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멘토링

로드맵

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bang2451님의 프로필 이미지
bang2451

작성한 질문수

6주 완성! 백엔드 이력서 차별화 전략 4가지 - 똑같은 이력서 속에서 돋보이는 법

4-4. 격리성 레벨 학습 및 실습

트랜잭션 격리성 설계도 어필포인트로 가져갈 수 있을까요?

해결된 질문

작성

·

18

0

기존에는 @Transactional만으로 데이터 일관성이 보장된다고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강의를 들으며 동시에 재고를 조회·갱신하는 상황에서 격리성이 보장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을 뒤늦게 인식했습니다.

 

이런 흐름을 이력서에서 “단순 구현 → 시스템 안정성 중심의 설계로 성장한 과정”으로 기술적 사고 확장으로 어필해도 괜찮을까요? 아니면 너무 이론적으로 보일까요?

(항상 서비스 내 로직만 고려해서 롤백 여부로 트랜잭션을 생각했는데, 큰일이네요ㅜㅜ )

답변 2

0

딩코딩코님의 프로필 이미지
딩코딩코
지식공유자

bang2451님! 좋은 질문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이 고민 정말 많이 하시는데요 격리성 레벨 설계는 좋은 어필 포인트가 될 수 있지만, 조건부입니다.

면접관이 듣고 싶은 건 이거예요

  • "이론을 알게 됐어요" (X)

  • "문제를 겪고, 이론으로 해결했어요" (O)

예를 들어서 다음과 같습니다

"트랜잭션 격리 레벨을 학습하여 READ_COMMITTED와 REPEATABLE_READ의 차이를 이해하고 적절히 적용했습니다."

→ 이건 그냥 공부했다는 얘기예요. 면접관 입장에서는 "그래서 뭐?"가 나옵니다.

 

"재고 차감 로직에서 동시 주문 시 초과 판매 발생. 트랜잭션만으로는 동시성 제어가 안 된다는 걸 확인 후, 비관적 락(@Lock(PESSIMISTIC_WRITE))으로 해결. 100건 동시 주문 테스트에서 재고 불일치 0건 달성."

→ 문제 상황 + 분석 + 해결 + 수치가 다 있습니다.

 

즉, 실제 문제와 연결해야 합니다

격리 레벨 설계가 의미있으려면 이런 실제 상황이 있어야 해요

케이스 1: 재고 동시성 문제

케이스 2: 포인트 차감 동시성 사용자가 동시에 여러 곳에서 포인트 사용할 때 잔액 부족인데도 차감되는 문제

케이스 3: 좌석 예매 중복 같은 좌석을 여러 사람이 동시에 예매하는 문제

이런 실제 겪은 문제가 있어야 격리 레벨 설계가 의미있는 어필 포인트가 됩니다.

 

따라서, "단순 구현 → 시스템 안정성 설계"로 성장 과정을 보여주려면 이렇게 구성해보세요.

프로젝트 초기 (단순 구현) "재고 관리 기능을 @Transactional만 사용해 구현. 단일 사용자 테스트에서는 문제없이 동작."

문제 발견 "부하 테스트(K6, 100명 동시 주문) 중 재고 100개 상품에 100건 주문했는데 실제 DB에는 재고 5개가 남아있는 문제 발견. 로그 분석 결과 Over-selling 발생 확인."

원인 분석 "@Transactional의 격리 레벨이 READ_COMMITTED여서 다른 트랜잭션이 커밋 전 값을 읽을 수 있었음. 재고 조회와 차감 사이 타이밍에서 동시성 문제 발생."

해결 "비관적 락으로 재고 조회 시점에 행 단위 락 획득하도록 변경. 동시 주문 테스트에서 재고 불일치 100% 해결."

학습 및 적용 "이 경험을 바탕으로 다른 도메인(좌석 예매, 포인트 차감)에도 동시성 고려한 설계 적용. 격리 레벨과 락 전략을 비즈니스 특성에 맞게 선택하는 기준 수립."

 

단순히 "격리 레벨 공부했어요"는 의미 없고, "문제 겪고 해결했어요"가 진짜 어필 포인트입니다.

지금 실무에서 동시성 문제를 겪고 있다면 정말 좋은 기회예요. 문제 상황 잘 기록해두고, 해결 과정을 수치와 함께 정리해보세요. 전체적으로 넘 좋은 사고의 흐름입니다 앞으로 더 잘 하실거에요!!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bang2451님.

백엔드 개발 과정에서 트랜잭션의 격리성을 이해하고 이를 개선해 나가는 과정은 매우 중요한 기술적 성장이며, 이력서에서 충분히 어필할 수 있는 부분입니다. 아랫부분에서 이 점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기술적 사고 확장으로 어필하기:

  1. 문제 인식 및 해결 과정:

    • 최초에는 @Transactional을 사용하며 데이터 일관성을 보장한다고 생각했지만, 실제로 격리 수준이 시스템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깨닫고 개선한 과정을 자세히 설명할 수 있습니다.
    • 문제를 인식하고, 어떻게 이를 해결했는지를 구체적으로 기술하면 단순한 이론적 지식 습득을 넘어 문제 해결 능력을 보여줄 수 있습니다.
  2. 성장 과정의 강조:

    • 견고한 트랜잭션 설계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된 과정을 기술적 성장의 한 부분으로 강조하세요.
    • 단순 구현에서 시스템 안정성을 고려한 설계로 나아간 점을 드러내는 것은 백엔드 개발자로서의 깊이를 보여줄 수 있습니다.
  3. 프로젝트 적용 사례:

    • 특정 프로젝트에서 트랜잭션 격리 수준을 이해하고 적용한 실제 사례가 있다면 추가적으로 설명하시면 좋습니다.
    • 예를 들어, 재고 관리 시스템에서 격리성 이슈를 해결하기 위해 어떤 조치를 취했는지를 설명하면 더욱 설득력이 있습니다.

이러한 성장 과정은 단순히 이론적이기보다는 실무에서의 실질적인 적용 경험이기 때문에, 이력서에서 기술적 사고 확장으로 어필하는 데 적합합니다.

관련하여 더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질문과 답변 링크들을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bang2451님의 프로필 이미지
bang2451

작성한 질문수

질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