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초기 클러스터 생성시 나타나는 오류
해결된 질문
작성
·
30
0

초기 클러스터 생성시 CoreDNS 와 kube-proxy 추가가 안되는데
생성할때 제가 놓친부분이 있나하여 문의드립니다.
쿠버네티스 버전은 현재 1.34인데 강의와 같이 1.32로 낮춰서 생성했는데
어디서 잘못된건가 싶습니다.
POD에서 Service로 통신 확인하는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하여
gpt에 물어보니 해당 기능이 생성되지 않아서 나타나는 문제라고 하는데~
현재는 노드그룹과 클러스터는 삭제해놓고 다시 생성하려고 하는데
어떤것을 확인하면서 생성하면 좋을까요?
답변 2
0
안녕하세요~!
아마도 VPC나 서브넷 관련한 원인일 가능성이 커보입니다.
혹시, default vpc 또는 default 서브넷을 삭제했다가 다시 만들었다거나, eks생성시 vpc, 서브넷의 default값이 잘 선택됐는지 확인한번 부탁드립니다.
인녕하세요. 일단, 수업 내용외적으로 추가적으로 설정해야하는것은 없습니다.
어떤 부분을 놓치셨는지는 제가ㅜ 알길이 없다보니, 수업자료와 내용을 다시한번 확인해보셔야 할것 같습니다.

선생님 안녕하세요.
저는 현재 상태에서 deployment로 파드 두개를 띄어놓았습니다.
파드 디플로이먼트는 다음과 같습니다.

nginx-controller apply를 했고 elb를 도메인 주소에 연결했습니다.
route53에서 elb 매핑을 끝낸다음에
ingress-nginx.yml 파일 실행했는데

정상적으로 파드로의 접근이 불가합니다.
namespace도 정확하게 입력했고
호스트 rule도 정확하게 입력했는데 왜 분기해서 접근 테스트가 불가한지 잘 모르겠습니다.
그냥 svc까지 못가서 404페이지만 뜨고 path 경로에서는 welcome to nginx 페이지를 못보고 있었는데
path경로에서 "/"를 쓰지 않아야 하는데~써서 문제인거 같습니다.
예를 들어 /woonglab1 까지 썼을때와 /woonglab1/ 까지 썼을때
첫번째의 경우에만 선생님께서 설명해주신 의도대로 접근이 됩니다.
차이점이 무엇인지 궁금한데 다시 gpt에 물어보니
띄어쓰기 문제라고 해서 주석부분을 아래로 내려버리고
공백을 없애고 다시 / 붙이니 정상적으로 작동되는것 같습니다.
이 부분 제가 잘 이해한건지 설명해주실수 있나요?
이것과도 관계가 있는지 모르겠는데 현재 헬스체크 맵핑에서 보았을때는 비정상 헬스체크가 나타납니다.

안녕하세요~!
일단, /abc/와 /abc의 차이는
1./abc/의 경우 뒤에 추가적인 url까지 모두 포괄합니다. 예를 들어 /abc/bcd
2./abc의 경우에는 /abc까지만을 포괄합니다.
테스트 할때 url을 어떤식으로 요청을 보내고 있는지, healthcheck의 url이 어떻게 설계 돼 있는지에 따라서 현재 나타는 에러의 원인을 정확하게 파악할수 있을것 같습니다.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jerome287님.
Amazon EKS 클러스터 생성 시 CoreDNS와 kube-proxy의 버전 호환성 문제로 인한 오류를 겪고 계신 것 같습니다. 이 문제는 EKS 클러스터와 추가 기능(add-on) 간의 버전 불일치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몇 가지 체크 사항입니다:
쿠버네티스 버전 확인: EKS 클러스터의 쿠버네티스 버전이 사용하는 CoreDNS 및 kube-proxy의 버전과 호환되는지 확인하세요. AWS EKS 공식 문서에서 각 버전에 맞는 추가 기능 버전을 제공하니 참고하여 설치하세요.
EKS Add-ons 버전 설정 방법: EKS에서 제공하는 관리형 add-on 기능을 사용하여 버전 호환성 문제를 줄일 수 있습니다. 클러스터 생성 및 add-on 설치 시 관리형 add-on 사용을 고려해보세요. 이는 AWS 콘솔을 통해 쉽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업데이트 및 기타 설정: 필요한 경우, EKS 클러스터에 대한 업데이트를 진행하여 최신 기능 및 버전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설정합니다. AWS 관리 콘솔에서 클러스터 버전을 업데이트하거나 관리형 add-on의 최신 버전을 설치할 수 있습니다.
AWS 문서 & 대조 확인: AWS 공식 문서를 통해 CoreDNS 및 kube-proxy 등 각 add-on에 대한 필수 사양 및 버전 정보를 검토하시고, 현재 설정이 정확히 일치하는지 대조해보세요.
실패 로그 검토: 클러스터 및 노드 그룹 생성 실패 시 로그를 확인하여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시기 바랍니다. 이를 통해 설정의 어떤 부분에서 문제가 발생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위의 사항들을 바탕으로 클러스터를 재설정하시기를 권장드립니다. 또한 기존 생성한 클러스터와 노드 그룹을 삭제하고, 위의 안내에 따라 재생성을 시도해보시면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기술적으로 더 필요한 사항이 있으시거나 추가적인 질문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이어서 질의 주세요.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버전을 높이고 다시 해보니 잘 실행되었습니다.
그런데 다른 부분에서 막히는데
ingress-nginx 설정에서 pod도 정상적으로 띄어놓고
lb에 ingress-controller도 다 만들어졌는데
controller까지만 접근이 되고 pod로는 접근이 안됩니다.
path설정에 문제가 있는것인지 제가 놓친부분이 있는지 문의드립니다.
gpt에도 물어보니 정규표현식 이야기를 하는데 그것이 반드시 필요한건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