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
·
16
·
수정됨
0
5강 마지막에 RunnablePassThrough의 경우 딕셔너리 형태의 key 와 value를 넘겨줄 때 key(강의에서 information)를 미리 RunnablePassThrough에 할당하면 value만 str형태로 입력해도 간편하게 invoke할 수 있다는 것으로 이해했는데요,
두번째 예시에서 key가 두가지인 경우(information, continent)에 RunnablePassThrough를 사용하나 하지 않으나 딕셔너리 형태로 두 키와 밸류를 모두 입력해야하는 것 아닌가요?
강의의 의도가 이런 경우에는 RunnablePassThrough를 쓰는 것이 적절하지 않다는 것인지, 혹은 제가 놓지는 무언가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답변 1
1
안녕하세요! 좋은 질문 감사합니다
강의에서 말하고자 한 포인트는:
키가 하나일 때 → RunnablePassthrough를 쓰면 value만 주면 돼서 편하다.
키가 여러 개일 때 → 결국 딕셔너리 입력이 필요하기 때문에 RunnablePassthrough의 장점이 거의 없다.
따라서 말씀하신 대로, 키가 여러 개라면 RunnablePassthrough
는 굳이 쓸 필요가 없고,
그냥 일반 딕셔너리 입력을 쓰는 게 자연스러운 경우가 많습니다. 다양한 사용방법 예시를 보여드리기 위해서 간단하게 언급한다고 봐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상세한 답변 감사드립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