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멘토링

로드맵

Inflearn brand logo image

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토니님의 프로필 이미지
토니

작성한 질문수

웹소켓/STOMP 채팅서비스(spring, vue, redis)

메시지읽음처리, 채팅방나가기

추가 커스텀 구현 질문 있습니다.

작성

·

14

0

로그인을 했을 때 소속된 채팅방에 안 읽은 메시지가 있다면, 알림(보통 종모양)에 +안읽은메시지숫자를 구현 하려고할 땐 sse 통신을 이용하는게 좋을까요?

 

답변 2

0

bradkim님의 프로필 이미지
bradkim
지식공유자

안녕하세요~

안 읽은 메시지의 숫자가 실시간으로 변화돼야 한다면, 매우 빈번하게 통신을 해야 하니 채팅을 하는것과 동일하게 웹소켓 connect를 통한 실시간통신을 활용하는게 좋을것 같습니다.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토니님.

채팅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가 로그인했을 때 사용자가 소속된 채팅방의 ‘안 읽은 메시지’ 수를 실시간 알림 버튼(종 모양)에 표시하는 기능을 구현하고자 하시는군요. 이러한 경우에는 SSE(Server-Sent Events) 또는 WebSocket을 활용하여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업데이트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SSE 및 WebSocket의 활용

  1. SSE(Server-Sent Events):

    • 장점: 클라이언트로의 일방향 통신을 통해 서버에서 클라이언트로 지속적으로 데이터를 푸시할 수 있습니다. 특히, 서버에서 클라이언트로 주기적인 데이터 갱신이 필요하지만,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의 계속적인 데이터 수신 요청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 유용합니다.
    • 적합한 경우: 주로 단방향 데이터 전송 상태를 유지해야 하는 경우, 즉 서버 푸시 기반의 알림 시스템에 잘 맞습니다.
  2. WebSocket:

    • 장점: 양방향 통신을 지원하므로,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채팅 메시지 전송 기능과 같은 인터렉티브한 실시간 응답이 필요한 경우 적합합니다.
    • 적합한 경우: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상시 연결을 통해 계속적인 양방향 데이터 교환이 필요한 경우(예: 채팅 메시지 송수신).

결론

로그인 시점에 사용자가 참여 중인 채팅방의 안 읽은 메시지 숫자를 갱신하는 용도로는 SSE가 간단하고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SSE는 서버 측에서 클라이언트로 지속적으로 알림을 푸시하기에 유리하며, 설정이 비교적 쉬운 편입니다. 다만, 양방향 소통이 필요하다면, WebSocket을 고려해보세요.

토니님이 구체적으로 어떤 방식을 선택하실지는 구현하려는 시스템의 특성 및 요구사항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로, 관련된 질문 및 답변 링크를 제공하니 살펴보시면 도움이 될 것입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토니님의 프로필 이미지
토니

작성한 질문수

질문하기