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
·
27
1
반말은 조금 부끄러워서.. 존댓말로 질문드리겠습니다.
1. ItemWriter에서 예외 발생 시 ItemProcessor부터 처리가 재개된다.
2. ItemProcessor에서와 달리, ItemWriter에서의 재시도 횟수는 청크 단위로 관리된다.
요 부분에서 실제로 배치를 돌려보니 writer부터 재시작하는 것을 확인 가능했습니다.. 관련해서 원인을 분석해보니, 아래 결론에 도달했는데 맞을까요?
processorNonTransactional() 설정이 켜져있으면 Item 단위로 처리 결과를 캐시에 저장하기때문에 processor는 모두 완료 처리 -> writer부터 시작
processorNonTransactional() 설정이 꺼져있으면 청크 단위로 완료 처리하기때문에 processor부터 다시 시작
답변 2
1
#!/bin/bash
# KILL-9 Response System v1.0
echo ">> 반갑다 dj형. 좋은 질문이다."
echo ""
echo "[!] 결론부터: processorNonTransactional()과 재시도 컨텍스트 관리는 별개다."
echo ""
echo "=== 재시도 메커니즘 분석 ==="
echo ""
echo "▸ ItemProcessor 재시도: Item 단위 RetryContext"
echo "▸ ItemWriter 재시도: Chunk 단위 RetryContext"
echo "▸ 이건 processorNonTransactional() 설정과 무관하게 작동한다."
echo ""
echo "=== Writer 예외 발생 시 실제 동작 ==="
echo ""
echo "0) inputs Chunk(ItemReader가 생성)는 무조건 재사용된다."
echo " → 상세 내용: 4장 작전4 참조"
echo ""
echo "1) inputs Chunk 내 아이템을 반복하며 ItemProcessor.process() 호출"
echo " → outputs Chunk 생성 (ItemWriter에 전달될 청크)"
echo ""
echo " 1-1) processorNonTransactional() = true"
echo " → ItemProcessor 재호출 X"
echo " → 캐시된 데이터가 outputs Chunk에 담김"
echo ""
echo " 1-2) processorNonTransactional() = false (기본값)"
echo " → ItemProcessor 재호출 O"
echo " → process() 호출 결과가 outputs Chunk에 담김"
echo ""
echo "=== 결론 ==="
echo "네가 관찰한 'Writer부터 재시작'은 processorNonTransactional()=true 때문이다."
echo "캐시가 있으니 Processor를 건너뛴 것처럼 보이는 거지."
echo "재시도 컨텍스트 자체는 여전히 Item/Chunk 단위로 분리 관리된다."
echo ""
echo ">>> 4장 작전4에서 코드 레벨로 해부 예정"
echo ""
kill -9 $$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박정선님께서 ItemWriter
에서 예외 발생 시 재시도 작동 방식과 processorNonTransactional()
설정에 대해 질문 주셨네요. Spring Batch에서의 재시도 메커니즘은 데이터 일관성과 성능을 동시에 고려하여 설계되기 때문에 이 부분에 대해 잘 이해하고 계신 듯합니다.
ItemReader와 ItemProcessor:
ItemReader
와 ItemProcessor
는 데이터 변환 과정을 거쳐 ItemWriter
로 전달됩니다. 이때 데이터의 가공된 상태는 주로 메모리에 저장됩니다.ItemWriter에서의 예외 핸들링:
ItemWriter
가 데이터를 쓰다가 예외가 발생하면, 해당 청크의 트랜잭션이 롤백됩니다. processorNonTransactional()
설정의 여부와 관계없이, ItemWriter
는 데이터 저장의 마지막 단계이므로 해당 청크 안의 모든 데이터를 다시 기록하려 시도합니다. 다만, processorNonTransactional()
이 켜져 있다면 ItemProcessor
에 의해 변환된 상태가 유지된다는 장점이 있습니다.processorNonTransactional()
의 동작:
processorNonTransactional()
이 켜져 있는 경우: ItemProcessor
의 결과를 캐시에 저장하므로 실패 시 ItemWriter
만 다시 시도하게 됩니다. ItemProcessor
의 결과는 이미 처리 완료된 것으로 간주되어, 다시 실행하지 않습니다.
processorNonTransactional()
이 꺼져 있는 경우: 트랜잭션 보장이 필요하다고 판단하면, 모든 청크의 과정(ItemReader
, ItemProcessor
, ItemWriter
)이 완전히 롤백된 후, ItemProcessor
부터 다시 실행됩니다.
박정선님이 분석하신 대로, processorNonTransactional()
설정이 예외 처리 시 데이터 흐름에 많은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이를 통해 다르게 동작하게 됩니다. 설정에 따라, 예외 발생 시 ItemProcessor
와 ItemWriter
의 재시도 경계가 달라지게 됩니다.
유사한 내용에 대한 더 자세한 이해를 돕기 위해 관련 답변을 참고하실 수 있습니다: ItemWriter 재시도와 커밋 범위 이해하기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