퓨터 비전, 센서 데이터 등을 활용하여, 이상 분석에 관심이 생기게 되었습니다. 예를 들어,(이 분야를 이제 공부해서 잘 알지 못 하지만) 스마트워치 센서 데이터와 컴퓨터 비전을 결합하여 낙상 예방, 센서 데이터와 컴퓨터 비전을 통해서 파키슨병 발생 시기... 등을 고려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과정을 공부하려고 하는데, 제가 생각하는 강의 구성과 비슷한지 여쭤보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데이비드최2025-03-31407107백형준님, 제 강의에 관심을 가져주셔서 고맙습니다. HAR 과 컴퓨터 비전을 접목시키고자 하는 의도로 이해하구요. 그렇다면, 컴퓨터 비전 모델을 학습시키는 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데이터 수집 및 전처리과정에 대한 이해가 꼭 필요할 거예요. 모델로 훈련시키는 것 자체보다 오히려 domain specialty가 반영된 양질의 훈련데이터 준비가 사실상 가장 중요합니다. 특히, 고려하시는 IoT 센서를 통한 데이터 수집은 방대한 양의 데이터가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상황으로, HAR, 딥러닝 모델 개발보다도 더 까다로운 것이 이러한 데이터들을 어떻게 통합시키고 seamless ETL를 구현할 것인가가 더 중요해 보입니다. 뿐만 아니라, 이렇게 해서 개발된 모델을 최종적으로 소비자에게 어떠한 방식으로 serving을 할 것인가는 더 큰 난관이 될 것입니다. 그런 면에서 이 강의는 형준님에게 end-to-end의 개념을 잡는 것은 물론, 가벼운 모델이지만 데이터증강부터 cloud 환경에서의 데이터 수집 및 전처리, 모델 개발 및 배포, 서빙까지의 전 과정을 빠른 호흡으로 경험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합니다. 충분한 답변이 되길 기대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보내십시오.

^^ 이해하고 실습을 적용시키는 부분은 개인의 몫인데, 질문의 의도가 그것은 아닐 것이겠죠? 빅데이터분석기사의 수준이면 충분한 기초소양을 갖추고 있으세요. 좋은 실력을 갖추고 있으신만클 충분히 원하는 결과를 낼 수 있을 거예요. 화이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