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멘토링

커뮤니티

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김준형님의 프로필 이미지
김준형

작성한 질문수

이해하면 인생이 바뀌는 Windows API hook

CreateRemoteThread() 기반 DLL injection

unInjection 관련 질문 입니다.

해결된 질문

작성

·

17

0

안녕하세요 injection과 hooking 공부 중 궁금한게 생겨서 질문드립니다.

dll을 Injection하고 API hooking한 A라는 함수가 오래걸리는 작업인데(약 10초라 가정) 그 A함수에 진입하였고 그과정에 dll을 unInjection하면 할당한 메모리가 날라가 다음 A함수에 step을 진행하면 프로세스에 영향이가 문제가 있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혹시 프로세스에 영향 없이 안전하게 unInjection하는 팁이 있을까요?

답변 2

0

널널한 개발자님의 프로필 이미지
널널한 개발자
지식공유자

수업에서 제가 알려드린 방법을 사용했다면 그런 문제가 없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프로세스에 영향이 가 문제가 있다 견해의 근거가 무엇일까요? 수업에서 제시된 예제를 문제가 될 수 있는 부분에 적용해보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실제 문제가 발생한다면 그 때 다시 질문을 이어가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김준형님.

질문 주신 dll unInjection 시 프로세스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dll을 unInjection(혹은 ejection) 하는 동안 해당 dll이 여전히 사용 중이라면, 메모리 접근 오류가 발생하여 프로그램이 비정상 종료될 수 있습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몇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1. 작업 완료 후 unInjection:

    • 가장 간단한 방법은 dll의 모든 작업이 완료될 때까지 unInjection을 연기하는 것입니다. 이는 함수 호출이 완료된 후 수행하세요.
  2. Reference Counting:

    • Reference counting 기법을 사용하여 dll 내에서 각 함수의 진입/종료 시점에 참조를 증가/감소합니다. dll을 해제할 때 참조 카운트가 0인지 확인하고, 안전하게 메모리를 해제하세요.
  3. Mutex/Lock 사용:

    • mutex 또는 critical section을 사용하여, dll이 여전히 사용 중일 때 unInjection을 방지합니다. 함수가 완료된 후에만 dll이 해제되도록 보장합니다.
  4. Graceful Shutdown 구현:

    • dll을 안전하게 해제하기 위한 샷다운 루틴을 구현하세요. 이는 모든 작업의 중지, 자원 해제 및 필요한 클린업을 포함할 수 있습니다.

관련 질문을 통해 추가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김준형님의 프로필 이미지
김준형

작성한 질문수

질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