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
·
31
·
수정됨
답변 1
0
안녕하세요 ! 질문 잘해주셨어요 ~
질문해 주신 내용에 대해 답변드려볼게요 !
"이게 실제 사용량 만큼 비용이 얼마인지는 나오지만 제가 지불할 금액은 없는걸까요?"
-> 네 맞아요 ! 우선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이미 말씀해 주신 대로
사용량만큼 비용이 얼마인지는 나오지만 지불할 금액은 없어요 !
비용 분석(Cost Explorer)에서는 "서비스별로 발생한 사용량 기반의 비용 추정치"를 보여주는 거예요 !
“계산상 청구 가능성 있는 비용”일 뿐, 실제로 지불하게 될 금액은
Free Tier 혜택 적용 후 금액에서 결정돼요!
즉, 여기 나온 비용은 프리티어 사용량 한도를 초과했는지 체크하기 위한 참고용 지표에요 ~
청구서(Billing) 화면에 보이는 금액 바로 이게 바로
프리티어 혜택이 적용된 후 실제 청구 예정 금액이에요!
실제로 결제할 금액은 현재로서는 "0원"이죠 :)
결론적으로, Cost Explorer는 AWS 내부의 “비용 사용 데이터”를 빠르게 보여주지만,
Billing은 “검증, 할인, 크레딧, 프리티어 적용 후 최종 확정된 금액”을 보여줘요 !
하지만 더욱 정확하게 확인해 보기 위해 5일 정도 후 다시 한번 두 금액을 비교해 보시는 걸 추천드려요 !
아래 공식문서를 통해 저는 결제 금액은 0원이라고 생각을 하고 있는데,
실제로는 다른 이유로 비용이 발생했으며 아직 동기화가 안돼서
다른 금액을 보여줬을 수도 있을 것 같아서요~
확인해 보신 뒤 공유해 주시면 최근에 프리티어로 가입하신 다른 수강생분들에게도 도움이 될 것 같네요 !
https://docs.aws.amazon.com/cost-management/latest/userguide/ce-exploring-data.html
추가로 더 궁금하신 점 있으시면 언제든 추가 질문 남겨주세요 ~
감사합니다. 강사님 찾아보니 2025.7월 부터 프리티어 정책이 전면 개편됐다고 하네요.
1)2025.07 이전
-월 100gb 트래픽까지만 허용 트래픽 초과 시 비용발생
-계정 총 ec2 가동 시간이 월 750 시간을 초과하면 비용발생 즉 1대의 ec2 만 한달간 풀 가동 가능
-스토리지는 30gb 까지만 가능
-ec2 인스턴스 유형은 t3.micro, t2.micro 가능
2)2025.07 이후
-무료/유료 계정으로 가입
-무료 계정으로 접속하면 특정 서비스를 제외한 모든 서비스를 이용가능
-모든 서비스는 사용량만큼 비용이 발생됨
-단! 무료계정인 경우 크레딧을 제공해준다. 최초 가입시 100달러 제공, aws 위젯 행위시 100달러 추가 제공, 이 외에서 자잘하게 10달러 제공해주는 이벤트들이 존재
-2025.07 이전과 달리 실제 사용분에 대한 비용이 발생한다. 하지만 부여된 크레딧이 존재하여 사용량만큼 크레딧을 차감하는 형태로 변경됨. 뿐만 아니라 크레딧이 0원이 되거나 6개월이 지나면 계정이 자동 정지된다. 따라서 초급자의 과금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어졌다.
아래 사이트에 상세한 개편내역이 나와있으니 다른분들 참고하시면 좋을것 같습니다.
https://youtu.be/8L-uck6lREQ