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멘토링

커뮤니티

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design_team님의 프로필 이미지
design_team

작성한 질문수

[UI3 업데이트] 피그마 배리어블을 활용한 디자인 시스템 구축하기

텍스트 필드(Text Field) ✅

베리어블에 콜렉션을 추가했음에도 피그마 우측에 스타일이 있는 이유

작성

·

21

0

스크린샷 2025-11-17 오후 12.44.41.png

 

안녕하세요. 강사님의 강의 보면서 스타일도 추가하고 스타일에 추가한 것들을 베리어블에 옮기는 작업을 하고 있습니다.

 

궁금한 점은.. 스타일에 굳이 추가하지 않고 바로 베리어블에 콜렉션을 추가해서 신규 베리어블을 추가하는 방법을 쓰는 방법도 있을 것 같거든요.

그런데 머티리얼 디자인이나 애플 디자인 시스템 피그마 파일을 열어보면 베리어블에 콜렉션이 있고, 오른쪽 스타일 패널에서도 스타일을 추가한 것을 볼 수가 있어요.. 어차피 베리어블 한가지만 쓸텐데 왜 스타일도 추가가 되어있는지 궁금합니다

답변 2

0

볼드 UX님의 프로필 이미지
볼드 UX
지식공유자

안녕하세요, design_team님.

질문 주셔서 감사합니다.

 

타이포그래피 파트에서 자세히 설명드리겠지만, 질문 주신 내용은 강의 초반에 소개되는 베리어블(Variable)스타일(Style)의 근본적인 차이에서 비롯됩니다.

특히 다음 두 가지 차이가 핵심입니다:

  • 복합 토큰 여부

  • 모드 적용 여부

 

 

복합 토큰(Composite Token) 여부

  • 베리어블은 한 번에 하나의 값만 가질 수 있습니다.

     

  • 반면 피그마 스타일은 여러 속성을 묶은 ‘복합적인 값’을 가질 수 있습니다.

     

     

    즉, 베리어블은 기능적으로 나누어져 있고(예: size, weight 등),

    아무리 그룹으로 묶어도 각각 개별 토큰입니다.

    하지만 스타일은 이 여러 토큰을 하나로 묶은 형태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H1의 경우는 하나의 스타일 안에 여러개의 배리어블이 담겨 있을 수 있습니다.

     

스타일: H1

  • 배리어블: h1-font-size

  • 배리어블: h1-font-weight

  • 배리어블: h1-line-height

     

     

사실개발 관점에서는 이렇게 쪼개질 필요가 없지만, 디자인(피그마 툴)에서는 스타일이 먼저 생기고 베리어블 기능이 나중에 추가되다 보니 이 두 방식을 모두 유지하면서 자연스럽게 구조가 이렇게 형성된 것 같습니다.

 

모드(Mode) 적용 여부

  • 베리어블은 모드를 변경할 수 있지만,

  • 스타일은 모드를 직접 변경할 수 없습니다.

     

그래서 스타일에 바로 모드를 입히는 대신, 시맨틱 베리어블 컬렉션을 따로 만든 후 그 값을 스타일에 적용하는 방식을 사용하게 됩니다.

만약 Desktop모드에서 Mobile모드로 변경하면, 스타일 H1이 마치 변경 되는 것 같지만, 실제로는 배리어블이 변경이 됩니다.

스타일: H1

  • 배리어블: h1-font-size(Desktop -> Mobile)

  • 배리어블: h1-font-weight(Desktop -> Mobile)

  • 배리어블: h1-line-height(Desktop -> Mobile)

 

저의 설명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더 궁금하신 부분 있으면, 질문 주세요.

감사합니다. 볼드 드림.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design_team님께서 궁금해하시는 부분에 대해 설명해드리겠습니다.

질문의 핵심:

  • 왜 디자인 시스템에서 변수(베리어블)를 사용하면서도 스타일이 추가되어 있는지에 대한 궁금증

스타일과 베리어블의 차이 및 사용 이유:

  1. 다양한 기능 활용:

    • 스타일(Local Styles): 피그마는 스타일을 통해 색상, 텍스트, 효과를 쉽게 재사용하고, 변경 사항을 일괄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 베리어블(Variables): 베리어블은 더욱 유연한 토큰 관리와 상태 기반 디자인을 가능하게 합니다.
  2. 베리어블과 스타일의 상호보완성:

    • 베리어블은 디자인 시스템의 hierarchy(계층 구조)와 상태 관리를 쉽게 만들어 주는 반면, 스타일은 아직도 많은 디자인 요소의 기초로 사용됩니다. 이는 예를 들어, 협업 시 디자이너와 개발자의 공통 언어로서 또는 특정한 디자인 속성을 빠르게 참조할 때 중요합니다.
  3. 백워드 호환성과 지원:

    • 기존의 시스템이나 의존성 문제로 인해 스타일을 유지하면서도, 최신 기능인 베리어블을 함께 사용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습니다. 이는 디자인 시스템을 점진적으로 현대화하거나 호환성을 유지하려는 의도로 볼 수 있습니다.

관련 정보 및 읽을거리:

  • Local Styles and Variables in Figma: 이 게시물은 어떻게 스타일과 베리어블이 피그마에서 상호작용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두 가지 모두를 사용하는 이유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Understanding Tokens and Styles: 이 질문에서는 토큰과 스타일의 차이를 맥락적으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디자인 시스템은 종종 복잡하고 여러 요소들이 상호작용하므로, 상황에 따라 스타일과 베리어블을 함께 사용하는 것이 더 적합할 수 있습니다. 피그마에서는 이를 통해 모든 디자이너가 협력할 때 일관성을 유지하며 유연하게 디자인할 수 있습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design_team님의 프로필 이미지
design_team

작성한 질문수

질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