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결된 질문
작성
·
8
·
수정됨
답변 2
0
여러 줄 주석에서 === 개수는 어떤 식으로 활용되나요?
=== 개수는 별 상관이 없습니다. 제가 정확히는 기억이 안나는데 영역을 나누기 위해 사용했습니다.
add_compile_options는 전역라고 하셨는데 target_compile_options PUBLIC과 동작이 같나요?
아니요 다르게 동작합니다. add_compile_options는 모든 타겟에 적용이 되는것이고 target_compile_options는 해당 타겟에만 지정이 되는 것입니다. 그리고 PUBLIC을 사용하면 해당 타겟에 의존성을 가지고 있는 타겟들에 영향을 주게 됩니다.
ABI가 특정 옵션에 영향 받았는지는 어떻게 알 수 있을까요?
그건 컴파일러의 문서를 확인해봐야합니다.
PUBLIC이면 영향을 주는 옵션을 사용해도 안전한가요? 안전하다면 그래도 지양해야 하나요?
네 사용해도 괜찮습니다. PUBLIC으로 선언하면 해당 옵션이 이 타겟을 사용하고 있는 타겟들에 영향을 미치는 것만 염두하고 계시면 됩니다.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ㅇㅅㅇ님!
타겟마다 다른 컴파일 옵션을 사용하면 ABI(Application Binary Interface)에 영향을 줄 수 있는데, 이는 프로그램의 이식성과 재사용성을 저해할 수 있습니다. 아래는 질문하신 내용에 대한 답변입니다.
ABI는 바이너리 파일의 구조나 함수 호출 규약 등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의미합니다. 컴파일러의 최적화 옵션이나 컴파일러 버전, 데이터 형식의 크기 등의 변경은 ABI에 변화를 줄 수 있습니다. 특정 옵션이 ABI에 영향을 미치는지는 일반적으로 컴파일러 문서를 참조하거나, 해당 옵션을 활성화한 경우 바이너리의 ABI 호환성 테스트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라이브러리 간 호환성을 위해 동일한 컴파일러와 버전을 사용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만약 확실하지 않은 경우, nm
, objdump
같은 도구를 사용하여 심볼 정보나 기계어 코드를 분석하는 것도 방법입니다.
PUBLIC
옵션 사용의 안전성:PUBLIC
으로 설정된 컴파일 옵션은 이 타겟을 의존하는 다른 모든 타겟에도 적용됩니다. 이는 지정한 옵션이 ABI에 안전하지 않다면, 이 옵션을 의존하는 다른 모든 타겟이 영향을 받을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PUBLIC
으로 설정된 옵션이 ABI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일반적으로 ABI에 민감한 프로젝트에서는 PRIVATE
로 옵션을 제한하거나, 영향을 줄 수 있는 옵션의 사용을 최소화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를 통해 다른 프로젝트와의 호환성 문제를 줄일 수 있습니다.
아래는 관련 내용을 다룬 유사한 질문 링크입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 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