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
·
8
0
CrudRepository, ExposedCrudRepository로 제네릭 인터페이스 추상화를 한것까진 좋습니다!
근데 스프링에서는 @Repository라는 애너테이션을 붙여줌으로써 AOP 포인트컷이랑 어드바이저에서 한번 더 예외를 래핑해서 오라클, MySQL, PostgreSQL 등 여러 벤더사들의 각각 다른 예외를 하나로 몰아서 DataAccessException으로 들어갈 수 있도록 해주는데, ktor도 그런 비슷한 기능이 있나요?
코드는 그대로 두고 연결 DB만 바꿔도
FK 오류인지, duplicated key 오류인지, lock time out 오류인지 그런것들도 다 추상화가 되는걸까요?
답변 1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보키님께서 질문하신 Kotlin과 Ktor에서는 Spring의 @Repository
와 같은 기능에 대한 내용과 DB 예외 처리에 대한 것을 말씀하셨네요.
Ktor는 Spring과는 달리 경량화된 서버 프레임워크로, Spring의 풍부한 기능을 모두 직접적으로 제공하진 않습니다. 예외를 일관되게 처리하는 Spring의 DataAccessException
과 같은 추상화는 기본적으로 제공되지는 않지만, 코틀린 언어나 관련 라이브러리(예: Exposed)에서 이를 보완할 수 있는 방법들이 있습니다.
Exposed 라이브러리 활용: Exposed는 코틀린 용 유명한 ORM 라이브러리입니다. 이것을 활용하여 일부분의 데이터베이스 예외 처리를 할 수 있습니다. Exposed는 데이터베이스 예외에 대한 자체 메커니즘을 제공합니다.
인터셉터 사용: Ktor는 인터셉터를 통해 요청과 응답에 대한 처리를 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예외 처리 로직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특정 DB 예외를 커스텀 예외로 변환하여 처리할 수 있습니다.
코루틴과 예외 처리: 코틀린의 코루틴을 활용하면 비동기 작업에서 발생하는 예외를 보다 유연하게 처리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try-catch 블록을 통해 DB 예외를 잡아 custom exception으로 변환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Spring과 같은 기능을 Ktor에 구현하기 위해서는 다소 수고스러운 작업이 필요할 수 있지만, 필요한 기능에 따라 플러그인과 커스텀 구현으로 해결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러므로 Kotlin과 Ktor에 대한 심화된 학습이 도움이 될 것입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