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
·
16
0
127, 128 섹션 관련 문의드립니다.
2개의 오더 마이크로서비스 각각에 연결된 데이터베이스로 인한 동기화 문제를 위해 카프카 커넥터를 활용하여 하나의 단일 디비로 문제를 처리한다고 하셨는데,
결국 2개의 오더 마이크로서비스에 카프카 커넥터를 사용하지 않고 동일한 디비 1개를 직접 연결해서 사용하면 동기화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건 마찬가지아닌가요?
동일한 오더 마이크로서비스를 스케일아웃 하는 상황에서 카프카 커넥터를 사용하는게 목적에 맞는지 의아해서 질문드립니다.
답변 1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민수킴님.
Kafka Connector를 사용하는 이유는 기본적으로 시스템의 확장성과 데이터 처리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함입니다. 질문 주신 내용처럼 동일한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는 경우, 직접 데이터베이스에 연결하는 것이 간단해 보일 수 있지만, Kafka를 사용하면 얻을 수 있는 몇 가지 이점이 있습니다.
확장성과 성능: 같은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는 마이크로서비스들이 많아지면, 동일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요청이 급증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Kafka를 사용하면 데이터를 비동기적으로 처리할 수 있어 부하를 분산하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독립성과 유연성: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에서는 각 서비스가 독립적으로 운영될 수 있는 것이 중요합니다. Kafka를 사용하면 서비스에 직접 연결되지 않고 메시지를 통해 간접적으로 통신할 수 있어 독립성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 유실 방지와 메시지 로그: Kafka는 데이터를 메시지 로그 형태로 보관할 수 있어 데이터 유실 방지 기능을 지원합니다. 이는 데이터 복구에 유리합니다.
비동기 커뮤니케이션: 마이크로서비스 간의 통신에서 비동기 프로세스를 지원하여 서비스의 응답성을 높이고 전체 시스템의 성능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두 개의 오더 마이크로서비스를 스케일아웃하는 상황에서, Kafka를 통해 메시지 기반으로 데이터 통신을 처리하는 방식은 여러 서비스 인스턴스가 동일한 메시지 큐를 참조하여 데이터를 교환하는 데 유리합니다. 이는 데이터 동기화 및 처리에 있어 더 유연성과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잠재적으로 높은 부하와 트랜잭션 경합을 더 잘 관리할 수 있습니다.
이와 관련된 다른 논의들도 한 번 확인해보시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다음은 유사 질문에 대한 링크입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