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멘토링

커뮤니티

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alice님의 프로필 이미지
alice

작성한 질문수

쉽게 시작하는 쿠버네티스(v1.30) - {{ x86-64, arm64 }}

2.4.베이그런트(Vagrant)+버추얼박스(VirtualBox)로 쿠버네티스 환경 구축하기 (모두, arm64 사용자)-v1.30

쿠버네티스 환경 구축 질문입니다.

작성

·

39

0

질문 답변을 제공하지만, 강의 비용에는 Q&A는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다만 실습이 안되거나, 잘못된 내용의 경우는 알려주시면 가능한 빠르게 조치하겠습니다!

[질문 전 답변]
1. 강의에서 다룬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 | 아니요]
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 | 아니요]
3. 질문 잘하기 법을 읽어보셨나요? [예 | 아니요]
(https://inf.run/DvsRD)
4.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5. vagrant up 에서 발생하는 문제는 주로 호스트 시스템(Windows, MacOS)과 연관된 다양한 조건에 의해 발생합니다. 따라서 이를 모두 제가 파악할 수 없어서 해결이 어렵습니다. vagrant up으로 진행이 어렵다면 제공해 드리는 가상 머신(VM) 이미지를 import해서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https://inf.run/Ljaer)

[질문 하기]

 

맥북 m3 에서

 

2.4.베이그런트(Vagrant)+버추얼박스(VirtualBox)로 쿠버네티스 환경 구축하기 (모두, arm64 사용자)-v1.30

 

강의 따라하고 있습니다.

cmd 명령어 모두 실행하고 tabby로 cp에 접속했는데

k get no  

를 실행했을때 버전이 v1.30.0 라고 나오는데 잘못 설치한걸까요?

강사님 화면에선 v1.30.1 이라고 나와서요..

스크린샷 2025-11-05 오후 3.11.38.png.webp

그리고 ps -ef | grep sleep 쳤을때 나오는 것도 강의와 좀 다릅니다.

 

 

답변 2

0

조훈(Hoon Jo)님의 프로필 이미지
조훈(Hoon Jo)
지식공유자

안녕하세요

아마 ch1의 내용으로 진행하신게 아닌가 싶습니다.

ch1은 (https://github.com/sysnet4admin/_Lecture_k8s_learning.kit/tree/main/ch1/1.5)

시작 쿠버의 내용을 이어받아 진행하는거라 v1.30.0이거든요.

ch2에서 진행하시면 v1.30.1이 나와야 하는데 다시 해보면 v1.30.1로 나올 것 입니다.

다시 해보고 말씀 부탁드려요.

ch2: https://github.com/sysnet4admin/_Lecture_k8s_learning.kit/tree/main/ch2/2.4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Alice님, 쿠버네티스 환경을 구축하면서 발생한 버전 불일치 문제와 명령어 출력값의 차이에 대해 고민하고 계시는군요. 이러한 차이는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아래에 몇 가지 확인 사항과 해결 방안을 제시하겠습니다.

버전 불일치 원인 및 해결 방법

  1. 설치된 버전 확인:

    • 커맨드 라인에서 kubectl version --short를 사용하여 클라이언트와 서버 양쪽의 버전을 확인해 보세요. 이는 클러스터에는 다른 버전이 설치되어 있고, 클라이언트 버전만 업데이트되지 않았을 가능성을 확인하는 데 유용합니다.
  2. 설치 파일 검토:

    • 설치 과정 중 사용하신 구성 파일(Vagrantfile, VM 설정 등)이 최신 상태인지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종종 최신 파일을 따르지 않을 경우 버전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리포지토리에서 clone한 소스가 최신 버전이 아닐 경우, git pull 등을 통해 업데이트할 수 있습니다.
  3. 버전 호환성 문제:

    • 쿠버네티스 버전 간의 호환성이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정 버전만 설치하도록 설정된 경우, 설정 파일 Vagrantfile이나 *.yaml 파일 내에서 버전이 올바른지 확인하십시오.
  4. 문서와의 차이:

    • 강의 중간에 언급되는 버전 번호가 실제 서버에 설치된 버전과 다를 수 있습니다. 이는 강의 촬영 이후 환경 설정이 업데이트되었거나 강의 콘텐츠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5. 프로세스 출력:

    • ps -ef | grep sleep 명령어의 결과가 강의와 다르다면, 이는 시스템 프로세스의 차이일 수 있습니다. 프로세스 리스트는 각 시스템의 상태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 중요한 것은 클러스터가 정상 작동하고 있는지 확인하는 것입니다. Pod 상태 및 노드 상태가 모두 정상인지 여부를 우선적으로 확인하세요.

위와 같은 점을 점검한 후, 설정을 조정해 보시길 권장드립니다. 비슷한 사례가 드물곤 하지만, 꾸준한 설정 점검과 문서 업데이트를 통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입니다.

관련 문제나 해결 과정에 대한 더 자세한 가이드를 알고 싶으시면, 아래 링크를 참고하시기를 권장드립니다: kubectl 설치 및 설정 관련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alice님의 프로필 이미지
alice

작성한 질문수

질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