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
·
35
0
repository에 직접 접근하는 기준이 어떤건지 궁금합니다.
강의에서 예를 들면
@Override
public Member updateInfo(Long memberId, MemberInfoUpdateRequest memberInfoUpdateRequest) {
Member member = memberFinder.find(memberId);
checkDuplicateProfile(member, memberInfoUpdateRequest.profileAddress());
member.updateInfo(memberInfoUpdateRequest);
return memberRepository.save(member);
}
private void checkDuplicateProfile(Member member, String profileAddress) {
if(profileAddress.isEmpty()) return;
Profile currentProfile = member.getDetail().getProfile();
if(currentProfile != null && currentProfile.address().equals(profileAddress)) return;
if(memberRepository.findByProfile(new Profile(profileAddress)).isPresent()){
throw new DuplicateProfileException("이미 존재하는 프로필 주소입니다: " + profileAddress);
}
}
이 부분에서 member를 찾아올 때는 memberFinder를 통해서 가져왔는데 아래 중복 체크에서는 repository를 바로 사용했습니다. 물론 강의에서 profile을 찾는거기에 memberFinder에 넣기에는 책임이 난잡해질 것 같다는 느낌은 듭니다만 여기서 구분한 기준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다른 예를 들면
public LoginResponse login(LoginRequest request) {
Member member = memberFinder.findByEmail(request.email());
if(!member.verifyPassword(request.password(), passwordEncoder)){
//일치하지 않으면 에러
}
//이 부분은 직접 접근하는게 좋은지
member.updateLastLoginAt();
memberRepository.save(member);
//아니면 memberUpdater라는 포트를 통해 접근하는게 좋은지
memberUpdater.updateLastLoginAt();
return new LoginResponse(member.getId(), member.getStatus());
}
이런 경우 둘중 어떤 방법이 더 구조적으로 좋은지 궁금합니다.
답변 1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rhdrlehf5님!
현재 질문하신 내용은 저장소 접근 방식과 관련된 주제로, 특히 repository
를 직접 접근할지 아니면 별도의 서비스 또는 Finder를 사용할지에 대한 고민이신 것 같습니다. 이 부분은 설계의 선택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직접 접근:
서비스/포트 통한 접근:
memberFinder
vs 직접 repository
접근:
memberFinder
: 보통 여러 저장소 조회나 복잡한 조회 로직을 추상화하여 사용하고, 비즈니스 로직과 저장소 접근 로직을 분리하는 데 효과적입니다.로그인 예시:
member.updateLastLoginAt()
후 memberRepository.save(member)
: repository
에 직접 접근하여 간결하게 멤버 업데이트 후 저장. 이는 매우 일반적인 패턴입니다.memberUpdater.updateLastLoginAt()
: 비즈니스 로직의 일부분으로, 여러 멤버와 관련 로직을 묶어서 더 복잡한 처리를 하는 경우, 이를 포트로 추상화하여 더 명확하게 관리할 수 있습니다.결론적으로, 선택은 상황에 따라 달라지며, 유지보수성과 재사용성을 고려하여 접근 방식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관련된 강의 내용을 통해 비슷한 사례를 살펴보시면 더욱 풍부한 인사이트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 토비의 클린 스프링 - 도메인 모델 패턴과 헥사고날 아키텍처 Part 1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