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실리콘밸리 엔지니어가 가르치는 파이썬 기초부터 고급까지
미쿡엔지니어
실리콘밸리 소프트웨어 엔지니어에게 배우는 파이썬의 모든 것. 현재 15년차 소프트웨어 개발자로 웹 어플리케이션, 빅데이타 그리고 SRE & 데브옵스까지 파이썬으로 다 처리하고 있습니다. 파이썬의 기초부터 고급 기술까지, 실리콘 밸리 실무에서 파이썬을 사용하는 모든 스킬과 노하우를 배울 수 있는 기회를 절대 놓치지 마세요!
입문
Python, 알고리즘
"클라우드 인프라스트럭처 자동화(Infrastructure Automation)의 세계로 떠나보세요!" 인프라스트럭처 자동화 도구, 테라폼은 클라우드 환경에서 리소스를 프로비저닝(Provisioning)하고 관리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제 여러분도 클라우드 인프라스트럭처를 코드로 정의하고 자동화하여 신속하고 일관된 인프라 환경을 구성할 수 있습니다!
테라폼 (Terraform)
코드 기반 인프라스트럭처 관리 (Infrastructure as Code)
패커 (Packer)
테라그런트(Terragrunt)
데브옵스 + SRE의 핵심, 인프라 관리
테라폼으로 더 손쉽게 더 강력하게!
실리콘밸리에서 테라폼을 사용하는 이유를 직접 경험해볼 수 있습니다. 클라우드 인프라스트럭처 자동화(Infrastructure Automation)의 세계로 떠나보세요!
이 강의는 실습 중심으로 구성된 테라폼 강의로, 이론을 배우는 동시에 실제로 테라폼을 사용하는 경험을 할 수 있습니다. 강의에서는 테라폼의 기본 개념과 구성 요소부터 시작하여 고급 주제인 모듈화, 멀티 클라우드 관리, 인프라스트럭처 스케일링까지 다양한 내용을 다루고 있습니다.
다중 클라우드 지원
Terraform은 AWS, Azure, Google Cloud Platform 등과 같은 다양한 클라우드 제공업체를 지원합니다. 이를 통해 동일한 코드로 여러 클라우드 환경을 관리할 수 있으며, 벤더 락인(vendor lock-in)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선언적 언어
Terraform은 선언적 언어로 인프라스트럭처를 정의합니다. 개발자는 원하는 상태를 명시하기만 하면 되며, Terraform이 변경 사항을 자동으로 파악하고 적용합니다. 이는 인프라스트럭처를 관리하는 데 있어서 신뢰성과 일관성을 제공합니다.
인프라스트럭처 버전 관리
Terraform은 코드로 인프라스트럭처를 관리하므로, Git과 같은 버전 관리 시스템을 통해 인프라스트럭처 변경 사항을 추적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변경 이력을 관리하고, 문제가 발생했을 때 이전 상태로 롤백하는 등의 운영 프로세스를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습니다.
모듈화와 재사용성
Terraform은 모듈화를 지원하여 코드를 재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인프라스트럭처의 구성 요소를 모듈로 분리하여 사용하거나 공유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이를 통해 표준화된 구성 요소를 사용하여 인프라스트럭처를 빠르게 구축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자동화 및 확장성
Terraform은 명령줄 인터페이스(CLI)를 통해 자동화된 인프라스트럭처 프로비저닝을 지원합니다. 이를 통해 인프라스트럭처를 빠르게 구축하고 확장할 수 있으며, 스크립트화하여 반복적인 작업을 자동화할 수 있습니다.
💡 SRE, DevOps에 관심이 있으신 분들이라면, 인프라스트럭쳐를 어떻게 관리하는지 배울 수 있습니다.
💡 AWS에 만든 기존 리소스를 어떻게 코드화할지 막막하셨다면, 강의를 통해 해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 기존 인프라스트럭처를 UI를 통해 관리하는 방식에서 벗어나, 테라폼 코드로 보다 안전하고 유연하게 유지 관리할 수 있습니다.
현직 실리콘밸리 엔지니어의 노하우를 그대로 전해드립니다!
저는 유튜브 "미쿡 엔지니어" 및 브런치 "실리콘 밸리 소식과 삶"을 운영하는 현직 소프트웨어 엔지니어입니다. 지금은 미국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EECS를 졸업하고 미국 실리콘밸리 글로벌 빅테크 기업 본사에서 빅데이터 관련 업무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실제 업무에서 알게 된 노하우를 강의를 통해 많은 분들께 전해드리고 싶습니다. 🙂
Q. 왜 테라폼을 배워야 하나요?
테라폼은 인프라스트럭처 자동화, 일관성과 신뢰성, 다양한 클라우드 환경 지원을 위해 필요한 기술로써 DevOps가 되기 위한 중요한 기술 중 하나입니다.
Q. 테라폼을 배우면 어떤 일을 할 수 있나요?
테라폼을 배워 데브옵스 엔지니어가 되신다면, 소프트웨어 구축과 운영의 전반을 배울 수 있는 일을 하실 수 있습니다.
Q. 데브옵스 엔지니어는 어떤 일을 하나요?
데브옵스(DevOps)는 개발(Delivery)과 운영(Operations)의 합성어로, 소프트웨어 개발 및 인프라스트럭처 운영 과정에서의 협업과 자동화를 강조하는 문화와 방법론이며, 이는 개발팀과 운영팀 간의 경계를 허물고, 개발과 운영을 연결하여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소프트웨어 개발과 배포를 가능하게 합니다. 이에 데브옵스 엔지니어 지속적인 통합(CI, Continuous Integration), 지속적인 제공(CD, Continuous Delivery/Deployment), 인프라스트럭처 자동화, 모니터링 그리고 로깅등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 수강 전 확인해주세요.
학습 대상은
누구일까요?
데브옵스나 Site Reliability Engineer에 관심있는 분
소프트웨어 인프라스트럭처에 관심있는 분
대규모 테라폼 환경 설정
선수 지식,
필요할까요?
JSON
10,947
명
수강생
775
개
수강평
315
개
답변
4.8
점
강의 평점
25
개
강의
한국에서 끝낼 거야? 영어로 세계 시장을 뚫어라! 🌍🚀
안녕하세요. UC Berkeley에서 💻 컴퓨터 공학(EECS)을 전공하고, 실리콘 밸리에서 15년 이상을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로 일해왔으며, 현재는 실리콘밸리 빅테크 본사에서 빅데이터와 DevOps를 다루는 Staff Software Engineer로 있습니다.
🧭 실리콘 밸리의 혁신 현장에서 직접 배운 기술과 노하우를 온라인 강의를 통해 이제 여러분과 함께 나누고자 합니다.
🚀 기술 혁신의 최전선에서 배우고 성장해 온 저와 함께, 여러분도 글로벌 무대에서 경쟁할 수 있는 역량을 키워보세요!
🫡 똑똑하지는 않지만, 포기하지 않고 꾸준히 하면 뭐든지 이룰수 있다는 점을 꼭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항상 좋은 자료로 옆에서 도움을 드리겠습니다
전체
34개 ∙ (5시간 8분)
해당 강의에서 제공:
전체
31개
4.8
31개의 수강평
수강평 2
∙
평균 평점 5.0
5
사실 저는 영어가 섞인 강의라 좋았습니다. 친절히 한국어로 설명잘 해주십니다. 영어로 강의하시는것도 아니구요, 그냥 용어만 영어에요... 개인적인 의견이지만, IT 용어가 한국어로 번역되어 사용될 때 가끔 어색한 감이 있기도 하고, 어차피 IT 계열은 영어를 계속 해야하니까요. aws 완강 후 terraform강의도 수강하게 되었는데 좋은 결정이었다고 생각합니다. 맥락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많이 되었어요!! 이제 간단한 프로젝트 몇 가지를 구현해보려고 합니다. 초석을 마련하기에 좋은 강의였어요 !!!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SuYoung Kwon님, 좋은 리뷰 감사합니다. 경험을 해 보셔서 아시겠지만, 이 직군은 영어 단어가 필수이기 때문에 항상 영어로 공부하시는 습관을 가지시면, 추후에 많은 도움이 되실 것 같습니다. 기본적으로 대부분의 기술이 영어권에서 만들어지고 이름이 지어졌기 때문에 한국으로 들어오면 한자로 바뀌고 그걸 저희가 한글로 읽게 되는데, 그러면 뜻을 알기가 힘듭니다. 의외로 영어로 공부하시다보면, 왜 그렇게 이름을 지었는지 금방 아시고 되고 오래 기억 되실 겁니다. 나중에 해외 취업 인터뷰에서도 도움이 되실 거구요. 다시 한번 좋은 리뷰 감사드립니다!
수강평 14
∙
평균 평점 5.0
수강평 4
∙
평균 평점 5.0
₩44,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