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
·
20
1
9:33초에 unsigned int로 저장한 경우를 예로 드셨는데 왜 0000...이면 -127이고 111111...이면 128인가요? unsigned면 000...일 경우 0 아닌가요?
답변 2
0
안녕하세요? 질문&답변 도우미 durams입니다.
부동 소수점의 지수(exponent) 부분을 나타내기 위한 표기법으로 두 가지를 생각할 수 있는데요, 첫 번째는 signed integer로 나타내는 것이고, 두 번째는 unsigned integer와 bias를 결합한 형태입니다.
현재 거의 모든 곳에서 사용하는 부동 소수점 표준인 IEEE754에서는 두 번째 방식을 사용합니다. 간단히 말씀드리자면 나타내고자 하는 지수값에서 127
이라는 bias 값(single precision인 경우)을 뺀 값을 unsigned integer 형태로 나타내는 것입니다.
[-127, 128]
라는 구간을 [0, 255]
으로 바꿔서 표현한다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다만 강의에서도 언급되듯이, exponent의 모든 비트가 0이거나 모든 비트가 1인 경우는 특수한 경우이기 때문에 사실 single precision에서 지수가 -127
이거나 +128
인 경우는 없습니다. 관심이 있으시다면 Normalized values, Denormalized values, Special values 같은 단어로 검색해보시길 바랍니다.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김도영님.
부동소수점에서 질문하신 부분은 인코딩 방식과 데이터 저장에 대한 개념적인 혼동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부호 없는 정수(unsigned int)를 사용할 때, 이진수의 표현에서 000...
은 0을 나타내고, 111...
은 최대 값을 나타내게 됩니다.
여기서 논의된 -127과 128의 값은 아마도 signed int와 관련되어 있거나, 지수와 관련된 부동소수점의 바이어스 값을 설명하기 위한 예제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부동소수점 표현에서 지수 부분은 일반적으로 바이어스된 표현을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바이어스가 127이라면 실제 지수는 저장된 값에서 127을 빼서 계산합니다. 따라서 값이 0000이라면 바이어스를 빼서 -127이 되는 것이죠.
관련하여 부동소수점의 저장 방식이나 바이어스에 대한 더 깊은 이해를 원하시면, 부동소수점 방식의 IEEE 754 표준에 대해 공부해 보는 것도 좋습니다. 이는 부동소수점 형태가 메모리에 어떻게 저장되며, 어떻게 해석되는지를 깊이 있게 다루고 있기 때문입니다.
김도영님께서 질문해주신 주제에 대해 더 풍부한 설명이 필요하시면, 홍정모님의 강의에서 같은 주제를 다루는 다른 세션을 다시 참조하시거나, 다음 유사한 질문들을 확인해보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