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
·
16
답변 2
0
안녕하십니까,
본 강의가 Zookeeper + Kafka지만, Zookeeper가 KRaft로 변경되어도 Kafka 고유의 메커니즘은 바뀐것이 거의 없어서 추후에 적용하시는데 별 노력을 기울이지 않으셔도 될 것 같습니다.
기존에 zookeeper가 하는 일을 KRaft가 가져 갔다라고 생각하시면 되고, 다만 운영을 위한 몇가지 script와 설정 항목등은 변경/추가가 되었습니다. 운영자 입장에서는 KRaft기반의 운영을 배우기 위한 일부 러닝 커브가 존재하지만, 개발자나 데이터 엔지니어 입장에서는 거의 영향이 없다고 봐도 좋을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배가고프다님.
카프카의 최근 버전에서는 기존의 주키퍼(Zookeeper) 대신 KRaft(Kafka Raft) 아키텍처로 이동하는 과정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는 카프카의 아키텍처를 간소화하고 운영을 더 쉽게 만들기 위한 변화입니다.
KRaft로의 전환은 기존 주키퍼 기반의 카프카와 몇 가지 차이점을 가지며, 주로 아키텍처적인 부분에서 달라집니다:
주키퍼 제거: KRaft는 주키퍼 없이도 카프카 클러스터의 메타데이터 관리 및 컨트롤 플레인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합니다.
단순화된 운영: 주키퍼 없이도 카프카 클러스터를 운영할 수 있기 때문에, 운영의 복잡성이 줄어듭니다.
향상된 성능 및 확장성: 새로운 아키텍처는 성능 최적화와 확장성 측면에서 개선점을 제공합니다.
KRaft로 전환할 때 러닝커브는 기존 카프카의 기초 지식을 얼마나 탄탄하게 가지고 있는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새로운 KRaft 아키텍처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지만, 카프카 기본 개념에 대한 이해가 이미 있는 경우, 전환 과정에서 필요한 새로운 개념들을 습득하는 데 큰 어려움은 없을 것입니다.
또한, KRaft에 대한 공식 문서와 관련 가이드를 참고하면 전환 과정이 좀 더 수월할 수 있습니다. 아래에 유용할 수 있는 리소스를 추천드립니다:
KRaft를 사용하는 새로운 버전에 맞춰 학습을 진행할 계획이라면 위 리소스를 함께 참고하시면서 학습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