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결된 질문
작성
·
10
0
7:05 부분에서 커서 기반의 페이징을 할 때에는 "UN아이디를 사용하게 됩니다." 라고 말씀하시는 걸로 들리는데 맞을까요?? UN아이디가 어떤 것을 말하는 건가요?
답변 2
0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shyu6370님.
커서 기반의 페이징을 설명할 때 ‘UN아이디’라는 부분에서 혼란이 있으셨던 것 같습니다. 아마도 ‘UUID’ 또는 ‘Unique ID’라는 용어와 헷갈리신 것 같습니다.
UUID (Universally Unique Identifier): 이것은 전역 고유 식별자로, 데이터베이스 레코드의 인덱스 대신 사용될 수 있는 고유한 식별자를 의미합니다. 페이징을 위해 사용되면 데이터의 순서를 보장하고 정확한 위치를 기억할 수 있습니다.
Unique ID: 데이터베이스의 각 레코드에 고유번호를 부여하기 위한 ID를 말합니다. 이러한 Unique ID는 일반적으로 데이터베이스의 기본 키(Primary Key)로 사용되며, 커서 기반의 페이징에서 특정 포인트를 식별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커서 기반 페이징은 일반적인 오프셋 기반 페이징보다 효율적입니다. 이는 이전 레코드의 고유 아이디(Unique ID)를 저장하고, 그 아이디를 기준으로 다음 레코드를 조회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법은 특히 데이터베이스의 레코드 수가 매우 많을 때 유리하며, 성능 이슈를 최소화합니다.
이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정보는 다음 링크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위 링크에서는 MySQL의 페이징 기술과 인덱스 최적화 방법에 대한 심층적인 설명을 다루고 있습니다. 강의 내용을 바탕으로 커서 기반의 페이징에 대해 더 깊이 이해하실 수 있으리라 믿습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