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멘토링

로드맵

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sehong.joo79님의 프로필 이미지
sehong.joo79

작성한 질문수

PMP(프로젝트 관리 전문가) 자격 취득과정

일정 계획 및 관리

오답 rhksfus 질의 - Human part

작성

·

17

0

굉장히 심플한 문제이나, 함정이 있는 건가요??

PM 입장에서는 당연히 B가 원하는 방향일 수 있으나, A가 PMI에서 원하는 답이라고 확신 했는데, 정작 답은 B라고 합니다. 별도 답에 대한 풀이가 없어서, B라고 해도 의심이 되는 상황인데요.. (답이 잘못 된 것은 아닌지..)

아래 Q/A 보시고 의견 주시면, 대단히 감사 드리겠습니다.

Q) Your agile project needs specialists that are not available locally. You find the needed

resources across the globe, but due to various constraints, cannot colocate them for the

duration of the project. You decide that the only way to go ahead with the project is by setting

up the team in a virtual environment. The kick-off meeting is in a few weeks from now.

What is your best course of action to have the team attend the kick-off?

A. Have the team members connect to the videos conference during the

meeting

B. If possible, bring the team members to attend the kick-off meeting in person

C. Record the kick-off meeting on a video and send the recording to the team

D. Do nothing since agile teams are empowered to make their own decisions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답변 2

0

피엠인사이드님의 프로필 이미지
피엠인사이드
지식공유자

안녕하세요? 학습자님.
이 문제는 가상 팀(virtual team) 환경에서 킥오프 미팅(kick-off meeting)을 효과적으로 진행하는 방법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킥오프 미팅은 프로젝트의 시작을 알리고, 팀원들이 서로를 알아가며, 공동의 목표와 비전을 수립하는 매우 중요한 행사입니다.

  • 보기 B가 최선의 선택인 이유: 비록 프로젝트 전체 기간 동안 팀을 같은 장소에 배치하는 것은 불가능하더라도, 킥오프 미팅만큼은 가능한 모든 팀원이 직접 대면하여 참석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합니다. 초기에 형성된 신뢰와 강한 관계, 명확한 소통은 이후 장기간의 가상 협업에서 발생할 수 있는 어려움(예: 의사소통 단절, 문화적 차이, 신뢰 부족)을 상쇄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합니다. PMBOK 가이드 및 애자일 실무 가이드에서도 팀 빌딩과 신뢰 형성을 위해 가능한 대면 상호작용을 강조합니다.

  • 다른 보기들이 틀린 이유:

    • A (화상 회의 연결): 이는 실용적인 대안처럼 보이지만, 최선의 방법은 아닙니다. 킥오프 미팅의 핵심 가치는 비공식적인 네트워킹과 자연스러운 상호작용에 있습니다. 화상 회의는 이러한 미묘한 관계 형성을 제한합니다.

    • C (녹화본 전송): 이는 가장 효과가 낮은 옵션입니다. 킥오프는 쌍방향 소통과 참여가 생명인 행사입니다. 녹화본을 보내는 것은 일방통행에 불과하여 팀의 참여감과 소속감을 심어주지 못합니다.

    • D (아무 것도 안 함): 이는 무책임한 접근 방식입니다. 애자일 팀이 자율성을 갖는 것은 맞지만, 프로젝트 관리자(또는 스크럼 마스터)의 역할은 팀이 성공할 수 있는 환경과 조건을 조성하는 것입니다. 킥오프 미팅 참석 방식을 방치하는 것은 관리자의 책임을 다하지 않는 것입니다.

따라서, 다양한 제약 조건 속에서도 가능한 최대한의 대면 상호작용(보기 B)을 추구하는 것이 장기적인 가상 팀워크를 성공적으로 이끌기 위한 최선의 첫걸음입니다. 감사합니다~!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sehong.joo79님.

질문하신 내용에 대한 답변을 드립니다. 문제는 유연한 업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방법을 묻고 있습니다. 이와 관련해 각 선택지를 간단히 검토해보겠습니다:

  • A. 팀원이 회의 중에 화상 회의에 연결하게 하는 것: 이 방법은 현재의 지리적 제약을 극복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이지만, B 옵션이 더욱 협력적입니다.

  • B. 가능한 팀원들을 소개 회의에 직접 참석시키는 것: 프로젝트 시작 시 참석자 간의 관계 형성과 팀 빌딩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PMI에서는 팀원의 직접적인 상호작용이 팀 응집력을 높인다고 보기 때문에 실현 가능한 경우 B 옵션이 보다 긍정적으로 평가될 수 있습니다.

  • C. 회의 녹화를 팀에 전송하는 것: 정보 공유 방법 중 하나이지만, 실시간 상호작용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 D. 아무것도 하지 않는 것, 아자일 팀이 직접 결정을 내릴 수 있다는 것: 이 방법은 자율성을 강조하기는 하지만, 초기 프로젝트 단계에서는 가이드라인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회의 참석이 가능한 경우에는 직접 만남을 통해 더 나은 팀 응집력과 협업 분위기를 조성할 가능성이 있는 B 옵션이 PMI 관점에서도 더 선호되는 방법으로 평가될 수 있습니다.

게시판에서 유사한 논의가 이미 진행되었습니다. 아래 링크를 통해 관련 사례를 참고하실 수 있습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 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sehong.joo79님의 프로필 이미지
sehong.joo79

작성한 질문수

질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