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개념 이해와 진도 빼기
해결된 질문
작성
·
48
0
문제를 풀기 위한 간단한 개념 이해로 빠르게 다음 강의로 넘어가야 할지, 복습을 마치고 진도를 나갈지 고민하고 있습니다.
자료구조(스택)를 직접 만들면서 자꾸 링크드 리스트 개념이 헷갈리고 있습니다. 문제 풀이는 파이썬의 메소드를 통해서나, 반복문을 통해서 해주시고 계셔서 궁극적으로 코딩 테스트 통과를 위해서 빠르게 진도를 넘기는게 중요할까요?
답변 2
0
안녕하세요 rinaeshin 님 질문 감사합니다!! 많은 수강생분들이 똑같은 고민을 하시더라고요.
1. 실전 코딩테스트 관점에서 말씀드리면
제가 38군데 기업 코테를 치르면서 느낀 건, 자료구조를 직접 구현하는 문제는 거의 나오지 않는다는 거예요. 정말 가끔 스타트업이나 특수한 경우에만 "스택을 직접 구현해보세요" 같은 문제가 나오는데, 그것도 극히 드물어요.
대부분의 코테는 "이 문제를 어떤 자료구조로 풀 것인가?"를 판단하고, 파이썬 내장 기능으로 구현하는 게 핵심이에요. 예를 들어 스택이 필요하면 리스트의 append()와 pop()을 쓰고, 큐가 필요하면 collections.deque를 쓰는 식이죠.
2. 링크드 리스트는 얼마나 알아야 할까요?
솔직히 말씀드리면 "노드가 데이터와 다음 노드 주소를 가진다"는 개념 정도만 알아도 충분해요. 실제로 링크드 리스트를 직접 짜야 하는 코테는 정말 드물어요.
지금 헷갈리는 게 정상이에요! 링크드 리스트 구현은 포인터 개념도 나오고, 처음 배우는 분들한테는 꽤 어려운 부분이거든요. 하지만 코테 합격을 목표로 한다면 이 부분에 너무 많은 시간을 쓰지 않아도 돼요.
3. 추천하는 학습 방향
지금처럼 파이썬 메소드로 문제를 푸는 연습을 계속하시는 게 훨씬 효율적이에요! 실제 코테장에서 필요한 건
"아, 이 문제는 스택으로 풀어야겠다!" → stack = [], stack.append(), stack.pop() 사용 "이 문제는 큐네!" →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 deque 사용
이런 판단력과 구현 능력이에요. 링크드 리스트로 스택을 직접 만드는 건 개념을 이해하는 것 외에 실제 문제 풀이에는 크게 중요하지 않습니다
4. 그럼 어떻게 공부하면 좋을까요?
제 추천은 이렇게 해보세요. 빠르게 진도를 나가면서 각 자료구조로 "문제를 어떻게 푸는지" 경험을 쌓는 게 먼저예요. 스택으로 풀 수 있는 문제 3~5개, 큐로 풀 수 있는 문제 3~5개를 직접 풀어보면서 "아, 이런 유형에는 이 자료구조를 쓰는구나!"라는 감을 익히는 거죠.
그러다 보면 자연스럽게 각 자료구조의 특성이 몸에 배요. 스택은 "뒤에서 넣고 뒤에서 빼니까 최근 것을 처리할 때 쓰는구나", 큐는 "앞에서 빼니까 순서대로 처리할 때 쓰는구나" 이런 식으로요.
나중에 여유 있을 때, "궁금하네?" 싶으면 그때 링크드 리스트 구현을 다시 봐도 전혀 늦지 않아요. 오히려 그때 보면 훨씬 이해가 잘 될 거예요.
코딩테스트는 결국 문제 해결 능력을 보는 거예요. 자료구조를 직접 만드는 능력보다는, 어떤 자료구조를 써야 하는지 판단하고 파이썬으로 구현하는 게 핵심이에요.
지금까지 잘 따라오고 계시니까 자신감 가지고 진도 쭉쭉 나가보세요! 큐, DFS/BFS, DP까지 한 바퀴 돌리고 나면 "아, 전체 그림이 이렇구나!" 하는 순간이 올 거예요. 그때 다시 돌아와서 복습하면 훨씬 빠르게 흡수되실 거예요.
화이팅입니닸!! 궁금한 점 있으면 언제든 물어보세요!!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rinaeshin님,
아무래도 코딩 테스트 준비를 하시면서 효율적으로 진도를 나가고 싶으신 것 같습니다. 자료구조와 알고리즘 학습에서 중요한 것은 각 개념들의 기본을 이해하고, 이를 실제 문제에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는 것입니다. 그래서 기본 개념에 대한 충분한 이해가 필요하다면 잠시 멈추고 복습을 하시는 것이 좋은 선택일 수 있습니다.
스택과 링크드 리스트는 자료구조의 기본 개념 중 하나로, 코딩 테스트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이러한 기본 개념들이 헷갈릴 경우, 실제 문제 풀이에서 오류가 생길 수 있기 때문에 개념을 확실히 이해하고 넘어가는 것이 장기적으로 더 유리합니다.
관련 질문 URL에서는 스택의 pop 연산과 메모리 관리에 대한 설명이 있습니다. 이처럼 개념이 잘 이해되지 않을 때는 관련 질문과 답변들을 통해 구체적인 사례를 참고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기억하셔야 할 점은, 코딩 테스트는 빠르게 문제를 푸는 것뿐만 아니라, 정확하게 이해하고 적절히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보는 것입니다. 따라서 학습의 균형을 맞추어 필요 시 복습도 병행하면서 진도를 나가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