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멘토링

로드맵

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sehong.joo79님의 프로필 이미지
sehong.joo79

작성한 질문수

PMP(프로젝트 관리 전문가) 자격 취득과정

공감대 형성

ECO - PEOPLE 질의

작성

·

9

0

유사 문제를 풀고 있습니다. 질의 응답을 확인 하였으나, 맞지 않느 것 같습니다. 아래 관련 답을 확인 하여 주시면 감사 하겠습니다.

As a project manager, you recently completed a project team performance appraisal, and a

previously unknown competency gap in technical skills was uncovered, which needs to be

addressed. What should you do next?

A. Implement the response planned for this risk

B. Conduct unplanned training to address the competency gap

C. Consult the training management plan

D. Let go of the staff who have technical skill gaps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답변 2

0

피엠인사이드님의 프로필 이미지
피엠인사이드
지식공유자

안녕하세요?
문제에 대해 해설과 정답 알려드립니다.

정답은 C. 훈련 관리 계획(Training Management Plan)을 검토한다 입니다.


해설

프로젝트 관리자가 성과 평가를 통해 이전에 알려지지 않았던(previously unknown) 역량 격차를 발견했을 때, 다음으로 취해야 할 가장 논리적이고 전문적인 조치는 해당 격차를 관리하고 해결하기 위해 프로젝트에 수립된 공식적인 계획을 따르는 것입니다.

 

C가 정답인 이유

  • C. 훈련 관리 계획을 검토한다: 이 계획은 전체 프로젝트 관리 계획(Project Management Plan)의 일부이며, 필요한 팀 역량을 식별하고, 개발하며, 확보하는 전략과 절차를 상세히 설명합니다. 이는 프로젝트 관리자에게 격차를 공식적으로 평가하는 방법, 사전 승인되거나 계획된 훈련 방법(예상치 못한 요구 사항을 포함하여)이 무엇인지, 그리고 필요한 훈련을 프로젝트 일정 및 예산에 통합하는 절차를 안내합니다. 어떤 해결책을 실제로 실행하기 전에 거쳐야 하는 공식적인 프로세스 단계입니다.

다른 선택지가 오답인 이유

  • A. 이 리스크에 대해 계획된 대응을 실행한다: 이는 오답입니다. 문제에서 역량 격차가 "이전에 알지 못했던" 것으로 설명되었기 때문에, 해당 격차는 리스크 관리대장(Risk Register)에 구체적으로 식별되어 미리 계획된 대응책이 문서화되어 있지 않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 B. 역량 격차 해소를 위해 비계획적인 훈련을 실시한다: 훈련이 궁극적인 해결책이 될 수 있지만, 단순히 비계획적인 훈련을 즉시 실시하는 것은 충동적이고 비전문적이며 낭비적일 수 있습니다. 이는 훈련 관리 계획에 명시된 승인, 예산 책정, 일정 조정, 문서화에 대한 공식적인 절차를 무시하는 행위입니다.

  • D. 기술 역량 격차가 있는 직원을 해고한다: 이는 극단적이며 대개 불필요한 조치입니다. 이는 훈련, 멘토링, 재배치 등의 모든 옵션을 소진한 후에만 고려되어야 하는 최후의 수단이며, 이 경우에도 조직의 인사 정책을 따라야 합니다. 유능한 프로젝트 관리자의 최우선 대응은 팀원을 개발하는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sehong.joo79님.

프로젝트 관리 상황에서 팀원의 기술 역량 격차가 발견된 경우, 해당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가장 적절한 조치를 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에 대해 각 선택지를 간단히 검토해보겠습니다:

  • A. 리스크에 대한 대응 계획을 실행하기: 리스크 관리 계획서가 존재하고, 이를 통해 기술 역량 부족에 대한 리스크가 이미 예측되어 있다면, A가 적절한 답변일 수 있습니다. 이는 계획되고 제어된 방법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 B. 예기치 않은 교육을 통해 역량 격차 해결: 즉각적인 대응으로 팀원들의 기술 격차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효과적일 수 있지만, 비용 및 시간 관리 측면에서 무작정 실행하기보다 계획에 따라 실행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습니다.

  • C. 교육 관리 계획 참고하기: 기존의 교육 계획서에 있는 리소스를 활용하는 것이 목표라면, 이 선택지가 가장 논리적일 수 있습니다. 원하는 교육이 해당 계획에 이미 포함되어 있다면 빠르게 실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 D. 기술 격차가 있는 직원 해고: 이는 비효율적일 뿐만 아니라 프로젝트 팀의 사기를 저하시키고 팀 구성원의 추가적인 스트레스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선택이 아닙니다.

일반적으로, 역량 부족이 발견되었을 때는 사전에 계획된 리스크 대응을 실행하거나 기존 교육 계획을 참고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따라서, A나 C의 선택지가 논리적인 답변이 될 확률이 높습니다.

다음 Q&A 게시판에서 유사한 논의와 답변을 찾아보실 수 있습니다:
- 오답 질의 (ECO - PEOPLE)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sehong.joo79님의 프로필 이미지
sehong.joo79

작성한 질문수

질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