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시각화 작업 시, 좌표계 설정
해결된 질문
작성
·
20
·
수정됨
1
안녕하세요!
작업을 수행할 때, 좌표계 관련 사항에 대하여 질문드립니다.
투영좌표계나, 지리좌표계가 꼭 쓰여야하는 작업(좌표료 포인트 만들기, 열지도 만들기 등)이 있나요?
열지도 만드는 강의를 수강하는 중인데, bus레이어를 기존 원본 말고, 5186버전으로 사용하신 것을 보고 투영좌표계를 사용해야하는 작업인가? 투영좌표계만을 사용해야하는 작업이 따로 존재하나? 라는 궁금증이 생겨 질문 남깁니다.
추가로 히트맵 작업 시, 반경을 설정하는데 이 반경이 무엇을 의미하는 건지 조금 이해가 안되어 상세히 설명해주실 수 있을지 여쭤봅니다.(반경의 기준..? 반경 내에 존재한다는 것의 기준..?)
답변 3
1
1
elf1233 님 안녕하세요 UPWISE 입니다.
활발한 질문 감사드립니다!!
우선, 지리좌표계와 투영좌표계의 가장 큰 차이점은 바로 '단위'의 차이입니다.
EPSG:4326 은 도(˚) 단위를 쓰며 방향에 따라 각각 위도/경도 라고 이름지어져 있습니다.
도 단위를 사용할 경우, 특정 지점 사이의 거리나 면적을 계산할 수 없으며, 이러한 분석이 필요하다면 길이 (대표적으로 미터) 단위를 갖는 투영좌표계를 사용해야 합니다 (대표적으로 버퍼, 네트워크 분석의 서비스 거리/영역 계산 등)
그리고, 열지도에서의 범위는 시각화에 사용되는 각 점이 영향을 미치는 범위 라고 할 수 있습니다.
만약 버스정류소 데이터로 반경 100m 를 파라미터로 한 열지도를 만든다면, 개별 포인트에서 가상의 100m 반경 영역을 설정하고, 영역의 끝에 가까워질수록 각 점이 갖는 영향력이 0에 가까워집니다.
이렇게 모든 점에 대해서 반경 만큼의 영향력 범위가 만들어지고, 이들을 각 그리드 단위로 더해 최종 열지도 결과물이 생성됩니다.
따라서, 반경값이 크면 더 부드럽게 연결되고 넓은 범위에 대한 추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반면, 반경을 작게 하면 세부적인 영역에 대한 결과 확인이 가능합니다.
질문에 충분한 답변이 되었길 바라며, 추후 다른 궁금증이나 문제가 있는 경우 편히 질문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UPWISE 답변-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elf1233님께서 질문하신 내용은 QGIS와 같은 GIS 소프트웨어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인 좌표계 설정에 대한 것입니다.
좌표계의 종류와 선택
지리좌표계(GCS): 표면의 위치를 위도와 경도로 나타내며, EPSG 4326인 WGS 84가 대표적입니다. 주로 글로벌 분석 및 데이터 수집에 사용됩니다.
투영좌표계(PCS): 지구의 곡면을 평면상에 표현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특정 지역의 분석에 적합하며, 거리나 면적을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어 데이터 시각화 작업에서 유리합니다.
시각화 작업에서 좌표계 선택
좌표로 포인트 만들기: 투영좌표계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이유는 거리, 길이 등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서입니다. 예를 들어, 서울 중심의 작업일 경우 EPSG 5186과 같은 투영좌표계를 사용하는 것이 추천됩니다.
열지도 만들기: 열지도는 특정 위치의 데이터 밀도를 시각화하는데, 투영좌표계를 사용하면 거리와 영역 단위를 적절히 처리할 수 있습니다. QGIS에서 다양한 투영좌표계가 있지만, 지역에 따라 적합한 것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같은 강의 중에 특정 투영좌표계를 사용했다면, 이는 해당 좌표계가 작업 목적에 적합하기 때문일 것입니다. 예를 들어, Korean Peninsula에 맞는 좌표계를 선택함으로써 시각화의 정확성과 해석력을 높일 수 있습니다.
관련 정보 확인
- SHP 파일 지정된 좌표계 설정 관련 문의드립니다.에서는 QGIS에서의 좌표계 선택과 설정 방식에 대해 다루고 있어 도움이 될 것입니다.
좌표계는 공간 분석 작업의 기초로, 다양한 프로젝트 특성에 맞게 선택하여 활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