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
·
22
0
안녕하세요 AI관련 세미나 정말 유익하게 잘 들었습니다.
세미나를 들으며 결국 시간이 지날수록 AI의 영향력은 점점 강해지고 상위 5%가 아닌 이상 이를 기회삼아
각 분야에 지식이 없어도 여러 AI를 활용하며 1인개발을 하는 것이 곧 진행되는 챌린지인데 이 시점에서 그럼
클라이언트 프로그래머 입장에서 취업을 위해 노력하는 학습방향(?), 방법으로 챌린지에서 진행되는 방향처럼 AI를 활용해 1인개발을 하여 수익도 내고 결과물을 만드는 걸 추천하시나요?
현재 루키스님 강의 burger please모작, 클리커 게임 코드리뷰를 수강하고 M1,M2 강의를 수강 시작했는데
M1,M2 강의를 학습하여 프로그래밍 지식을 익히는 것이 현재 흐름에서 별로인 방법은 아니겠지요?
혹시나 둘 다 병행하는 것보다 AI기술을 활용하여 1인 개발을 하여 결과물을 내는 방법을 더 추천하시는지 궁금하여 질문 남겨봅니다!
답변 2
0
AI를 활용한 1인 게임 개발은 그냥 어느 상황이라도 필수가 되어야 한다고 봅니다.
다만 본인이 순수 디렉터 입장에서 게임을 만들고 싶은 것인지,
아트의 강점을 살리고 싶은지, 테크의 강점을 살리고 싶은 것인지에 따라
방향성 및 만들 게임의 장르와 난이도를 조절하면 됩니다.
예를 들어 정말 테크를 병행하고 싶다면,
1인 게임을 만들더라도 기술에 도움이 되는 쪽으로 방향을 설정하시면 됩니다.
예를 들어 지금의 저라면 Peak같은 멀티게임 출시를 노려볼 것 같네요.
그것도 아니라면 PCG 기술을 연구해서 절차적 던전 생성을 연구하면서 가면 꿀잼일 것 같기도 하고요.
생성형 AI로 추출한 2D Sprite 에셋 기반의 2D MMO에 진지하게 도전해보는 것도 괜찮아 보입니다.
뭐 이런 식으로 길을 정하시면 됩니다. 꼭 1인 게임이라고 해서 작은 게임을 의미하진 않습니다.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무한개발거북이님, 질문 감사합니다.
AI 시대에 게임 개발자로서의 학습 방향에 대한 질문을 주셨네요. AI를 활용한 1인 개발과 전통적인 프로그래밍 지식을 병행하는 것이 현명한 선택일 수 있습니다. 특히, 클라이언트 프로그래머로서 AI를 활용한 자동화 및 효율성 향상은 유용한 전략이 될 수 있습니다.
관련하여 참고할 수 있는 답변들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Rookiss님의 강의에서 다루는 AI 기술 활용 및 클라이언트 프로그래머의 경쟁력에 대한 내용들이 도움이 될 것입니다.
클라이언트 프로그래머에게 요구하는 인공지능 기술 수준이 어느 정도인가요?
강의를 다듣고 2가지 사항에 대해 의견을 여쭈어보고 싶습니다.
M1, M2 강의 수강 역시 중요합니다. 이 과정들은 게임 프로그래밍의 핵심 기술을 다루며, 기본기가 탄탄해야 AI를 활용한 개발에서도 차별화를 추구할 수 있습니다. 또한, AI 도구를 활용하여 효율성을 높이는 동시에 본질적인 프로그래밍 실력을 갖추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이를 통해 AI 시대에도 경쟁력 있는 개발자로 성장할 수 있습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좋은 답변 감사합니다! 감이 잡히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